Rabu, 31 Juli 2019

자국기업까지 불똥 튈라… 세계 언론들, 아베 비판 - 조선일보

입력 2019.08.01 01:32

[일본의 경제보복] 미국·영국·호주 등 주요 언론 "일본 수출규제, 세계경제 흔들"

일본의 수출 규제로 촉발된 한·일 통상 분쟁이 세계 자유무역 체제의 근간을 파괴할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지면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를 비난하는 세계 여론이 비등하고 있다.

미 CNBC는 31일(현지 시각) "한·일 갈등 고조가 양국 경제는 물론 세계경제에도 피해를 줄 수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달 1일 일본 정부가 반도체 핵심 소재 3개 품목의 한국 수출 규제를 강화한다고 발표할 당시만 해도 국제적으론 'IT 산업의 지엽적 문제'로 보는 시각이 많았다. 하지만 이후 일본의 조치가 장기화되고 1100여 개 품목의 수출 통제를 강화하는 화이트리스트(전략 물자 수출 심사 우대국) 배제까지 나아가자 아베 총리를 향해 '무역 보복을 철회하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반도체 현물 가격이 20% 이상 급등하면서 '글로벌 스마트폰 가격이 올라갈 수 있다'는 현실적 문제가 피부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29일(현지 시각) 영국 텔레그래프는 "한·일 분쟁이 미·중 무역 전쟁보다 전 세계 경제에 더 큰 파장을 미칠 것"이라고 했다. 그동안 한·일 갈등 해결에 소극적이던 미 트럼프 행정부가 방콕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을 계기로 적극적으로 변한 것도 이런 우려를 반영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일본에 대한 국제적 압력이 고조되고 있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가 한국에 대한 사실상의 전면전을 벌이는 것에 대해 '전후 자유무역 체제의 패러다임을 파괴하는 행위'라는 인식도 확산되고 있다. 허윤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일본의 조치로 한국의 주요 산업이 큰 타격을 입는다면 세계 각국이 '핵심 제품은 국산화해야 살아남는다'는 인식을 갖게 될 것"이라며 "이는 국제 분업을 통한 글로벌 공급망을 위축시켜 모두가 못살게 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영국, 호주 등의 유력 언론들은 일본이 한국과 벌이는 역사 분쟁에 대해 경제적으로 보복함으로써 "글로벌 IT 산업 생태계를 교란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자유무역 신봉자를 자처하다가 정작 한·일 간 문제에서 자유무역 체제의 근간을 흔들고 있는 아베 총리의 이율배반적 태도가 일본에 부메랑으로 돌아갈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서구 언론 "한·일 갈등… 미·중 분쟁보다 세계경제에 더 큰 파장"

AP통신은 29일(현지 시각) "일본의 수출 규제는 한국 업체뿐 아니라 일본을 포함한 글로벌 기술 생태계에 참여하고 있는 다른 나라 업체들에도 위협이 된다"고 지적했다. CNN 역시 "일본의 수출 규제로 전 세계 메모리 반도체의 61%를 생산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부품 부족으로 생산에 차질이 생기면 글로벌 IT 수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도했다.

한·일 분쟁이 복잡하게 얽힌 국제 분업 체계를 망가뜨리는 방향으로 나아가면 결국 소비자들에게 피해가 간다는 점도 주목 받고 있다. 애플, 화웨이, 소니 등 미국, 중국, 일본 기업들도 반도체 공급 가격 상승으로 타격을 받게 되고 이는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호주 ABC는 28일 "삼성과 SK하이닉스가 생산해 애플과 화웨이 등에 판매하는 반도체 공급에 차질이 생기면 결과적으로 전 세계 스마트폰 가격이 올라 소비자들에게 피해가 간다"고 했다. 시장조사 업체 IHS마킷의 라지브 비스와스 아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ABC에 "작년에 한국이 수출한 반도체는 총 1270억달러어치에 이른다"며 "(한·일 갈등은) 결국 스마트폰, 컴퓨터, 서버 등 완제품 가격이 오르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했다.

한·일 분쟁이 미·중 무역 전쟁보다 전 세계 경제에 더 큰 파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영국 텔레그래프는 29일 "실리콘밸리가 두려워해야 할 무역 전쟁은 미·중 간 다툼이 아니라 한·일 간 분쟁"이라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對)중국 무역에 대해 거친 언급을 수년간 해왔음에도 양국 간 무역 전쟁은 서서히 달아올랐을 뿐 끓어 넘치지는 않았으나, 한·일 간 갈등이 길어지면 한국산 메모리 반도체에 의존하는 인터넷 기업들의 컴퓨터 서버 관리에도 악영향을 미쳐 인터넷 경제 자체가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지난 22일 '한국을 상대로 한 아베 신조의 가망 없는 무역 전쟁'이라는 사설을 통해, 일본의 수출 규제를 정치 보복으로 규정하고 해제를 촉구했다. 블룸버그는 "정치적 분쟁에 통상 무기를 끌어들이지 말아야 했다"며 "(참의원 선거에서 승리한) 아베 총리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일본이 이웃 나라 한국을 상대로 시작한 어리석은 무역 전쟁에서 빠져나오도록 하는 것"이라고 했다.

일본도 손해 보는 자해적 조치

일본은 2차 대전 이후 70여 년간 자유무역 체제의 최대 수혜자였다. 특히 아베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직후인 2017년 1월 세계 최대 규모의 다자간 자유무역 협정이었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서 전격 탈퇴하자, 나머지 11국을 추슬러 자유무역협정(CPTPP)을 출범시켰다. 아베 총리는 지난 4월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공동 기자회견에서 "국제사회의 최대 중요 과제는 자유무역 체제 견지"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안덕근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아베 총리가 이번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 조치로 국제적으로 상당히 신뢰를 잃게 됐다"며 "앞으로 미국이나 중국이 힘의 논리를 앞세워 일본에 대해 무역 보복 조치를 한다면 일본이 무슨 할 말이 있겠느냐"고 했다.

경제계는 일본과 벌이는 경제 전쟁에서 이기려면 기업 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 유환익 혁신성장실장은 "한·일 경제 전쟁 전선에서 싸우는 건 결국 양국 기업들"이라며 "법인세, 노동·환경 규제 등에서 일본보다 더 좋은 기업 환경을 만들고 기업인들의 기를 살려주는 게 진정 승리하는 길"이라고 했다.

Let's block ads! (Why?)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8/01/2019080100054.html

2019-07-31 16:32:06Z
CBMiR2h0dHA6Ly9uZXdzLmNob3N1bi5jb20vc2l0ZS9kYXRhL2h0bWxfZGlyLzIwMTkvMDgvMDEvMjAxOTA4MDEwMDA1NC5odG1s0gFJaHR0cDovL20uY2hvc3VuLmNvbS9uZXdzL2FydGljbGUuYW1wLmh0bWw_c25hbWU9bmV3cyZjb250aWQ9MjAxOTA4MDEwMDA1NA4222280862651725245

군 또 오락가락…5월에 쏜 북 미사일 이제 와 “1발 아닌 2발” - 중앙일보 - 중앙일보

북한이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 두 발을 쏘아올린 31일 군 당국이 지난 5월 4일 발사된 북한 미사일 발수를 뒤늦게 내놨다. 그간 북한 미사일 발사를 놓고 초기 발표가 틀려서 정정을 반복했던 군 당국이 이번엔 상황 발생 후 3개월 가까운 시점에 가장 기본적인 내용을 늑장 보고했다.
 
바른미래당 소속 이혜훈 국회 정보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방부 보고를 받은 뒤 “지난 5월 4일 북한이 쏜 미사일이 한 발이 아닌 두 발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정보위 보고에서 “미사일 발사 이후 북한이 공개한 여러 사진을 정밀분석한 결과 두 발로 확인됐다”며 “당시 두 발을 인지하지 못한 것은 처음 발사한 미사일이 저고도로 비행해 레이더에 안 잡혔을 수 있고, 아니면 불발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북한, 엿새만에 또 미사일 2발 발사. 그래픽=김주원·심정보 기자 zoom@joongang.co.kr

북한, 엿새만에 또 미사일 2발 발사. 그래픽=김주원·심정보 기자 zoom@joongang.co.kr

당시 군 당국은 해당 미사일을 신형무기 등 발사체라고 규정하면서 몇 발이 발사됐는지는 확인이 어렵다는 입장이었다. 다음날인 5월 5일 북한 조선중앙통신에서 훈련 사진을 공개했는데도 미사일 발수에 대한 판단을 미뤘다. 일부 군사 전문가들이 이스칸데르급으로 추정되는 해당 미사일과 사진 등을 분석해 두 발이 유력하다는 주장을 내놨던 시점이었다. 그러나 군 당국자는 “여러 발사체가 발사되고 수십 분 뒤 한 발이 따로 쏘아올려졌는데, 이게 북한이 주장하는 신형 전술무기일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이를 토대로 언론들이 북한의 미사일 발수를 한 발로 보도해 왔지만, 군 당국은 이후 이를 한 차례도 바로잡지 않았다. 3개월간 ‘한 발’을 바로잡지 않은 데 대해 군 관계자는 “최종 분석이 안 끝났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북한 미사일을 놓곤 유독 군 당국의 오락가락 발표가 이어지고 있다. 5월 4일 첫 발표에선 단거리 ‘미사일’이 동쪽 방향으로 발사됐다고 했다가 40분 뒤 단거리 ‘발사체’로 정정했다. 미사일을 미사일로 부르지 못하는 촌극이 이때 벌어졌다. 같은 달 9일 북한이 쏜 미사일을 놓곤 최초 발표에선 평안북도 신오리 일대를 지목했다가 두 번째 발표에서 평안북도 구성 일대로 변경했다. 구성은 신오리로부터 북쪽으로 약 40㎞ 거리다. 군 당국이 북한의 미사일 발사 때 사전 징후 파악에 실패한 때문이라는 비판이 일었다.
 
지난 25일 북한의 올해 세 번째 미사일 시험에선 두 차례나 사거리를 정정했다. 처음엔 두 발 모두 430㎞라고 했다가, 이후 두 번째 미사일 사거리를 690㎞로 고쳤다. 그러다 다음날엔 두 발 모두 600㎞를 넘었다고 평가했다. 한 예비역 장성은 “요격을 위해선 비행거리를 통한 탄착 지점 예측이 가장 중요한데, 여기에서 큰 오차가 났다면 대응 태세를 다시 되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이날 정보위 보고에서 북한이 건조 중인 신형 잠수함이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세 발 정도 탑재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23일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3000t급 잠수함 건조 현장을 방문한 사진을 공개했다. 국방부는 “(신형 잠수함이) 진수 전 단계로 판단되며, 조만간 해상 진수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이혜훈 위원장에게 보고했다.
 
한편 이날 군사안보지원사령부는 박근혜 정부 시절 국군기무사령부가 휴대전화 감청장비를 도입해 성능시험을 하다가 “법적 근거가 미비하다는 내부 문제 제기에 따라 2014년 초 중단됐다”고 알렸다.
 
이근평·성지원 기자 lee.keunpyung@joongang.co.kr

Let's block ads! (Why?)


https://news.joins.com/article/23540984

2019-07-31 15:09:36Z
527818192734974222280862651725245

"北 신형 잠수함, SLBM 탑재 가능"...또 다른 위협 - YTN


북한이 지난 23일 공개한 잠수함은 SLBM, 즉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신형 잠수함으로 보인다고 국방부가 밝혔습니다.

조만간 진수식을 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는데요,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김문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2016년 8월 북한이 공개한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SLBM 발사 장면입니다.

물속에서 솟아 오른 미사일이 섬광을 내뿜으며 올라갑니다.

이 SLBM은 500km를 날아가 일본 방공식별구역 안 해상에 떨어졌습니다.

[北 조선중앙TV : 솟구쳐오른 탄도탄은 거세찬 불줄기를 시원히 내뿜으며 만리 대공으로 높이 치솟아 올랐습니다.]

시험발사에 성공했던 북한의 SLBM은 지난 3년 가까이 자취를 감췄고, 이따금 위성사진에 SLBM 탑재를 겨냥한 신형 잠수함 개발 의혹이 담겼습니다.

그리고 지난 23일.

김정은 위원장이 거대한 규모의 잠수함을 시찰하는 장면이 공개됐습니다.

[조선중앙TV : 최고 영도자 동지의 세심한 지도와 특별한 관심 속에 건조된 잠수함은 동해작전 수역에서 임무를 수행하게 되며 작전배치를 앞두고 있습니다.]

국방부는 북한의 이 신형 잠수함 미사일 발사관에 SLBM 3기 정도를 탑재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또, 잠수함 크기는 직경 7m에 길이는 70m~80m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혜훈 / 국회 정보위원장 : 북한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함교 부분에 모자이크 처리된 부분이 있는데 모자이크 처리된 이 부분이 SLBM 발사관을 탑재하는 위치인 곳으로 분석하고요.]

북한은 이 잠수함의 작전 수역이 동해라고 밝혔지만, 대응이 거의 어려운 수중발사 핵미사일 탑재 가능성이 제기돼 왔다는 점에서 향후 북미협상도 핵시설이나 물질 등을 넘어 한층 복잡하게 전개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YTN 김문경입니다.

Let's block ads! (Why?)


https://www.ytn.co.kr/_ln/0101_201907312153145970

2019-07-31 12:53:00Z
CAIiEK7ouCKDUH_nqPgnh3DKi_MqGQgEKhAIACoHCAowk_vcCjDo688BMLr6iAI4222280862651725245

"일본, 한국 화이트국 제외 말라" 한·일에 중재안 제시한 트럼프 행정부 - 중앙일보

사진은 2017년 9월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롯데 팰리스 호텔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 업무오찬에서 문재인 대통령(왼쪽부터)·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아베 신조 일본총리가 각각 발언을 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사진은 2017년 9월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롯데 팰리스 호텔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 업무오찬에서 문재인 대통령(왼쪽부터)·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아베 신조 일본총리가 각각 발언을 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일본의 수출규제 및 강제징용 배상 판결을 둘러싸고 대립이 격화하고 있는 한국과 일본에 사태 악화를 피하기 위한 중재안을 제시했다고 아사히신문이 31일 보도했다.

 
아사히신문은 이날 워싱턴발 기사에서 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일본에는 수출규제 강화 ‘제 2탄’을 중단할 것과 한국에는 강제징용 배상 판결과 관련해 압류한 일본 기업의 자산을 매각하지 않을 것을 촉구했다고 밝혔다. 또한 한미일 3국이 수출규제에 대한 협의의 틀을 만드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는 일본이 지난 4일 시작된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 조치에 이어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안보상 수출심사우대국)에서 제외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데 우려를 표한 상태다. 일본은 이르면 8월 2일 각의(국무회의)에서 이를 결정할 예정이다.
 
신문은 “트럼프 정권은 한국에 대해서는 한국 대법원이 일본 기업에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배상을 명령한 것과 관련해, 원고(피해자)가 한국 내 일본 기업의 자산을 현금화하는 것을 막아줄 것을 요청했다”고 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9일(현지시간) 기자들에게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 양측이 원한다면 “관여할 것”이라며 양국의 관계 개선을 위해 움직일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도 지난 30일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참석차 방콕을 향하는 기내에서 기자들에게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을 개최할 것을 밝히면서 “한일이 전진하는 길을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할 것”, “두 나라는 모두 우리의 위대한 파트너”라고 말했다.
 
그러나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관방장관은 이날 오전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이 한·일 양국에 추가 보복행위를 중단하는 ‘휴전협정(standstill agreement)’에 합의하라고 촉구했다는 미 고위 관리의 발언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방침에 변화가 없다”는 취지의 뜻을 밝혔다.
 
스가 관방장관은 “한·일 양국이 새로운 조치를 취하지 않도록 휴전협정에 서명하는 중재안을 미국이 제시했고, 이는 수출 규제와 관련된 ‘화이트국가'로부터의 한국 배제 조치를 연기하라고 촉구한 것’이라는 기자의 질문에 “그런 보도는 알고 있지만, (기자가)지적한 것과 같은 사실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양국 관계는 현재 한국 측으로부터의 부정적인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어 매우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며 “우리나라(일본)로선 여러 문제에 대한 일관된 입장에 기초해 한국에 계속 적절한 조치를 강하게 요구해나간다는 방침에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Let's block ads! (Why?)


https://news.joins.com/article/23540829

2019-07-31 12:26:30Z
527818239708234222280862651725245

트럼프 행정부, 韓日에 중재안..."日, 화이트리스트서 제외말라" - 뉴스플러스

입력 2019.07.31 21:18 | 수정 2019.07.31 21:27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한국과 일본의 갈등 해결을 위한 중재안을 제시했다고 아사히신문이 31일 전했다.

아사히신문은 이날 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미국 정부가 일본에는 화이트리스트(수출우대국 목록) 제외 같은 경제제재 조치를 추가로 진행하지 말 것을, 한국에는 일본 기업의 압류자산을 현금화하지 말 것을 각각 주문했다"고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 시각) 아폴로 11호 달 착륙 50주년을 기념하는 백악관 행사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그는 이날 한·일 갈등과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이 내가 관여할 수 있는지를 물어왔다'면서 '만약 (한·일 정상) 둘 다 원한다면 나는 (관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 시각) 아폴로 11호 달 착륙 50주년을 기념하는 백악관 행사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그는 이날 한·일 갈등과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이 내가 관여할 수 있는지를 물어왔다"면서 "만약 (한·일 정상) 둘 다 원한다면 나는 (관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이터 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선 19일 한·일 갈등과 관련해 한·일 양쪽에서 요청이 있을 경우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한 바 있다.

아사히신문은 또 "트럼프 행정부가 사태 악화를 피하고자 나섰다"며 "미국을 포함한 한미일 3개국이 수출규제에 관한 협의를 추진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 행정부는 일본이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하려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다음달 2일 국무회의를 열고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는 수출무역 관리령 개정안을 처리할 예정이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도 지난 30일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참석을 위해 탑승한 항공기 기내에서 진행된 미디어 브리핑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본 외무상을 각각 따로 만난 뒤, 두 사람을 함께 만나 양국이 나아갈 길을 찾을 수 있도록 독려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Let's block ads! (Why?)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7/31/2019073102623.html

2019-07-31 12:18:48Z
527818239708234222280862651725245

국회 대표단, 日 자민당 면담 연기...공감대 속 입장차 확인 - YTN


일본의 일방적인 수출 규제 조치와 관련해 여야 의원들로 구성된 국회 대표단이 오늘 일본을 방문해 일본 측 의원들과 의견을 나눴습니다.

집권 여당인 자민당 지도부와의 면담이 예정돼있었지만, 돌연 자민당 측의 요청으로 내일로 연기됐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우철희 기자!

우리 국회 대표단, 일본 집권 여당인 자민당과 면담이 예정돼 있었는데 연기됐다고요?


갑작스럽게 연기가 됐습니다.

원래 오늘 오후 5시, 우리 국회 대표단이 일본의 집권 여당인 자민당의 당사를 방문해 지도부와 면담이 예정돼 있었습니다.

우리 정당으로 따지면 원내대표격이자 자민당의 2인자인 니카이 간사장도 함께하기로 계획돼 있었습니다.

하지만 면담이 임박해올 때쯤 돌연 오늘 면담이 취소됐다는 소식이 저희 취재진에게 전해졌습니다.

내일부터 일본 국회가 열리는데 관련 대책회의를 위해 자민당 측에서 연기를 요청했다고 우리 국회 대표단 소속 여러 의원들이 전했습니다.

자민당 지도부와의 면담은 오늘 예정된 일정 가운데 가장 관심을 갖는 포인트였습니다.

아베 내각이 속한 집권 여당 지도부와의 만남인 만큼 수출 규제 조치 등에 대해 어떤 입장을 내놓을지 주목됐기 때문인데 내일 오전 면담까지 기다려봐야 하는 상황이 됐습니다.


우리 국회 대표단, 오늘 일본 의원들과 만났는데 어떤 얘기들을 주고받았습니까?
공감대와 함께 입장 차도 확인한 하루였다고 정리해볼 수 있겠습니다.

오늘 오전 도쿄에 도착한 우리 국회 대표단은 첫 일정으로 한·일의원연맹 소속 일본 측 의원들과 오찬 간담회를 진행했습니다.

정오부터 시작해 2시간 가까이 진행됐습니다.

눈여겨볼 대목은 크게 3가지 정도입니다.

우리 대표단 단장인 서청원 의원은 먼저 양국 의원들이 상황이 엄중하고, 갈등이 계속되면 양국 모두에 도움되지 않는다는 인식을 함께했다고 밝혔습니다.

한·일의원연맹 차원에서 현 상황과 관련한 공동성명 형태의 입장문이 나올 것이라는 말도 전했습니다.

다만 우리 대표단은 일본의 수출 규제조치의 부당함을 강하게 지적하면서 규제 조치를 철회하도록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또,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배제하면 전략물자 공급에 어려움이 생겨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이 제 기능을 하겠냐며 불가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이에 일본 측은 핵 개발 등 안보와 관련해 무역을 제대로 관리할 필요가 있고, 한국 기업의 피해가 크지 않다는 얘기를 들었다며 부당한 조치가 아니라는 점을 강변했습니다.

그러면서 수출 규제 조치와 강제징용, 위안부 문제는 별개라며 특히, 강제징용에 대해 한국 정부 스스로 처리하는 게 해결책이라고 반박했습니다.

이와 함께 우리 대표단은 오늘 자민당과 연립 여당을 구성한 공명당 지도부와도 면담을 갖고, 한·일 양국 현안이 원만히 해결되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우리 대표단은 방일 일정 마지막 날인 내일 일본의 야당 지도부와 만난 뒤 국내 특파원단과 방문 성과 등을 공유하고, 귀국할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일본 도쿄에서 YTN 우철희[woo72@ytn.co.kr]입니다.

Let's block ads! (Why?)


https://www.ytn.co.kr/_ln/0101_201907311909177312

2019-07-31 10:09:00Z
527818216852014222280862651725245

[속보] 청와대 NSC “북한 미사일 발사, 한반도 평화에 부정적 영향 우려” - 한겨레

정의용 실장 주재로 긴급 상임위 열어
“일 수출규제 조치 철회 위해 외교적 노력
상황 악화시켜 나갈 경우 단호히 대응”
청와대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엔에스씨)가 북한 단거리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한반도 평화구축 노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다고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청와대는 31일 서면 브리핑을 통해 이날 오전에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연 ‘NSC 긴급 상임위원회’ 회의 결과를 알렸다. 엔에스는 “상임위원들이 북한이 25일에 이어 오늘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을 발사한 것은 한반도 평화 구축을 위한 노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 강한 우려를 표명하고, 우리 군에 대해 관련 동향을 주시하면서 철저한 대비 태세를 유지할 것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이어 “상임위원들은 또한 지난달 30일 판문점에서 개최된 역사적인 남북미 3자 정상 회동 이후 조성된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협상 재개 동력이 상실되지 않도록 외교적 노력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청와대는 “엔에스 상임위원들은 최근 일본 정부가 취하고 있는 부당한 수출 규제 조치 철회를 위해 모든 외교적 노력을 다해 나갈 필요성을 재확인하였다”며 “우리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일본이 이러한 조치를 철회하지 않으면서 상황을 더욱 악화시켜 나갈 경우 우리 정부는 가능한 모든 조치를 포함하여 단호히 대응해 나가기로 하였다”고 밝혔다. 이날 엔에스씨 회의는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하는 전체회의가 아니라, 정의용 안보실장이 주재하는 상임위 회의로 열렸다. 이완 기자 wani@hani.co.kr

Let's block ads! (Why?)


http://www.hani.co.kr/arti/politics/bluehouse/903990.html

2019-07-31 06:19:02Z
527818192734974222280862651725245

Selasa, 30 Juli 2019

英 존슨 아일랜드와 국경에서 물리적 검문검색 없을 것 - 매일경제

원본사이즈 보기
보리스 존슨(가운데) 영국 총리 [EPA=연합뉴스]
사진설명보리스 존슨(가운데) 영국 총리 [EPA=연합뉴스]
▶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신임 총리가 30일(현지시간) 리오 버라드커 아일랜드 총리와 전화통화를 갖고, 어떤 경우에도 양국 국경에서 물리적인 검문검색을 실시하지 않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영국 총리실이 이날 내놓은 성명에 따르면 버라드커 총리는 이날 통화에서 존슨 총리에게 취임 축하 인사를 건넸다.

양국 정상은 영국과 아일랜드의 따뜻하고 깊은 관계에 기반해 계속 긴밀히 협력해나가기로 약속했다.

브렉시트와 관련해 존슨 총리는 무슨 일이 있더라도(no matter what) 10월 31일 유럽연합(EU)을 탈퇴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존슨 총리는 다만 어떤 경우에라도 영국은 북아일랜드 유혈 분쟁을 종식한 1998년 벨파스트 평화협정(굿프라이데이 협정)을 준수할 것이며, 브렉시트 이후 국경에서 물리적인 검문검색을 실시하거나 이를 위한 인프라를 설치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존슨 총리는 영국 정부가 어떤 협상이든 의지와 에너지, 우호적인 정신을 갖고 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원본사이즈 보기
리오 버라드커 아일랜드 총리 [AP=연합뉴스]
사진설명리오 버라드커 아일랜드 총리 [AP=연합뉴스]
▶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는 합의 하에 EU를 떠나는 것을 선호한다고 명확히 밝히면서, 다만 '안전장치'(backstop)는 폐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EU 탈퇴협정에 포함된 '안전장치'는 아일랜드 국경에서 '하드 보더'(Hard Border·국경 통과 시 통행과 통관 절차를 엄격히 적용하는 것)를 피하기 위해 미래관계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영국 전체를 당분간 EU 관세동맹에 잔류하도록 하는 내용이다.

이날 통화는 존슨 총리가 지난 24일 취임한 지 1주일 만에 이뤄졌다.

앞서 영국 언론들은 통상 영국 총리가 취임 당일날 아일랜드 총리와 통화하는 최근 관례와 달리 존슨 총리가 1주일이 지날 때까지 버라드커 총리와 연락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s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Let's block ads! (Why?)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19/07/582730/

2019-07-30 13:09:58Z
527818204756134222280862651725245

일본 언론 "한국 불매운동 이번엔 이례적 장기화" - YTN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강화 조치에 반발해 한국에서 일본제품 불매 운동이 벌어지는 상황을 자세하게 전하는 일본 언론의 보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불매운동은 과거 사례와 달리 이례적으로 장기화 양상을 띠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동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최근 몇 년 사이 한국인 관광객이 급증했던 일본 돗토리현.

하지만 일본제품 불매운동과 함께 들불처럼 번지는 일본 여행 자제 움직임으로 집중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한국 관광객들 덕분에 상당한 수익을 올렸던 상인들도 걱정이 큽니다.

[야마네 사토시 / 관광상품 판매 점원 : 아이스크림은 한국 관광객에게 잘 팔리는데 예년만큼 매상이 오를지 염려되네요.]

이처럼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 강화에 반발해 벌어지고 있는 한국 내 일본제품 불매 운동과 일본 여행 자제 바람이 큰 호응을 얻자 일본 언론의 관련 보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요미우리 신문은 이번 불매 운동이 과거의 사례와 달리 이례적으로 장기화 양상을 띠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특히 여론조사 결과 일본 제품 구매가 꺼려진다는 한국인의 응답이 80%에 달했다고 소개했습니다.

또 올해가 3.1 독립운동 100주년이어서 반일감정이 높아진 것도 배경이라면서 '독립운동은 못 했지만 불매운동은 한다'는 구호까지 등장했다고 전했습니다.

요미우리는 일본 제품에서 한국산으로 대체하길 권하는 '노노 재팬' 목록이 인터넷에 등장했으며 그 주요 대상은 맥주와 캐주얼 의류 브랜드 '유니클로', 일본 여행 상품 등이라고 자세히 소개했습니다.

아사히 신문도 일본의 수출규제 여파로 일본산 불매 운동 확산, 지자체 교류 중단 등 경제, 문화는 물론 스포츠 등 각 분야에 악영향이 나타난다고 우려했습니다.

YTN 이동우입니다.

Let's block ads! (Why?)


https://www.ytn.co.kr/_ln/0104_201907302151273377

2019-07-30 12:51:00Z
527818218699814222280862651725245

김연철 "北 미사일, 9·19 취지 안 맞아"…강경화 "제재 대상 소지" - SBS 뉴스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북한의 최근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남북군사합의 1조에는 적대행위 금지라는 내용이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김 장관은 오늘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북한의 최근 미사일 발사가 9·19 남북군사합의를 위반한 것이냐'는 더불어민주당 심재권 의원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습니다.

김 장관은 민주당 송영길 의원의 같은 질문에도 "남북군사합의 위반은 아니지만 그렇게 해석할 수 있는 여지는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이어 "남북 간 군사합의의 취지를 살려 나가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그다음 9·19 군사합의에서 합의했듯 남북군사공동위원회를 가동해 조금 더 높은 수준의 군사적 신뢰구축 조치들을 실행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김 장관은 대북 쌀 지원이 무산된 것과 관련해 "WFP와 협의를 하면서 공식 답변을 기다리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북한 미사일이 한국 안보에 위협이 되느냐'는 바른미래당 박주선 의원의 질의에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은 분명히 위협이 된다"고 밝혔습니다.

강 장관은 '북한 미사일이 탄도미사일이라고 한다면 유엔 제재 대상이 되느냐'는 박 의원의 추가 질의에는 "탄도미사일은 전반적으로 제재에 걸려 있지만 그에 따라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것인지는 유엔안보리에 달렸다"며 "대북제재 대상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Let's block ads! (Why?)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375137

2019-07-30 10:17:00Z
527818192734974222280862651725245

김연철 "北 미사일, 9·19 군사합의 취지 안 맞아" - YTN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최근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9·19 남북 군사합의의 취지에 안 맞는다고 밝혔습니다.

김 장관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군사협정 위반이라고 판단하느냐'는 민주당 심재권 의원의 질의에 9·19 군사합의 1조에는 적대 행위를 금지한다는 내용이 있는 만큼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김 장관은 군사합의의 취지를 살려 나가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면서, 남북군사공동위원회를 가동해 높은 수준의 군사적 신뢰 구축 조치들을 실행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민주당 송영길, 심재권, 이수혁 의원 등은, 그렇다면 우리 군의 스텔스 전투기 도입과 한미군사훈련 등도 적대 행위가 아니냐는 취지로 질의를 거듭했습니다.

또,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은 분명히 위협이 된다면서, 유엔의 대북제재 대상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조은지[zone4@ytn.co.kr]

Let's block ads! (Why?)


https://www.ytn.co.kr/_ln/0101_201907301815523615

2019-07-30 09:15:00Z
527818192734974222280862651725245

日, 54년 전 '한일청구권 협정 문서' 갑자기 공개…의도는? - SBS 뉴스

사흘 뒤 한국에 대한 추가조치를 의결할 것으로 알려진 일본이 이번에는 느닷없이 54년 전에 체결된 한일청구권 협정 문서를 공개하고 나섰습니다. 한국인 강제징용 피해자들에 대한 일본의 배상 문제가 이미 끝났다는 기존 주장을 되풀이하려는 의도일 텐데, 결국 보복 조치라는 점을 스스로 인정한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성회용 특파원입니다.

<기자>

일본은 어제(29일) 외무성을 통해 1965년 한일청구권 협정 문서와 의사록을 공개했습니다.

일본 정부의 입장을 언론에 설명한다는 명분을 내걸었습니다.

이에 대해 스가 관방장관은 '한국의 국제법 위반'을 거론하면서 강제징용 배상 판결을 반박하겠다는 속내를 드러냈습니다.

[스가/일본 관방장관 : 한국 정부에 대해 국제법 위반 상태의 시정을 포함한 구체적 조치를 조속히 강구하도록 요구하는 입장에 변함이 없습니다.]

스가 장관은 또 일본 기업의 정당한 경제활동 보호를 위해 모든 선택사항을 시야에 넣고 대응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일본 언론은 스가 장관이 수출규제와 관련한 추가 조치를 변경 없이 추진하겠다는 의미로 해석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외국 언론에 대해서도 관련 자료를 배포하고 추가 설명의 자리를 만들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일본이 54년이 지난 한일청구권 협정 문서를 꺼내 들고나온 것은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 강화가 징용배상 판결에 대한 보복 조치임을 스스로 인정한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동시에 안보상 이유로 한국에 대한 수출 관리를 강화하는 것이라고 말해 온 명분마저 걷어냄으로써 본격적인 경제 보복에 나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Let's block ads! (Why?)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374717

2019-07-30 08:11:00Z
CBMiOmh0dHBzOi8vbmV3cy5zYnMuY28ua3IvbmV3cy9lbmRQYWdlLmRvP25ld3NfaWQ9TjEwMDUzNzQ3MTfSAT9odHRwczovL25ld3Muc2JzLmNvLmtyL2FtcC9uZXdzLmFtcD9uZXdzX2lkPU4xMDA1Mzc0NzE3JmNtZD1hbXA4222280862651725245

Senin, 29 Juli 2019

중국 “홍콩 혼란 지속시 대가” - 한국어 방송 - VOA Korean

중국 정부는 “홍콩에서 혼란이 계속되면 사회적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중국 국무원 홍콩ㆍ마카오 사무판공실 양광 대변인은 오늘(29일) 기자회견을 통해 “홍콩 시위가 일국양제(한 나라 두 체제) 원칙의 마지노선을 건드렸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중국 정부가 홍콩 내정을 주제로 회견을 연 것은 1997년 주권 반환 이후 22년 만에 처음입니다.

회견에서 양 대변인은, 중국 정부가 캐리 람 행정장관과 홍콩 당국을 지지한다고 거듭 확인했습니다.

양 대변인은 “람 장관의 통치와 홍콩 경찰의 엄격한 법 집행을 굳건히 지지한다”고 밝히고, 시위대의 폭력 행위를 “절대 좌시하지 않겠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시위 진입 과정에서 “홍콩 경찰과 가족들이 받고 있는 거대한 압력을 이해한다”면서 “치욕을 참으며 임무를 수행 중인 그들에게 경의를 표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중국 당국이 앞서 몇 차례 밝힌 군 투입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직접적인 답변을 피했지만, “(홍콩특별행정구) 기본법에 규정이 있으니 직접 찾아보라”고 언급했습니다.

현재 홍콩에서는 ‘범죄인 인도조례’ 개정에 반대하는 여론을 계기로 반 정부 시위가 두 달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홍콩 도심에서는 지난 주말에도 시위대가 또다시 진압 병력과 충돌한 가운데, 경찰은 오늘(29일) 새벽 시위 가담자 49명을 체포했습니다.

경찰은 화염병을 비롯한 살상 도구가 등장하면서 시위가 점차 극렬화되고 있다며, 강경하게 대응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습니다.

그러나 시위는 계속 확대될 전망입니다.

홍콩 정부 각 부처 공무원 단체는 어제(28일) 성명을 내고 다음달 2일 반 정부 시위대를 지지하는 집회를 열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앞서 노인단체와 교수, 주부 등을 비롯한 사회 각계각층의 반정부 시위 지지 활동이 이어졌습니다.

VOA 뉴스

Let's block ads! (Why?)


https://www.voakorea.com/a/5019485.html

2019-07-29 13:00:00Z
527818201434724222280862651725245

[정치부회의] 트럼프 "북한 미사일 발사, 미국에 경고한 것 아니다" - JTBC News

Let's block ads! (Why?)


https://www.youtube.com/watch?v=kqEH9J2fftU

2019-07-29 09:57:14Z
527818192734974222280862651725245

靑-기자, 대통령 주말 제주도행 휴가냐 아니냐 설전 - 미디어오늘

문재인 대통령이 29일부터 예정했던 휴가를 취소하기 직전 주말에 제주도를 다녀온 것을 두고 기자들과 청와대 관계자가 설전을 벌였다. 일부 기자는 휴가취소가 아니라 휴가 축소라고 볼 수 있지 않느냐고 했으나 청와대는 평일이면 휴가겠지만, 주말에 다녀온 것은 개인일정이라고 반박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29일 오후 브리핑에서 한 기자가 “대통령의 주말 제주도행은 비공개 외출인가 휴가인가”라고 질의하자 “당초 계획했던 여름휴가를 취소하고 그 대신 주말을 이용해 제주를 방문한 개인 일정”이라고 밝혔다.

다른 어느 기자는 “많은 국민들이 주말을 이용해서 제주도로 휴가를 가는데 사실상 휴가 축소라고 볼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물었다. 이에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이) 아무리 국정에 무한책임을 지지만 공직자는 주말과 평일이 있다”며 “주말을 이용해 어느 지역을 방문한다는 것은 개인의 일정일 수 있다”고 반박했다.

또 다른 어느 기자가 ‘문 대통령이 24시간 일상을 공개하겠다고 공약했는데, 이번 휴가 관련해 24시간 공개에 비해서는 조금 삐끗했다는 느낌을 받는다’며 ‘언제 갔고, 언제 돌아오셨는지 정도는 알려줘야 맞지 않느냐’고 촉구했다. 이 관계자는 “일정 공개와 관련해서는 국민들께 상세히 알려야 되지만 외교안보 사항이나 개인 일정은 알리기 어려운 측면이 있음을 양해해 주리라 믿는다”며 “주말을 이용해 제주를 방문한 개인 일정이라고 말씀드렸다”고 답했다.

개인일정을 떠난 것이 금요일 오후인지, 토요일에 간 것인지 묻자 청와대 관계자는 “토요일 오전”이라고 밝혔다.

이번 제주도행의 의미를 묻는 기자 질문에 이 관계자는 정확한 사항은 알지 못한다면서도 “대통령의 특별한 일정이 있지는 않았고, 개인적 시간에 대통령께서 여러 구상을 하고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을 갖지 않았을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7일 오전 제주 시내에 있는 명물식당을 방문해 주민들과 인사하고 있다. 사진은 현장에 있던 주민이 제주 소상공인경영지원센터에 제공해줬다. 사진=제주 소상공인경영지원센터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7일 오전 제주 시내에 있는 명물식당을 방문해 주민들과 인사하고 있다. 사진은 현장에 있던 주민이 제주 소상공인경영지원센터에 제공해줬다. 사진=제주 소상공인경영지원센터

문 대통령의 일본 경제보복 보고와 지시 여부에 이 관계자는 “국내외 현안의 산적한 상황 등을 종합 고려해 현안에 충실히 대응코자 휴가를 취소하신 것으로 안다”며 “집무실에서 업무를 보면서 현안 보고를 받고 지시하는 등 정상 업무를 볼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일본 수출 규제 관련 “당연히 보고 받으시고 대비를 해 나갈 것”이라고 답했다.

이와 함께 일본 주재 총영사의 부하 여직원 성추행 보도와 관련해 청와대 관계자는 “이 사건은 현재 권익위에 접수돼 수사기관에 통보됐다”며 “사실이라면 있을 수 없는 일이고, 수사를 지켜보겠다”고 밝혔다.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호르무즈 해협 국제연합에 한국도 참가한다고 한 것에 청와대 관계자는 “현재까지 결정된 바 없다”며 “우리 선박 보호를 위해서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고 말했다.

이번 목선이 왔을 때엔 군이 먼저 알린 이유는 무엇이냐는 질의에 청와대 관계자는 “통상적으로 합동조사하고, 대공 용의점이 있는지 등을 판단해 매뉴얼에 기초해 공개 여부 등을 결정한다”고 답했다. 그는 “그런 차원에서 그 상황 자체를 알렸다라고 본다”고 말했다.

Let's block ads! (Why?)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1479

2019-07-29 07:56:00Z
527818188706164222280862651725245

한·미·일, 내달 아세안 회의 계기에 '3자 외교 협의' 추진 - 한겨레

소식통, “두 회담 모두 추진 중”
성사되면 한-일 갈등 관리 위한
‘고위 외교 협의의 장’ 열리는 셈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왼쪽부터), 고노 다로 일본 외상,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8일 도쿄에서 한-미-일 3국 외교장관 회의를 한 뒤 손을 맞잡고 기자들 앞에 서 있다. 도쿄/AFP 연합뉴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왼쪽부터), 고노 다로 일본 외상,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8일 도쿄에서 한-미-일 3국 외교장관 회의를 한 뒤 손을 맞잡고 기자들 앞에 서 있다. 도쿄/AFP 연합뉴스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이 새달 2일 타이 방콕에서 열리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 회의 참석 계기에 한·미·일 3국 외교장관 회의를 추진하고 있다. 성사되면 지난 4일 아베 신조 일본 정부의 대한국 수출규제 조처로 가파르게 높아지는 한-일 갈등의 관리를 시도할 고위 외교 협의의 장이 열리는 셈이다. 복수의 정부 소식통은 29일 아세안지역포럼 계기에 한·일 양자 외교장관 회담과 한·미·일 외교장관 회의가 열릴 가능성과 관련해 “두 회담 모두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한 정부 소식통은 “열릴 것 같다”고 낙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한국 외교부의 공식 견해는 “정해진 게 아무것도 없다”이지만, 실제론 외교 창구로 일정을 조율하고 있으며 조만간 공식 발표가 있을 전망이다. 강 장관은 31일 출국해 8월3일 귀국한다. 미 국무부 고위 당국자는 26일(현지시각) 폼페이오 장관의 아시아 순방(7월30일~8월6일) 관련 전화 브리핑에서 “미국, 한국, 일본을 같은 곳에 두기만 하면 언제든 한자리에 모이고 싶은 마음이 들 것”이라며 한·미·일 3자 회동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 고위 당국자는 “우리는 생산적이고 한·일 양쪽에 이익이 되는 방식으로 이 문제를 다루도록 장려할 방안을 찾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금껏 한국 정부는 한-일 갈등과 관련해 ‘대화의 문이 열려 있다’는 태도를 견지해왔지만, 일본 정부는 대화에 응하지 않았다. 그러다 21일 참의원 선거 이후, 특히 25일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를 계기로 태도에 미묘한 변화를 보였다. 이번 사태가 불거진 뒤 처음으로 강 장관과 고노 외상의 전화통화가 26일 성사된 게 대표적이다. 다만 한-일,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이 열려도 일본의 수출규제 조처를 둘러싼 한-일 갈등의 출구를 찾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 정부 소식통은 “경제보복 문제는 일본 총리 관저와 경제산업성이 주도해 외교 라인에서 해결하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

Let's block ads! (Why?)


http://www.hani.co.kr/arti/politics/diplomacy/903745.html

2019-07-29 07:40:00Z
CBMiOWh0dHA6Ly93d3cuaGFuaS5jby5rci9hcnRpL3BvbGl0aWNzL2RpcGxvbWFjeS85MDM3NDUuaHRtbNIBAA4222280862651725245

日 관방,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연장 희망 시사 - YTN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갱신 문제와 관련해 "2016년 체결 이후 매년 자동 연장돼왔다"며 연장을 희망한다는 뜻을 내비쳤습니다.

스가 장관은 오늘 정례브리핑에서 "양국 간 군사정보보호협정은 안보 분야의 협력과 연대를 강화해 지역 평화와 안정에 기여한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스가 장관은 "일본 정부로서 한일관계가 현재 매우 어려운 상황이지만 협력해야 할 과제는 확실히 협력해 나가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이 점을 고려해 적절하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북한의 대남 선전사이트 '우리민족끼리'는 어제 논평을 통해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은 일본 군국주의 부활과 한반도 재침략의 발판을 제공하는 매국적인 협정이라며 한국 내에서 협정 파기 요구가 높아지는 것은 당연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의 유효 기간은 1년인데, 기한 만료 90일 전에 어느 쪽이라도 협정 종료 의사를 통보하면 종료됩니다.

한국 내에서는 이달 초 시작된 일본의 수출 규제 강화 조치 이후 이 협정을 파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이 협정과 관련해 지난 18일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5당 대표의 청와대 회동에서 "지금은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갖고 있으나 상황에 따라 재검토할 수 있다"며 유동적인 태도를 보였습니다.

Let's block ads! (Why?)


https://www.ytn.co.kr/_ln/0104_201907291554540580

2019-07-29 06:54:00Z
527818204464674222280862651725245

Minggu, 28 Juli 2019

2년간 3조7000억… 적자 쌓이는 한전 - 뉴스플러스

입력 2019.07.29 01:31

한전, 이사회에 자체전망 보고
탈원전에 올해 적자 1조5000억… 부채 비율도 99→112%로 증가

한전 영업 실적 전망
한국전력의 올해 영업손실 자체 전망치가 1조5000억원(자회사 제외)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2조2000억원 영업손실에 이어 2년 연속 천문학적 적자를 예상하고 있는 것이다. 한전은 또 중장기 재무 전망에서 2023년에도 영업손실이 1조4000억원에 달하고, 부채 비율은 150.3%까지 급증할 것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한국당 곽대훈 의원이 28일 공개한 한전의 '2019~2023년 중장기 재무관리 계획(안)'에 따르면, 올해 한전 영업실적(별도 재무제표 기준)은 1조5000억원 적자, 부채 비율은 전년 98.7%에서 111.8%로 급등하는 것으로 명기돼 있다. 한전은 지난달 21일 열린 이사회에서 이 계획안을 심의·의결했다.

한전은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 연속 흑자를 내다가 지난해부터 큰 폭의 적자로 전환했다. 현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 시작 전인 2016년과 비교하면 2년 만에 영업이익은 6조4000억원 줄고, 부채 비율은 21.9%포인트 폭등한 것이다.

한전은 또 계획안에서 "올해 7조6000억원을 투자하고, 2020~2023년에는 34조1000억원을 더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곽 의원 측은 "영업손실이 눈덩이처럼 늘어나고 있는데도 탈원전과 신재생에너지 확대 사업 등에 천문학적 금액을 지속적으로 투자하겠다는 뜻"이라고 주장했다.

한전 이사회는 이 계획안 의결 1주일 뒤인 6월 28일, 매년 3000억원의 추가 부담을 한전이 떠안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전기요금 누진제 개편안까지 통과시켰다. 곽 의원은 "한전은 공기업이긴 하지만 국내와 미국 뉴욕 증시에까지 상장돼 있다"며 "아무리 공익을 도모하더라도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부채를 알면서도 주주 이익에 반(反)하는 정책을 과속으로 밀어붙이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Let's block ads! (Why?)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7/29/2019072900081.html

2019-07-28 16:31:33Z
CBMiR2h0dHA6Ly9uZXdzLmNob3N1bi5jb20vc2l0ZS9kYXRhL2h0bWxfZGlyLzIwMTkvMDcvMjkvMjAxOTA3MjkwMDA4MS5odG1s0gFJaHR0cDovL20uY2hvc3VuLmNvbS9uZXdzL2FydGljbGUuYW1wLmh0bWw_c25hbWU9bmV3cyZjb250aWQ9MjAxOTA3MjkwMDA4MQ4222280862651725245

[사진] 김영철보다 상석에 앉은 최선희 - 중앙일보 - 중앙일보

김영철보다 상석에 앉은 최선희

김영철보다 상석에 앉은 최선희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정전협정 체결 66주년을 맞아 국립교향악단의 음악회를 관람했다고 노동신문이 28일 보도했다. 북한은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체결일을 전승절로 기념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여정 제1부부장, 이만건 조직지도부장, 김 위원장, 박광호 선전선동부장,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 김영철 당 부위원장. [노동신문=뉴시스]

Let's block ads! (Why?)


https://news.joins.com/article/23538045

2019-07-28 15:20:53Z
CBMiJ2h0dHBzOi8vbmV3cy5qb2lucy5jb20vYXJ0aWNsZS8yMzUzODA0NdIBK2h0dHBzOi8vbW5ld3Muam9pbnMuY29tL2FtcGFydGljbGUvMjM1MzgwNDU4222280862651725245

北 목선, NLL 넘어 軍 예인…'항로 착오' 여부 조사 - SBS 뉴스

그런데 이 두 사람이 북에서 출발해서 내려오던 어젯(27일)밤에 동해에선 또 이런 일도 벌어졌습니다. 북한 사람 3명이 탄 작은 나무배가 NLL을 넘어서 남쪽으로 내려오는걸, 우리 해군이 포착해서 양양에 끌어다 놨습니다. 선원들은 뱃길을 잘못 읽었다, 귀순할 생각도 없다고 주장을 하고 있는데, 석연치 않은 점들이 있어서 집중 조사를 하고 있습니다.

안정식 북한전문 기자입니다.

<기자>

북한 소형 목선이 우리 고속정에 이끌려 예인되고 있습니다.

이 배가 우리 군에 처음 포착된 것은 어젯밤 10시 15분쯤.

동해 NLL, 북방한계선 북쪽으로 5.5km 해상에 있던 이 목선은 남쪽으로 이동해 NLL을 넘은 뒤에도 계속 남하했습니다.

우리 군이 고속정 등을 긴급 출동 시켜 NLL 남쪽 6.3km 지점에서 목선을 단속했습니다.

길이 10m의 목선에는 북한 선원 3명이 타고 있었고 다수의 어구와 오징어가 실려 있었습니다.

군은 북한 목선을 강원도 양양 지역 군항으로 예인했습니다.

발견 당시 북한 선원들은 '항로 착오'로 NLL을 넘었으며 귀순 의사를 묻는 우리 군에 "아니오, 일 없습니다"라고 답변했습니다.

하지만 군은 석연치 않은 점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보통 오징어잡이 목선이 무리 지어 다니는데, NLL 북방에 이 목선 한 척만 있었던 점, 연안 불빛을 확인할 수 있고 자체 엔진을 사용해 남쪽으로 왔는데도 항로 착오라고 언급한 점, 통상 귀순 의사로 통용되는 흰색 수건을 목선에 걸어놓았던 경위 등이 명확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군은 목선이 북한군의 보급을 담당하는 부업선으로 보인다면서 선원 1명이 군복을 입고 있었지만, 군인 여부는 확인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에 억류 중이던 우리 선원들이 풀려난 날 북한 목선이 예인되는 미묘한 상황이 발생했지만, 남북관계에 영향을 주는 큰 사건으로 확대될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입니다.

다만, 북한이 오늘도 한미훈련을 이유로 대남 비난을 계속하는 등 공세를 강화하고 있어 남북관계의 소강상태는 계속될 전망입니다.

(영상편집 : 하성원)     

Let's block ads! (Why?)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371895

2019-07-28 11:30:00Z
527818184791224222280862651725245

한밤중에 하얀 천 달고…北소형목선 또 남하 - 매일경제

지난 27일 밤 동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온 북한 소형 목선(왼쪽)이 돛대 끝에 흰 천(빨간색 점선)을 단 채로 28일 새벽 강원도 양양지역 군항으로 예인되고 있다. 이 목선에는 군복을 착용한 선원 1명을 포함해 총 3명의 북한 선원이 타고 있었다.  [사진 제공 = 합동참모본부]
사진설명지난 27일 밤 동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온 북한 소형 목선(왼쪽)이 돛대 끝에 흰 천(빨간색 점선)을 단 채로 28일 새벽 강원도 양양지역 군항으로 예인되고 있다. 이 목선에는 군복을 착용한 선원 1명을 포함해 총 3명의 북한 선원이 타고 있었다. [사진 제공 = 합동참모본부]
북한 소형 목선이 돛대 끝에 하얀 천을 달고 심야에 동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왔다. 하지만 군 조사에서는 `귀순 의사가 없다`고 진술해 향후 남하 의도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논란이 예상된다. 28일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 소형 목선이 지난 27일 밤 11시 21분 NLL 남쪽으로 넘어왔다. 발견 당시 목선에는 북한 선원 3명이 타고 있었으며 이 중 1명은 군복을 착용하고 있었다.
선원들은 `방향성을 잃었다` `항로 착오로 NLL을 넘게 됐다`고 진술했으며 귀순 의사는 없다고 밝혔다. 해당 선박은 길이 약 10m의 소형 목선으로 발견 당시 돛대 끝에 하얀 천을 달고 있었다. 선박에 GPS 장비는 없었고 갑판과 어창에는 어구와 오징어가 있었다. 합참은 북한군 부업선(부업으로 고기를 잡는 배)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군 관계자는 "최초 발견 당시 인근에 조업 어선이 없는 상태에서 NLL 북쪽에 단독으로 있다가 일정한 속도로 정남향했고 자체 기동으로 NLL을 넘었다"며 "목선에는 군 부업선으로 추정되는 고유 일련번호로 된 선명이 표기돼 있었다"고 설명했다.

군은 북한 선원을 새벽 2시 17분 강원도 양양지역 군항으로 이송했고 목선은 오전 5시 30분 같은 군항으로 예인했다. 앞서 군은 27일 오후 10시 15분 동해 NLL 북방 5.5㎞ 해상에서 처음으로 정체불명의 선박을 포착했다. 이 선박이 2∼5노트 속도로 엔진 기동을 통해 남쪽으로 이동해 NLL을 넘자 군은 즉각 고속정과 특전사 고속단정 등을 현장에 급파했다.

[김정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t's block ads! (Why?)


https://www.mk.co.kr/news/politics/view/2019/07/574775/

2019-07-28 09:46:03Z
527818184791224222280862651725245

Sabtu, 27 Juli 2019

홍콩 시민 29만 명 '백색테러' 규탄 ...시위대·경찰 정면충돌 - YTN

지난 21일 홍콩 전철역에서의 백색테러, 즉 흰옷 입은 사람들이 시민들을 무차별 폭행한 사건을 규탄하는 시위가 어제 오후 홍콩 위안랑 역 부근 도로를 중심으로 곳곳에서 열렸습니다.

경찰은 반대 세력과의 충돌 우려를 이유로 금지 방침을 통보했지만, 주최 측 추산 28만8천 여명이 규탄 집회에 참가하고 행진했습니다.

시위대는 대부분 검은 옷을 입고 위안랑역 인근 도로를 점거한 채 행진하면서 지난 21일 벌어진 폭력 사건을 규탄했습니다.

경찰은 3천 명 이상을 배치해 지난 21일 폭력 사건을 일으킨 용의자 일부가 사는 것으로 알려진 남핀와이 마을에 들어가는 것을 막았습니다.

또 최루탄과 진압용 스펀지탄을 발사해 강제해산에 나섰지만 시위대가 기물을 던지며 맞서 부상자가 속출했습니다.

'백색테러' 규탄 시위 직전에는 백색테러가 발생했던 홍콩 외곽 위안랑 전철역 인근에서 한 남성이 인파 속에서 다른 남성을 흉기로 공격했다 시민들에게 제압돼 경찰에 넘겨진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지난 21일 밤 홍콩 위안랑 전철역에서는 송환법에 반대하는 시위 참여자들과 시민들을 흰옷 입은 남성 100여 명이 쇠몽둥이와 각목 등으로 무차별 공격해 최소 45명이 다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홍콩 경찰은 용의자 12명을 체포했으며, 여기에는 홍콩 폭력조직 삼합회 일파의 조직원이 여럿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Let's block ads! (Why?)


https://www.ytn.co.kr/_ln/0104_201907280004318596

2019-07-27 15:04:00Z
CBMiMWh0dHBzOi8vd3d3Lnl0bi5jby5rci9fbG4vMDEwNF8yMDE5MDcyODAwMDQzMTg1OTbSAUNodHRwczovL20ueXRuLmNvLmtyL25ld3Nfdmlldy5hbXAucGhwP3BhcmFtPTAxMDRfMjAxOTA3MjgwMDA0MzE4NTk24222280862651725245

"재선 급한 트럼프, 北에 지렛대만 제공" 미 조야서 비판론 - SBS 뉴스

북한의 단거리 탄도 미사일 발사 이후 미 조야에서 지난달 30일 극적으로 이뤄진 북미 정상 간 '판문점 회동'의 성과가 빛바래졌다는 회의론이 계속 고개를 들고 있다.

판문점 회동의 성과였던 실무협상 재개가 당초 예정됐던 '7월 중순'을 넘긴 채 계속 지연되는 상황에서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5월에 이어 "소형 미사일일 뿐"이라며 또다시 의미 축소에 나선 것을 두고 비판의 목소리가 잇따라 제기돼왔다.

무엇보다 트럼프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이번 발사가 '남측에 대한 경고용'이라는 북한의 발표를 염두에 둔 듯 "우리에 대한 경고가 아니다"며 '남북 간의 문제'라는 식의 태도를 보인 것이 도마 위에 올랐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대 외교 치적으로 꼽아온 대북 성과가 대선 국면에서 '훼손'될 가능성을 우려한 나머지, 단거리 미사일의 사정권 안에 있는 한국이나 일본 등 동맹에 대한 위협에 눈을 감은 채 결과적으로 북한에 지렛대만 제공해주고 있다는 지적인 셈이다.

워싱턴포스트(WP)는 북한의 잠수함 공개와 미사일 발사 등을 거론,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땅을 밟은 첫 현직 미국 대통령이 된 지 약 한 달 만에 판문점 회동의 '희열'이 희미해졌다"며 "판문점 회동의 주된 성과인 실무협상 재개의 시간표를 넘긴 가운데 평양의 공격적인 행동이 협상 재개 약속에 대한 '180도 돌변'인지 아니면 단순한 협상 전술인지를 둘러싼 의문이 고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북한의 '벼랑 끝 전술'이 자신의 '대북 외교'가 한반도에서의 전쟁 가능성을 낮추고 역사적인 비핵화 합의의 기초를 닦았다는 재선 캠페인 메시지를 복잡하고 위태롭게 만들고 있다고 WP는 분석했다.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 특별대표가 이끄는 협상팀은 되도록 내주에 협상이 재개되길 희망해 왔지만,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협상 시점을 더 지연시킬 것으로 보인다고 고위 당국자가 WP에 전했다.

북한의 대미 협상 채널이 기존의 통일전선부에서 외무성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미 당국자들과 뉴욕의 유엔 북한 대표부 간 이른바 '뉴욕 채널'을 통한 소통이 늘어났지만, 중요한 것은 의사소통의 '빈도'보다는 '질'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라고 WP는 전했다.

미 당국자들은 북한이 특히 레이더 시스템에 도전이 될 수 있는 스텔스 능력을 갖춘 한국의 F-35A 스텔스 전투기 도입에 '격분'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WP는 보도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 의도와 관련, 싱크탱크인 전략국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 석좌는 여러 가지 가설이 서로 반드시 상충하는 건 아니라며 "평양이 동시에 여러 각도를 갖고 움직이는 것일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해 그 의미를 축소하고 있는 가운데 북한에 대한 보다 분명한 경고 메시지를 보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미국의 북한 전문 웹사이트 '38노스'를 운영하는 조엘 위트 스팀슨 센터 수석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에 대해 '인내심 있는 접근법'을 취하고 있는 건 옳은 일이라면서도 "일정한 시점에 인내심이 바닥날 수 있다는 걸 보여주기 위한 전략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의 합의 도출에 너무 절박한 나머지, 북한 단거리 미사일의 사정권 안에 있는 동맹인 일본과 한국에 가해지는 위험을 간과했다는 비판론도 고개를 들었다.

본토 타격이 가능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나 미국령인 괌을 사정권으로 하는 중장거리 탄도미사일(IRBM) 발사 등 미국에 직접적 위협이 되지만 않는다면 '묵인'할 수 있다는 잘못된 신호를 북한에 발신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니얼 러셀 전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로이터통신에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5월 국빈 방문 당시에도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 의미를 축소했던 것을 환기하며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아닌 그 동맹들을 겨눈 북한의 미사일 발사들에 면죄부를 주겠다는 뜻을 보임으로써 그때 이미 동맹의 연대와 억지력을 훼손했다"고 지적했다.

러셀 전 차관보는 트럼프 대통령이 단거리 탄도 미사일 발사에 따른 유엔 결의의 추가적 위반을 눈감아줌으로써 김 위원장에게 "재선 캠페인 과정에서 '나의 대북 정책이 작동하고 있다는 주장을 계속해야 하는 상황이니 당신이 나에 대한 지렛대를 갖고 있다. 내가 묵과할 수 없는 핵실험과 ICBM 발사만 하지 말아라'는 메시지를 던진 것"이라고 꼬집었다.

전직 미 국방부 당국자인 밴 잭슨 뉴질랜드 웰링턴 빅토리아대 교수는 "미사일 테스트에 대해 '협상하자'고 대응하는 것은 '도덕적 해이'"라며 "미국이 그만큼 협상에 절박하다는 김정은의 인식만 강화해줄 뿐"이라고 지적했다.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 주일 미군뿐 아니라 일본, 한국과 같은 동맹에 가해지는 위협을 무시했다"고 보도했다.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도 "북한이 이번 발사가 '남쪽 이웃'에 대한 경고라고 지칭한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에 대한 북한의 경고를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고 지적했다.

AFP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은 단거리 미사일 시험 발사에 뒤따른 북한의 호전적 언어에 대해 '그것은 동맹인 한국을 가리킨 것이지 미국을 가리킨 게 아니다'라고 넘겼다"고 풀이하며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이 미국에는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했지만, 단거리 미사일이 미국 근처에는 도달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그 미사일의 사정거리는 동맹인 한국과 대규모 주한미군 기지를 필시 포함한다"고 꼬집었다.

(연합뉴스) 

Let's block ads! (Why?)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371351

2019-07-27 14:46:00Z
527818134536164222280862651725245

홍콩 '백색테러 규탄' 집회…경찰-시위대 최루탄 대치 - JTBC News

Let's block ads! (Why?)


https://www.youtube.com/watch?v=YBAwzyHsPC0

2019-07-27 13:03:40Z
527818159004074222280862651725245

홍콩 `백색테러` 규탄 대규모 집회…경찰, 최루탄 쏴 강제해산(종합) - 매일경제

경찰 금지 통고에도 열린 '백색테러' 규탄 행진
사진설명경찰 금지 통고에도 열린 '백색테러' 규탄 행진

지난 21일 홍콩 전철역에서 흰옷을 입은 정체불명의 남성들이 시민들을 무차별 폭행한 사건이 파문을 일으킨 가운데 27일 경찰의 금지 방침에도 당시 '백색 테러'를 규탄하는 집회가 열렸다.

시위대는 경찰의 집회 금지 통고에도 도로 점거 행진을 강행했다. 이에 경찰은 최루탄과 시위 진압용 스펀지탄을 사용해 시위대 강제 해산에 나서면서 부상자도 발생했다.

27일 명보(明報)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현지시간)께부터 신계(新界) 지역의 위안랑(元朗)역 인근 도로에서 폭력 규탄 집회가 열렸다.

현장 사진과 영상 등을 보면 시위 참가자는 최소 수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경찰은 10만명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했다.

대체로 검은 옷을 입은 시위대는 위안랑역 인근 도로를 점거한 채 행진하면서 지난 21일 벌어진 폭력 사건을 규탄했다.

많은 시위 참가자는 폭력 사건을 일으킨 흰옷 남성들 못지않게 경찰의 미온적 대처를 비난했다.

교과서 편집자인 스씨는 SCMP에 "경찰이 우리를 지켜주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시민들이 우리 자신을 지킬 것"이라고 말했다.

행진 참가자들은 경찰을 뜻하는 '警'자에서 밑의 '말씀 언'(言)자를 빼고 대신 폭력조직을 뜻하는 흑(黑)자를 넣은 글자를 찍은 손팻말을 들기도 했다.

경찰과 조폭의 유착 의혹 제기하는 시위대
사진설명경찰과 조폭의 유착 의혹 제기하는 시위대

당초 경찰은 시위대와 반대 세력 간 충돌을 우려해 집회 금지 통고를 했다.

하지만 시민들은 예정 시간이 되자 도로로 내려섰고 경찰은 처음에는 시위대와의 충돌을 우려한 듯 현장에서 떨어진 채 상황을 관망했다.

대신 경찰은 시위대가 지난 21일 폭력 사건을 일으킨 용의자 일부가 사는 것으로 알려진 남핀와이(南邊圍) 마을에 들어가는 것은 철저하게 막는 등 시위대와 반대 세력 간의 유혈 충돌을 막는 데 주력했다.

경찰은 일대에 3천명 이상을 배치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다.

'백색 테러' 사건이 시민들 사이에 큰 분노를 불러일으키면서 인터넷에서는 남핀와이 마을을 파괴하자는 극단적 주장까지 나온 바 있어 이날 시위가 양측 간 대규모 충돌로 번질 것이라는 우려도 커졌다.

'흰옷' 근거지로 알려진 남핀와이 지키는 경찰
사진설명'흰옷' 근거지로 알려진 남핀와이 지키는 경찰

시위대는 남핀와이 마을 입구까지 행진해 격렬하게 항의의 뜻을 전달했다.

일부 시위대가 분을 이기지 못하고 "깡패들아 나와서 한판 붙자"라고 소리치는 모습도 목격됐다.

저녁이 돼 경찰이 강제 해산에 나섰고, 위안랑 전철역 일대 도로 곳곳에서 경찰과 시위대가 충돌하면서 부상자가 다수 발생했다.

경찰은 시위대 해산을 위해 최루탄과 비살상 무기의 일종인 스펀지탄을 사용했다. 또 현장에서 불법 시위 혐의로 일부 시위대도 체포했다.

오후 8시(현지시간) 현재 시위대는 위안랑 전철역 인근에서 대부분 철수했지만 일부는 경찰에 산발적인 저항을 하고 있다.

지난 21일 밤 위안랑 전철역에는 100여 명의 흰옷을 입은 남성이 쇠몽둥이와 각목 등으로 송환법 반대 시위 참여자들과 시민들을 무차별적으로 공격, 최소 45명이 다쳐 병원으로 이송되는 사건이 벌어져 홍콩은 물론 국제사회에 충격을 안겼다.

홍콩 경찰은 용의자 12명을 체포했으며, 여기에는 홍콩 폭력조직 삼합회(三合會) 일파인 '워싱워(和勝和)', '14K' 등의 조직원이 여럿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가운데 이날 시위가 시작되기 직전, 거리에서 갑작스러운 흉기 공격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다.

한편, 이날 오후 위안랑 전철역 인근에서 한 남성이 인파 속에서 다른 남성을 흉기로 공격했다. 가해자는 다른 시민들에게 제압당했고, 이어 출동한 경찰에 체포됐다.

경찰은 체포 남성을 상대로 자세한 사건 경위와 범행 동기 등을 조사 중이다.

[연합뉴스]

Copyrights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Let's block ads! (Why?)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9/07/572898/

2019-07-27 12:46:57Z
527818159004074222280862651725245

홍콩 '백색 테러' 규탄 집회…수만 명 참여 - SBS 뉴스

지난 21일 홍콩 전철역에서 일어난 이른바 '흰옷 테러'를 규탄하는 집회가 오늘(27일) 홍콩에서 시민 수만 명이 참여한 가운데 열렸습니다.

검은 옷을 입은 시위대는 폭력 사건을 일으킨 흰옷 남성들 못지않게 경찰의 미온적 대처를 비난했습니다.

당초 경찰은 시위대와 반대 세력 간 충돌을 우려해 집회 금지를 통고했으나 시민들이 시위를 강행하자 강제 해산에 나서진 않았습니다.   

Let's block ads! (Why?)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371223&plink=NEW&cooper=SBSNEWSSECTION

2019-07-27 12:21:00Z
CBMiWmh0dHBzOi8vbmV3cy5zYnMuY28ua3IvbmV3cy9lbmRQYWdlLmRvP25ld3NfaWQ9TjEwMDUzNzEyMjMmcGxpbms9TkVXJmNvb3Blcj1TQlNORVdTU0VDVElPTtIBP2h0dHBzOi8vbmV3cy5zYnMuY28ua3IvYW1wL25ld3MuYW1wP25ld3NfaWQ9TjEwMDUzNzEyMjMmY21kPWFtcA4222280862651725245

홍콩서 수만명 `백색테러` 규탄 집회…충돌 우려 불허에도 강행 - 매일경제

경찰 금지 통고에도 열린 '백색테러' 규탄 행진
사진설명경찰 금지 통고에도 열린 '백색테러' 규탄 행진

지난 21일 홍콩 전철역에서 흰옷을 입은 정체불명의 남성들이 시민들을 무차별 폭행한 사건이 파문을 일으킨 가운데 27일 경찰의 금지 방침에도 당시 `백색 테러`를 규탄하는 집회가 열렸다.

27일 명보(明報)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현지시간)께부터 신계(新界) 지역의 위안랑(元朗)역 인근 도로에서 폭력 규탄 집회가 열렸다.

현장 사진과 영상 등을 보면 시위 참가자는 최소 수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경찰은 10만명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했다.

대체로 검은 옷을 입은 시위대는 위안랑역 인근 도로를 점거한 채 행진하면서 지난 21일 벌어진 폭력 사건을 규탄했다.

많은 시위 참가자는 폭력 사건을 일으킨 흰옷 남성들 못지않게 경찰의 미온적 대처를 비난했다.

교과서 편집자인 스씨는 SCMP에 "경찰이 우리를 지켜주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시민들이 우리 자신을 지킬 것"이라고 말했다.

행진 참가자들은 경찰을 뜻하는 `警`자에서 밑의 `말씀 언`(言)자를 빼고 대신 폭력조직을 뜻하는 흑(黑)자를 넣은 글자를 찍은 손팻말을 들기도 했다.

경찰과 조폭의 유착 의혹 제기하는 시위대
사진설명경찰과 조폭의 유착 의혹 제기하는 시위대

당초 경찰은 시위대와 반대 세력 간 충돌을 우려해 집회금지 통고를 했다. 하지만 시민들은 예고된 시간이 되자 도로로 내려갔고 경찰은 시위대와의 충돌을 우려한 듯 현장에 나타나지 않았다.

대신 경찰은 시위대가 지난 21일 폭력 사건을 일으킨 용의자 일부가 사는 것으로 알려진 남핀와이(南邊圍) 마을에 들어가는 것은 철저하게 막는 등 시위대와 반대 세력 간의 유혈 충돌을 막는 데 주력했다.

`백색 테러` 사건이 시민들 사이에 큰 분노를 불러일으키면서 인터넷에서는 남핀와이 마을을 파괴하자는 극단적 주장까지 나온 바 있어 이날 시위가 양측 간 대규모 충돌로 번질 것이라는 우려도 커졌다.

'흰옷' 근거지로 알려진 남핀와이 지키는 경찰
사진설명'흰옷' 근거지로 알려진 남핀와이 지키는 경찰

경찰은 일대에 3천명 이상을 배치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다.

시위대는 남핀와이 마을 입구까지 행진해 격렬하게 항의의 뜻을 전달했다.

일부 시위대가 분을 이기지 못하고 "깡패들아 나와서 한판 붙자"라고 소리치는 모습도 목격됐다.

지난 21일 밤 위안랑 전철역에는 100여 명의 흰옷을 입은 남성이 쇠몽둥이와 각목 등으로 송환법 반대 시위 참여자들과 시민들을 무차별적으로 공격, 최소 45명이 다쳐 병원으로 이송되는 사건이 벌어져 홍콩은 물론 국제사회에 충격을 안겼다.

홍콩 경찰은 용의자 12명을 체포했으며, 여기에는 홍콩 폭력조직 삼합회(三合會) 일파인 `워싱워(和勝和)`, `14K` 등의 조직원이 여럿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가운데 이날 시위가 시작되기 직전, 거리에서 갑작스러운 흉기 공격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날 오후 위안랑 전철역 인근에서 한 남성이 인파 속에서 다른 남성을 흉기로 공격했다. 가해자는 다른 시민들에게 제압당했고, 이어 출동한 경찰에 체포됐다.

경찰은 체포 남성을 상대로 자세한 사건 경위와 범행 동기 등을 조사 중이다.

[연합뉴스]

Copyrights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Let's block ads! (Why?)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9/07/572509/

2019-07-27 10:01:28Z
527818159004074222280862651725245

홍콩 '백색테러' 규탄시위 앞두고 흉기 공격 사건 발생 - SBS 뉴스

▲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오늘(27일) 홍콩에서 이른바 '백색 테러'를 규탄하는 대규모 시위가 예고된 가운데 거리에서 갑작스러운 흉기 공격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오늘 오후 대규모 시위가 예상되는 위안랑 전철역 인근에서 한 남성이 다른 남성을 흉기로 공격했다고 밝혔습니다.

당시 위안랑역 일대에는 지난 21일 일어난 흰옷 남성들의 폭력 행위를 규탄하기 위해 다수의 사람들이 모여 있었습니다.

흉기 공격 용의자는 다른 시민들에게 제압당했고, 이어 출동한 경찰에 체포됐습니다.

목격자 람씨는 "만약 군중들이 그를 제압하지 않았다면 다른 이들을 더 공격했을 것"이라며 "2분 거리에 있는 경찰은 15분 뒤에나 도착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Let's block ads! (Why?)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371187

2019-07-27 08:02:00Z
527818159004074222280862651725245

美 국무부, ARF 계기 '한·미·일 3자 회동' 가능성 시사 - 조선일보

입력 2019.07.27 15:36

미국 국무부는 26일(현지 시각) 한·미·일 3자 협의를 추진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음달 2일 태국 방콕에서 열리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 회담을 계기로 3자 회동이 성사될지 주목된다.

일본 교도통신에 따르면, 미 국무부 고위 당국자는 이날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태국, 호주, 미크로네시아 순방 일정에 대한 전화 브리핑에서 한·일 갈등과 관련, ‘미국이 갈등 완화를 위해 중재나 개입에 나설 것인가’라는 질문에 "좋은 질문이지만 어려운 질문"이라며 "미국과 한국, 일본이 같은 장소에 모일 때마다 함께 하고 싶은 바람이 있다"고 했다.

이는 오는 2일 태국 방콕에서 열리는 ARF 외교장관 회담에서 한·미·일 3자 회동이 이뤄질 가능성을 시사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이번 ARF에는 폼페이오 장관을 비롯해 강경화 외교부 장관,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도 참석한다.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6월 28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공식환영식에서 서로를 지나치고 있다. /연합뉴스
이 당국자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분명히 한국과 일본 간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 우려하고 있다"며 "우리는 양측 모두에 이익이 되는 생산적 방법으로 문제를 다루기 위해 양국을 도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데이비드 스틸웰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가 최근 한국과 일본을 방문해 양국 갈등 상황에 대해 양측의 입장을 듣고 논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가 협력할 수 있는 공통 이익의 영역을 찾길 바란다"고도 했다.

미국이 한·일 갈등에 개입할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북한 문제에 관한 3국 공조 체제를 위해서라는 분석도 나온다. 교도통신은 "트럼프 행정부가 이번 사태에 관심을 갖는 것은 한·일 관계의 경색이 북한 비핵화에 대한 한·미·일 3국의 공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북한 리용호 외무은 ARF 외교장관 회담에 참석하지 않는다.

Let's block ads! (Why?)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7/27/2019072700937.html

2019-07-27 06:36:39Z
527818166613334222280862651725245

Jumat, 26 Juli 2019

北김정은 직접 발사 지휘..."南에 경고" - YTN


북한은 이번 미사일 발사가 우리 측에 대한 경고라고 주장했습니다.

최근 우리의 최신 무기 도입을 비난한 데 이어 한미연합훈련을 강행하려 한다며 중단을 촉구했습니다.

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공개한 미사일 발사 장면입니다.

이동식 발사 차량에서 쏘아 올렸는데, 지난 5월 발사한 미사일과 거의 같습니다.

이례적으로 발사 배경도 함께 밝혔습니다.

우리의 F-35A 스텔스 전투기 도입 등을 염두에 둔 듯 최신 무기 도입과 다음 달 한미연합훈련 계획에 대한 경고라는 겁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사격을 조직했고, 처음부터 끝까지 지켜봤다고 전했습니다.

[조선중앙TV : 우리의 거듭되는 경고에도 불구하고 남한 지역에 첨단 공격형 무기들을 반입하고 군사연습을 강행하려고 열을 올리고 있는 남한 군부 호전 세력들에게 엄중한 경고를 보내기 위한 무력시위의 일환으로, 신형전술유도무기사격을 조직하시고 직접 지도하셨습니다.]

아예 '위력 시위'라고 명명하며, 우리 측에 맞서 국방력을 과시하려는 의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냈습니다.

통상적인 훈련이라고 강조했던 지난 5월보다 한층 강경해진 태도입니다.

[조선중앙TV(지난 5월) : 우리의 정상적인 훈련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입방아를 찧어대고 있으니 얼굴에 철가면을 쓰지 않았나 묻고 싶다.]

김정은 위원장은 우리 측을 향한 비난도 쏟아냈습니다.

앞에선 평화의 악수를 건네고, 돌아앉아선 공격형 무기를 사들이고 한미연합훈련을 한다는 겁니다.

문재인 대통령을 겨냥한 듯 자멸적 행위를 중단하고 지난해 4월, 9월과 같은 바른 자세를 되찾기 바란다고 압박했습니다.

또, 남측의 최신 무장 장비를 무력화할 수단의 개발과 실험이 급선무라고 밝혀 추가 발사와 실험을 이어갈 뜻을 내비쳤습니다.

YTN 김지선입니다.

Let's block ads! (Why?)


https://www.ytn.co.kr/_ln/0101_201907262149175216

2019-07-26 12:49:00Z
CBMiMWh0dHBzOi8vd3d3Lnl0bi5jby5rci9fbG4vMDEwMV8yMDE5MDcyNjIxNDkxNzUyMTbSAUNodHRwczovL20ueXRuLmNvLmtyL25ld3Nfdmlldy5hbXAucGhwP3BhcmFtPTAxMDFfMjAxOTA3MjYyMTQ5MTc1MjE24222280862651725245

北 "김정은, 신형전술유도무기 사격 직접 지휘...南에 엄중 경고" / YTN - YTN NEWS

Let's block ads! (Why?)


https://www.youtube.com/watch?v=ys84RoIIDuA

2019-07-26 12:12:16Z
527818151060544222280862651725245

러 외무부, 北외교관 초치해 억류 선박·선원 석방 요구 - 뉴스플러스

입력 2019.07.26 19:31

러시아 외무부가 25일(현지 시각) 주러 북한 대사관 고위 관계자를 초치해 북한에 억류된 자국 어선과 선원의 조속한 석방을 요구했다.

러시아 외무부는 이날 언론 보도문을 통해 "진정협 주러 북한 대사 대리를 외무부로 초치해 어선 ‘샹 하이린 8호’ 억류 사건에 대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전달했다"고 밝혔다. 러 외무부는 이 자리에서 양국 현안과 한반도 정세도 논의했다고 했다.

 김정은(왼쪽)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019년 4월 25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루스키섬 내 극동연방대학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글로벌뉴스
김정은(왼쪽)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019년 4월 25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루스키섬 내 극동연방대학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글로벌뉴스
러시아 국적의 300t급 어선인 샹 하이린 8호는 지난 16일 오후 7시쯤 속초항을 출발해 러시아 극동쪽으로 항해하던 중 기관 고장을 일으켜 표류했다. 이후 다음 날 동해상 북측 수역에서 북한 국경수비대 군함에 나포돼 원산항으로 이송됐다. 이 어선은 홍게잡이 어선으로 한국인 선원 2명과 러시아 국적 선원 15명 등 총 17명이 타고 있었다. 한국인 선원 2명은 각각 50대, 60대 남성인 것으로 파악됐다.

북한 측은 ‘북한 영토 입국 및 체류 규정’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이 선박을 억류하고 선원 17명을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주재 러시아 대사관에 따르면, 선원들은 모두 원산의 한 호텔에 머물고 있으며 건강한 상태다.

러시아는 북한의 어선 억류가 불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러시아 수산청은 이날 "수산청 감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어선은 (북한)해안에서 멀리 떨어져 북한 영해를 벗어난 곳을 항해 중이었다"고 발표했다.

통일부는 18일 상황을 파악한 뒤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대북통지문을 전달하고 수차례 북측에 회신을 요청했지만 아직까지 별다른 연락을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Let's block ads! (Why?)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7/26/2019072602240.html

2019-07-26 10:31:40Z
527818154325864222280862651725245

하강하다 수평으로 '풀업 기동'…탐지·요격 어려운 북 신형 미사일 - 한겨레

합참이 분석한 ‘북 신형전술유도무기’
두 발 모두 비행거리 600여㎞
합참, 하루만에 분석결과 수정
“레이더 탐지 제한구역서 더 날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한미 군사연습과 남측의 신형군사장비 도입에 반발해 지난 25일 신형 단거리 탄도 미사일의 '위력시위사격'을 직접 조직, 지휘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6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한미 군사연습과 남측의 신형군사장비 도입에 반발해 지난 25일 신형 단거리 탄도 미사일의 '위력시위사격'을 직접 조직, 지휘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6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합동참모본부(합참)는 북한이 전날 발사한 ‘신형 단거리 탄도 미사일’이 “러시아 이스칸데르 미사일과 유사한 특성을 가졌다”고 26일 밝혔다. 합참은 “그동안 북한이 보유하고 있던 일반적인 단거리 탄도 미사일과 다르다”고 평가했다. 러시아 이스칸데르 미사일은 정점 고도에 이른 뒤 하강하다 운동 방향이 다시 위쪽으로 솟구치는 ‘풀업(pull-up) 기동’ 방식의 궤적을 그린다. 일반 탄도미사일의 포물선 궤적과 달라 레이더 탐지와 요격이 어렵다. 합참 관계자는 이날 “한-미 공동 평가 결과 이 미사일의 사거리는 두 발 모두 600여㎞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첫째는 430㎞, 둘째는 690㎞를 날았다는 전날 평가를 정정한 것인데, “상실 고도(레이더 탐지 제한 구역) 아래서 추가 기동이 드러나 (최초 평가와) 차이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미국 쪽과 달리 한국 쪽이 첫 발사의 비행 거리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이유에 대해 합참 관계자는 “(남쪽의 정반대 방향인) 동해 북동쪽으로 발사가 이뤄져 레이더에 사각지대가 발생한 탓”이라며 “애초 발표한 사거리는 우리 레이더가 탐지·포착한 지점까지 거리였고, (미사일이) 상실 고도 아래에서 ‘풀업 기동’ 등 추가 기동을 해서 사거리에 차이가 났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우리 탐지 레이더는 한국을 지키기 위한 것으로 북에서 남으로 오는 미사일을 거의 다 잡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25일 신형전술유도무기 위력시위 사격”이 있었다며 “방어하기 쉽지 않을 전술유도탄의 ‘저고도 활공 도약형 비행 궤도’”를 강조했는데, 이는 합참이 거론한 ‘풀업 기동’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군 당국은 이 미사일이 북쪽이 5월4일과 9일에 쏜 발사체와 “유사한 미사일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분석 중”이다. 노동신문>은 “새로 작전 배치하게 되는 신형전술유도무기체계”라며 실전 배치 단계임을 내비쳤는데, 한·미 군 당국은 ‘시험 발사’ 단계로 보고 있다. 노지원 이제훈 기자 zone@hani.co.kr

Let's block ads! (Why?)


http://www.hani.co.kr/arti/politics/defense/903532.html

2019-07-26 09:20:16Z
527818134536164222280862651725245

북 신형미사일 발사, 대남 무력시위 겸 “문 대통령 향한 호소” - 한겨레

김 위원장 신형미사일 발사 지도 의미
미사일 발사 ‘경고성 무력시위’ 밝혀
“최신 무기 반입·군사연습 중단을”
트럼프 “작은 미사일일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한미 군사연습과 남측의 신형군사장비 도입에 반발해 지난 25일 신형 단거리 탄도 미사일의 '위력시위사격'을 직접 조직, 지휘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6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한미 군사연습과 남측의 신형군사장비 도입에 반발해 지난 25일 신형 단거리 탄도 미사일의 '위력시위사격'을 직접 조직, 지휘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6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남조선 당국자가 최신 무기 반입과 군사연습을 중단하고 지난해 4월, 9월과 같은 바른 자세를 되찾기 바란다는 권언(권하는 말)을 남쪽을 향해 오늘(25일)의 위력시위사격 소식과 함께 알린다”고 말했다고 26일 노동신문>이 1면 머리기사로 보도했다. ‘남조선 당국자’는 사실상 문재인 대통령을 가리킨다. 신형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라는 ‘무력시위’로 남쪽의 F-35A 등 첨단무기 도입과 8월 한-미 연합 군사연습 중단을 압박하는 한편으로, 4·27 판문점선언과 9·19 평양공동선언으로 돌아가자는 호소다. 4·27 판문점선언은 “남북 군사신뢰구축과 단계적 군비감축”, 9·19 평양공동선언은 “비무장지대(DMZ) 등 대치지역 군사적 적대관계 종식, 실질적 전쟁 위협 제거” 등의 약속을 담고 있다. 김정은 위원장은 “남조선 군부호전세력들에게 엄중한 경고를 보내기 위한 무력시위의 일환으로 25일 신형전술유도무기 사격을 조직하시고 직접 지도”했다고 노동신문>이 전했다. 김 위원장은 “남조선 군부호전세력들이 필사적으로 끌어들이는 최신 무장장비들은 공격형 무기들이며 그 목적 자체도 변명할 여지 없고 숨길 수 없는 것”이라며 “우리 국가의 안전에 무시할 수 없는 위협”이라고 규정했다. 그러고는 “그것들을 무력화시켜 쓰다 버린 파철로 만들기 위한 물리적 수단의 개발과 실전 배비를 위한 시험들은 우리 국가의 안전보장에 급선무적인 필수사업이며 당위적인 활동”이라고 “동행 (노동당 중앙위원회) 간부들과 국방과학 부문 간부들에게” 선언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한반도 평화를 위한 대화의 동력을 살리겠다는 정부의 입장은 변함없다”며 “북한이 쏜 미사일로 남북 간에 가고자 하는 방향이 달라진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8월 한-미 연합 지휘소연습과 관련해 “변화된 사항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첨단공격형 무기들”이 뭔지 특정하지 않았다. 앞서 북쪽은 11일 ‘외무성 미국연구소 정책연구실장 담화’로 “남조선 당국이 ‘보이지 않는 살인무기’로도 불리는 ‘F-35A’를 미국으로부터 납입하려 하고 있다”며 “상대방을 겨냥한 무력증강을 전면중지할 데 대하여 명백히 규제한 ‘판문점선언 군사분야 이행합의서’에 대한 정면도전”이라고 비난했다. 한국군은 미국의 최신예 스텔스전투기인 F-35A를 올해 들어 지금까지 8대 들여온 데 이어 연말까지 모두 합쳐 16대를 들여올 계획이다. 아울러 미국의 최신예 고고도 무인정찰기인 ‘글로벌호크’도 9월 2대를 시작으로 연말까지 4대를 들여올 예정이다. 이는 근본적으론 다수의 스텔스기와 정찰위성을 갖춘 중국·일본 등 주변국과 군사력 불균형을 줄이려는 중장기 전력증강계획의 일환이다. 하지만 북한의 핵·미사일, 군지휘부를 정밀타격하는 작전의 핵심 자산이기도 해 북쪽 군부의 반발이 거세다. 지난해 4월 ‘사회주의 경제건설 집중’을 새 전략노선으로 채택한 뒤 “모든 힘을 경제건설에 집중”(4월12일 최고인민회의 14기 1차 회의 시정연설)하자며 인민군과 군수공업까지 동원해온 김 위원장으로선 안팎으로 곤혹스러운 상황일 수 있다. 김 위원장은 올해 신년사에선 “군수공업부문에서 경제건설을 적극 지원해야 하겠습니다”라고, 조선인민군 창건 71돌인 2월8일엔 인민무력성에서 군단장·사단장·여단장을 모두 모아놓고 “국가경제발전 5개년 전략 수행의 관건적인 해인 올해에 인민군대가 한몫 단단히 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김 위원장으로선 ‘남조선과 미국이 우리를 기만하고 있다. 이대로 손놓고 있을 수 없다’는 군부 중심의 반발을 다독일 대응 행동이 불가피했을 것”(외교안보분야 고위 인사)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까닭이다. 노동신문> 보도를 보면, 김 위원장은 “남조선 군부호전세력들”과 “남조선 당국자들의 이중적 행태”를 비난하면서도, 사실상 문 대통령을 가리키는 ‘남조선 당국자’한테는 ‘권하는 말’만 내놨다. 한-미 연합 군사연습을 문제삼으나 대미 경고는 없었다. 25일 미사일 발사가 대남 경고용 ‘무력시위’라면서도, 정작 미사일은 남쪽의 반대 방향이자 주변국 어느 곳도 지나지 않는 “동해 북동쪽 (먼바다)”(26일 합동참모본부)로 쐈다. 군사적 대치와 충돌보다 ‘정치적 메시지’를 전하는 데 무게를 실었다고도 풀이할 수 있다. 실제 김 위원장은 수행 간부들한테 “초강력 무기체계 개발”을 지시하면서도 “부득불”이라는 수식어를 앞세웠다. 특히 노동신문>이 사실상 문 대통령을 향해 “남조선 당국자는 오늘의 평양발 경고를 무시해버리는 실수를 범하지 말아야 한다”면서도 그 앞에 “아무리 비위가 거슬려도”라고 단서를 단 대목은 섬세한 독해가 필요하다. 북한식 어법에 밝은 전직 고위관계자는 “군부의 반발을 다독이며 경제건설 노선을 지속해야 하는 자신의 어려운 처지를 헤아려달라는 김 위원장의 문 대통령을 향한 호소의 성격도 있다”고 짚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각) 폭스 뉴스> 인터뷰에서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그들은 핵실험을 하지 않고 있다. 그들은 정말로 작은 미사일들(smaller ones) 외에는 미사일 실험을 하지 않아 왔다”며 소형 미사일은 “많은 이들이 실험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과 협상 과정을 중단할 중대 사유는 아니라는 뜻이다. 이제훈 선임기자,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성연철 기자 nomad@hani.co.kr

Let's block ads! (Why?)


http://www.hani.co.kr/arti/politics/defense/903530.html

2019-07-26 09:16:51Z
527818134536164222280862651725245

태풍 '나리' 동일본 강타 예상…일본 방재당국 비상 - 한겨레

올해 들어 6번째 태풍인 ‘‘나리‘‘가 26일 오전 9시께 일본 오사카 남남동쪽 약 570㎞ 부근 바다에서 발생했다고 기상청이 밝혔다. 소형 태풍인 ‘‘나리‘‘는 강풍 반경 180㎞, 최대 풍속은 초속 18m(시속 65㎞)에 달한다. 중심기압은 1천hPa이다. 연합뉴스
올해 들어 6번째 태풍인 ‘‘나리‘‘가 26일 오전 9시께 일본 오사카 남남동쪽 약 570㎞ 부근 바다에서 발생했다고 기상청이 밝혔다. 소형 태풍인 ‘‘나리‘‘는 강풍 반경 180㎞, 최대 풍속은 초속 18m(시속 65㎞)에 달한다. 중심기압은 1천hPa이다. 연합뉴스
제6호 태풍인 '나리'가 일본 동부 지방을 강타할 것으로 예상돼 일본 방재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26일 마이니치신문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발생한 태풍 '나리'는 27~28일 일본 기이(紀伊) 반도와 동일본에 상륙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동일본 지역에서는 26일 밤부터 주말을 거쳐 천둥을 동반한 많은 비가 에상된다. 태풍 나리는 이날 오전 12시45분 기준으로 와카야마(和歌山)현 시오노미사키(潮岬) 남쪽 350㎞ 지점에서 시속 20㎞ 속도로 북상하고 있다.중심 기압은 1천hPa이다. 일본 기상청은 태풍으로 인해 26일부터 28일 밤까지 동일본의 태평양 인접 지역에서 시간당 50㎜ 이상의 '상당히 강한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했다. 26일 오전~27일 오전 24시간 동안 수도권 간토(關東)와 도카이(東海) 지역에서 최대 200㎜의 비가 내릴 것으로 내다봤다. 일본기상청은 토사 붕괴 등 재해에 경계할 것을 요청하는 한편 바다와 강, 산에서의 레저 활동에도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나리는 우리나라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을 의미한다. 연합뉴스

Let's block ads! (Why?)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903517.html

2019-07-26 08:02:35Z
CBMiSmh0dHA6Ly93d3cuaGFuaS5jby5rci9hcnRpL2ludGVybmF0aW9uYWwvaW50ZXJuYXRpb25hbF9nZW5lcmFsLzkwMzUxNy5odG1s0gEA4222280862651725245

'北미사일 평가' 9번 질문에 靑관계자 "말씀드리기 어렵다", "우리 입장 변화 없다" - 조선일보

입력 2019.07.26 16:48 | 수정 2019.07.26 17:11

北중앙통신 '남조선 당국자 이중 행태' 주장에 코멘트 요청 쏟아져...靑핵심관계자, "北공식 입장 아니라 말씀드리기 어려워"
韓·美발표 '신형 탄도 미사일' UN제재 여부는 "우리가 UN제재 주도한 적 있나"

청와대는 26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전날 단거리 탄도 미사일 '위력 시위 사격'을 직접 지도하며 '남조선 당국자'를 향해 경고성 발언을 했다고 북한 매체가 보도한 것과 관련, "(김정은의) 담화문이 아닌 조선중앙통신 보도로 북한 뿐 아니라 어떤 나라든 그 나라의 공식 입장이 아닌 부분에 대해서는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하며 "한반도 평화를 위한 대화의 모멘텀을 살려가겠다는 우리 정부의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청와대 입장은 (전날) NSC(국가안전보장회의) 보도자료가 나간 것으로 말씀을 드리겠다"고 했다. 그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의도에 대해서는 "논의는 있었지만 공개적으로 말할 사안은 아니다"고 했다.

앞서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김정은이 "남조선 당국자들이 세상 사람들 앞에서는 '평화의 악수'를 연출하며 공동선언이나 합의서 같은 문건을 만지작거리고, 뒤돌아 앉아서는 최신 공격형 무기 반입과 합동 군사 연습 강행과 같은 이상한 짓을 하는 이중적 행태를 보이고 있다"면서 "남조선 당국자가 자멸적 행위를 중단하고...", "아무리 비위가 거슬려도 남조선당국자는 오늘의 평양발 경고를 무시해버리는 실수를 범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김정은이 직접 3차례 '남조선 당국자' '당국자들'이라고 한 부분은 사실상 문 대통령을 겨눈 것으로 해석됐다.

이날 출입기자들은 이와 직·간접으로 관련해 청와대 입장을 총 9차례 질문했다. 김정은의 발언에 대한 입장·대책을 네 번 물었고, 북한의 미사일 발사의 의도에 대해서도 세 차례 질문했다. 또 청와대와 미국이 인정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 발사에 따른 향후 대북 제재 추진 여부·가능성에 대한 질문도 두 차례 나왔다.

청와대 관계자는 김정은이 언급한 '합동군사연습'(한미연합훈련) 계획과 관련 우리 정부의 입장 변화가 있느냐는 물음에는 "변화된 것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 또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한 것으로 제재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유엔 안보리 제재 가능성은 우리 정부가 판단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며, 그 판단과 결정은 유엔 안보리가 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우리 정부가 안보리 대북 제재를 추진하느냐'는 질문에 "우리 정부 주도로 안보리 대북 제재를 추진한 적이 있는가"라고 반문한 뒤 "우리는 안보리 이사국이 아니라 판단과 결정이 어렵다. 우리가 주체적으로 (제재를 추진)할 계획은 알지 못한다"고 답했다.

이 관계자는 '북한의 단거리탄도미사일 발사는 9·19 남북군사합의 위반 아니냐'는 취지의 질문에는 "9·19 남북군사합의에 탄도미사일 금지규정은 없다"고도 했다. 그는 "이번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인해서 대화로 이 문제를 풀고 평화를 가져오겠다는 방향이 바뀌었다는 것은 아니다"라고도 했다.

한편 이 관계자는 지난 5월 북한 발사체와 달리 단거리 탄도 미사일이라는 분석이 짧은 시간에 나온 배경과 관련,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지난 5월 4, 9일과 어제(지난 25일) 있었는데, 두달전 발사는 실패한 것이 많았다"며 "사거리가 얼마나 되느냐가 탄도냐 순항이냐를 구분하는 근거라고 한다. 이번 미사일 발사는 2발 다 성공해 명확한 사거리가 나왔다"고 말했다. 또 "5월부터 계속 분석하는 상황이라 좀 더 빠른 시간 안에 분석을 끝낼 수 있었다"며 "어제 NSC 상임위를 통해 국방장관 등 상임위원들이 함께 있는 자리라 그 시각에 미사일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도 거쳤다"고 덧붙였다. 그는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에 대해서는 "추가 도발 가능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군사대비태세에 대해서는 국방부가 자세히 브리핑한 것으로 안다"고 했다.

Let's block ads! (Why?)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7/26/2019072601785.html

2019-07-26 07:48:01Z
527818134536164222280862651725245

Kamis, 25 Juli 2019

[속보] 청 NSC “북한 발사체, 새로운 종류의 단거리 탄도 미사일” - 한겨레

북한 행위에 강력한 우려 표시
북한이 25일 강원도 원산 호도반도 일대에서 신형 단거리 미사일 2발을 발사했다. 사진은 지난 5월 9일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한 북한 전연(전방) 및 서부전선방어부대들의 화력타격훈련 도중 이동식 미사일발사차량(TEL)에서 발사되는 단거리 발사체의 모습. 연합뉴스
북한이 25일 강원도 원산 호도반도 일대에서 신형 단거리 미사일 2발을 발사했다. 사진은 지난 5월 9일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한 북한 전연(전방) 및 서부전선방어부대들의 화력타격훈련 도중 이동식 미사일발사차량(TEL)에서 발사되는 단거리 발사체의 모습. 연합뉴스
청와대 국가안전보장회의(NSC)가 25일 “오전에 북한이 발사한 발사체가 새로운 종류의 단거리 탄도 미사일인 것으로 분석했다”며 북한의 행위에 강한 우려를 표시했다.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는 이날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회의를 연 뒤 이렇게 밝히고, “향후 한미간 정밀평가를 통해 최종 판단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상임위는 또 “이러한 북한의 행위는 한반도에서의 군사적 긴장완화 노력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라며 강한 우려를 표시했다. 앞서 합동참모본부도 “북한이 오늘 발사한 단거리 미사일 2발 중 두 번째 쏜 것은 690여㎞를 비행한 것으로 분석됐다”며 “새로운 형태의 미사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날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직후 문재인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상황을 실시간으로 보고 받았다. 한정우 청와대 부대변인은 오전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와 관련하여 국가안보실 위기관리센터를 통해 긴밀한 상황관리를 하고 있다”며 “문 대통령은 상황 발생 즉시 국가안보실로부터 보고를 받았다”고 말했다. 한 부대변인은 “정부는 관련 동향을 사전에 인지하고 예의주시해왔으며, 유관부처 간 신속한 대응체계를 가동 중에 있다. 한미 정보당국은 구체적인 정보파악에 주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상임위는 또 “상임위원들이 최근 중동정세에 대해 논의하고, 호르무즈해협에서 우리 민간 선박들의 안전한 항해를 보장하기 위한 방안들을 검토했다”고 밝혔다. 전날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과 논의했던 호르무즈해협 파병과 관련해 정부 차원의 후속 조처를 논의한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상임위는 “지난 7월 23일 러시아 군용기의 영공 침범과 관련해 우리 정부의 단호한 입장을 재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성연철 이완 기자 sychee@hani.co.kr

Let's block ads! (Why?)


http://www.hani.co.kr/arti/politics/bluehouse/903403.html

2019-07-25 11:04:45Z
527818134536164222280862651725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