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btu, 30 November 2019

헤이그 칼부림 용의자 경찰에 체포…35세 노숙자 - SBS 뉴스

네덜란드 경찰은 지난 29일(현지시간) 헤이그 쇼핑가에서 발생한 흉기 난동 사건의 용의자를 30일 체포했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35세의 용의자는 시내 중심가에서 체포됐다.

경찰은 트위터에서 용의자가 노숙자라고 밝혔다.

경찰은 이번 사건을 테러로 추정하는 것을 경계하면서 범행 동기에 대해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놓고 조사를 벌이겠다고 설명했다.

이날 경찰은 헤이그의 기차역과 주요 교통망 등에서 용의자를 찾기 위해 수색을 벌였다.

사건 당시 흉기에 찔린 3명의 부상자는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몇시간 후 퇴원했다.

부상자는 13세 소년과 15세 소녀 등이다.

사건은 최대 쇼핑 성수기인 블랙프라이데이(Black Friday) 밤 헤이그 중심부의 주요 쇼핑가인 '흐로터 마르크츠트라트'(Grote Marktstraat)에서 발생했다.

같은 날 영국 런던 브리지에서 흉기 난동 사건으로 2명이 사망한 지 몇시간 만이다.

(연합뉴스)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Omh0dHBzOi8vbmV3cy5zYnMuY28ua3IvbmV3cy9lbmRQYWdlLmRvP25ld3NfaWQ9TjEwMDU1NDUxNjnSAT9odHRwczovL25ld3Muc2JzLmNvLmtyL2FtcC9uZXdzLmFtcD9uZXdzX2lkPU4xMDA1NTQ1MTY5JmNtZD1hbXA?oc=5

2019-11-30 18:28:00Z
527820302719974222280862651725245

영국 런던서 '흉기 테러' 시민 2명 숨져…용의자 사살 - JTBC News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K2h0dHBzOi8vd3d3LnlvdXR1YmUuY29tL3dhdGNoP3Y9U2V3T25XZ1VpUmvSAQA?oc=5

2019-11-30 13:33:09Z
527820302719974222280862651725245

英 런던브리지 테러용의자, 6년 복역후 가석방 중 범행(종합) - SBSCNBC

[unable to retrieve full-text content]

  1. 英 런던브리지 테러용의자, 6년 복역후 가석방 중 범행(종합)  SBSCNBC
  2. 英 칼부림 테러…흉기 뺏고 제압한 시민, 더 큰 참사 막았다 - 중앙일보  중앙일보
  3. 영국 런던 브리지에서 흉기 테러가 발생했다  허프포스트코리아
  4. 또 英 런던브리지 테러, 2명 사망…'칼부림' 용의자 사살 / SBS  SBS 뉴스
  5. 英런던브리지서 또 테러…대낮 칼부림에 2명 사망  동아일보
  6. Google 뉴스에서 전체 콘텐츠 보기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Kmh0dHBzOi8vY25iYy5zYnMuY28ua3IvYXJ0aWNsZS8xMDAwMDk2NDI1MNIBLmh0dHBzOi8vY25iYy5zYnMuY28ua3IvYW1wL2FydGljbGUvMTAwMDA5NjQyNTA?oc=5

2019-11-30 11:37:00Z
527820302719974222280862651725245

美 암호화폐 전문가, 北방문 '제재 회피' 강연 혐의로 기소 - 중앙일보 - 중앙일보

미국 암호화폐 전문가 버질 그리피스(36)가 북한에서 암호화폐로 제재 회피 정보를 제공한 혐의로 28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체포됐다. [트위터 캡처]

미국 암호화폐 전문가 버질 그리피스(36)가 북한에서 암호화폐로 제재 회피 정보를 제공한 혐의로 28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체포됐다. [트위터 캡처]

미국 암호화폐 전문가가 북한 평양을 방문해 암호화폐로 국제사회 제재를 피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 혐의로 기소됐다.
 
29일(현지시간) AFP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 법무부는 지난 28일 블록체인·암호화폐 개발 플랫폼 이더리움 소속 버질 그리피스(36)를 국제긴급경제권한법(IEEPA) 위반 혐의로 미국 LA 국제공항에서 체포했다. IEEPA 위반 혐의가 적용되면 그리피스는 최대 20년형을 받게 된다.
 
그리피스는 지난 4월 미국 정부의 승인 없이 평양을 방문해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관련 회의에서 '블록체인과 평화'라는 주제로 강연했다. 그는 이 강의에서 암호화폐를 이용한 제재 회피와 돈세탁 기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그리피스는 대북 제재 위반에 속하는 '북한과 한국의 암호화폐 교환'을 촉진하기 위한 계획도 수립했다. 이 행사에는 북한 정부 관계자를 포함해 100여명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윌리엄 스위니 미 연방수사국(FBI) 부국장은 "북한이 핵무기 제조를 위해 자금과 기술, 정보를 얻는 결과가 세계를 위험에 빠뜨리기 때문에 누구도 대북 제재를 회피하도록 허용할 수 없다"며 "미국 시민이 우리의 적을 돕기로 선택했다는 것은 더욱 말이 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권혜림 기자 kwon.hyerim@joongang.co.kr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J2h0dHBzOi8vbmV3cy5qb2lucy5jb20vYXJ0aWNsZS8yMzY0NTc0NtIBK2h0dHBzOi8vbW5ld3Muam9pbnMuY29tL2FtcGFydGljbGUvMjM2NDU3NDY?oc=5

2019-11-30 10:09:45Z
CBMiJ2h0dHBzOi8vbmV3cy5qb2lucy5jb20vYXJ0aWNsZS8yMzY0NTc0NtIBK2h0dHBzOi8vbW5ld3Muam9pbnMuY29tL2FtcGFydGljbGUvMjM2NDU3NDY4222280862651725245

런던에서 칼부림 테러...2명 사망 - 한국어 방송 - VOA Korean

영국 런던에서 테러 사건이 발생해 2명이 사망했습니다.

현지 언론 등은 29일 오후 2시께 한 남성이 영국 런던브리지에서 시민들에게 칼을 휘둘렀으며, 이후 출동한 경찰에 의해 사살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사건으로 남성 1명과 여성 1명 등 2명이 사망했으며, 3명이 부상을 입었습니다. 부상자 중 1명은 중상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후 런던 경찰은 사건의 용의자가 과거 테러 혐의로 기소된 전력이 있는 우스만 칸이라고 밝혔습니다.

칸은 지난 2012년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와 연관돼 복역했으며, 지난해 전자발찌 부착을 조건으로 출소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경찰에 따르면 칸은 사살될 당시 가짜 폭탄조끼를 입고 있었습니다.

런던 경찰은 칸의 범행동기와 추가 용의자 여부 등에 대한 수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VOA 뉴스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J2h0dHBzOi8vd3d3LnZvYWtvcmVhLmNvbS9hLzUxODc0MTMuaHRtbNIBKWh0dHBzOi8vd3d3LnZvYWtvcmVhLmNvbS9hbXAvNTE4NzQxMy5odG1s?oc=5

2019-11-30 10:21:00Z
527820302719974222280862651725245

영 런던브리지 테러 용의자, 6년 복역후 가석방 중 범행 - 한겨레

이슬람 극단주의단체 연관 테러 혐의로 복역하다 지난해 출소한 28세 남성
29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시내의 런던브리지에서 무장 경찰이 흉기테러 현장을 통제한 채 경계를 서고 있다. 런던 AFP/연합뉴스
29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시내의 런던브리지에서 무장 경찰이 흉기테러 현장을 통제한 채 경계를 서고 있다. 런던 AFP/연합뉴스
영국 시내 한복판에 있는 런던 브리지에서 대낮에 칼을 휘둘러 2명을 숨지게 한 용의자는 가석방 기간에 다시 테러를 저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런던 경찰청은 29일(현지시간) 런던 브리지 칼부림 용의자가 잉글랜드 중부 스태퍼드셔에 거주하는 우스만 칸(28)이라고 밝혔다고 영국 BBC 방송과 스카이뉴스 등이 보도했다. 칸은 2012년 테러 혐의로 기소돼 옥살이하다가 전자발찌를 부착하는 조건으로 2018년 12월 가석방됐다. 그가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와 연관돼 복역하다 약 1년 전 출소한 전력이 있다고 영국 PA통신 등 현지 언론을 인용해 AFP, AP통신이 보도했다. 다만 그가 연관된 단체가 이슬람국가(IS)나 알카에다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칸은 이날 런던 브리지 북단에 있는 피시몽거스 홀에서 케임브리지 대학이 주최한 출소자 재활 콘퍼런스에 참석했다가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조사됐다. 칸은 콘퍼런스가 열리고 있는 건물 안에서 공격을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런던 브리지로 나왔다가 시민들에게 제압됐고 결국 경찰이 쏜 총에 맞아 숨졌다. 칸은 범행 당시 가짜 폭탄 장치를 몸에 두르고 있었다. 이에 대해 BBC는 경찰이 자신에게 총을 쏘게 하려고 가짜 폭탄조끼를 입는 테러리스트들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건으로 남성 1명과 여성 1명 등 총 2명이 사망하고 3명이 다쳤다. 사망자의 신원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부상자 중 1명은 중상을 입었고, 나머지 부상자 2명은 경상을 입었다. 용의자의 신원을 빠르게 확인한 경찰은 칸의 주거지를 조사하는 등 범행동기를 알아내는 데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닐 바수 런던 경찰청 대테러대책본부장은 "아직 수사 초기 단계이지만 현재로서는 이번 사건과 관련해 추가로 다른 용의자를 찾고 있지는 않다"고 밝혔다. 이어 "그러나 이번 사건에 관여한 또다른 사람은 없는지, 대중에 남아있는 위협은 없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빠르게 수사를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Smh0dHA6Ly93d3cuaGFuaS5jby5rci9hcnRpL2ludGVybmF0aW9uYWwvaW50ZXJuYXRpb25hbF9nZW5lcmFsLzkxOTA5My5odG1s0gEA?oc=5

2019-11-30 07:20:41Z
527820302719974222280862651725245

탈북민 10명 베트남서 잡혀 추방…"韓대사관, 기다리라더니" - 중앙일보 - 중앙일보

[연합뉴스]

[연합뉴스]

탈북민 10여명이 29일 베트남 당국에 체포된 후 중국으로 추방된 것으로 전해졌다. 탈북민 지원단체는 한국 외교부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아무런 조취를 취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30일 외교부 측에 따르면 이들은 전날 오전 베트남 중북부의 라오스 접경 지역에서 국경경비를 책임지는 현지 당국에 적발됐다. 이날 적발된 탈북민은 총 10명으로, 10대 탈북 꽃제비와 20대 남성 2명, 20대에서 50대까지 탈북 여성 7명이다.  
 
이들은 지난 21일 탈북민 브로커의 안내를 받아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진입했으며, 이틀 뒤 라오스로 향하던 중 베트남 당국에 체포돼 28일 중국으로 추방됐다. 추방된 탈북민들은 다음날 검거 당시와 동일한 루트로 베트남에 재진입을 시도하다 또다시 체포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베드로 북한정의연대 대표는 "현재 체포된 사람은 10명이고 별도 4명은 다른 곳에 숨어있다"며 "4명은 브로커와 가족들로 주변에 숨어있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체포 당시 베트남주재 한국대사관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면서 "기다리라는 말만 한 채, 찾아오지도 전화 한 통도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에 외교부 측은 탈북민들의 체포 사실을 인지한 직후 관련국 정부와 접촉해 적극적 조치에 나섰다고 말했다.
 
이어 "관련국 관계, 탈북민 신변안전 때문에 구체적인 상황을 공개할 수 없는 점을 양해해달라"면서 "관련된 분들과도 불과 어제까지만 해도 면담하고 소통하던 중이었다"고 말했다
 
한편 베트남은 지난 2004년 7월 베트남 현지 보호소에서 한국행을 기다리며 머무는 탈북민들이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며 한국 정부에 이들을 데리고 갈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당시 400여명의 탈북민이 두 대의 항공편을 이용해 한국해 들어온 바 있다.
 
권혜림 기자 kwon.hyerim@joongang.co.kr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J2h0dHBzOi8vbmV3cy5qb2lucy5jb20vYXJ0aWNsZS8yMzY0NTY3NtIBK2h0dHBzOi8vbW5ld3Muam9pbnMuY29tL2FtcGFydGljbGUvMjM2NDU2NzY?oc=5

2019-11-30 07:00:18Z
527820305328584222280862651725245

Jumat, 29 November 2019

야스쿠니 첫 참배한 총리 나카소네 101세로 별세 - 중앙일보 - 중앙일보

나카소네 야스히로

나카소네 야스히로

‘전후 일본 정치의 총결산’을 내걸고 일본 국내 정치와 외교 분야에서 큰 족적을 남긴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曾根康弘·사진) 전 일본 총리가 별세했다. 101세. 일본 언론들은 그가 이날 오전 7시쯤 요양 및 치료차 머물던 도쿄 시내의 병원에서 타계했다고 보도했다.  
 

1983년 방한, 한·일 관계 공들여

1918년 5월 27일 군마(群馬)현 다카사키(高崎)시에서 태어난 고인은 도쿄제국대(도쿄대의 전신) 법학부를 졸업한 뒤 옛 내무성에서 관료 생활을 시작했다. 일본의 태평양 전쟁 패전 직후인 1947년 28세 때 중의원에 처음 당선되면서 정계에 입문했고 이후 20회 연속 당선하는 기록을 세웠다. 1982년 11월 제71대 총리 자리에 올라 73대까지 연속 재임했다.
 
총리 재임 시절 일본 국내적으로는 행정개혁의 기치를 들었다. 또 외교적으론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과 긴밀한 신뢰 관계를 구축해 이른바 ‘론-야스 시대’(두 정상 이름의 앞글자를 딴 것)를 열었다.
 
고인은 한국과의 관계에도 공을 들였다. 1983년 1월 전후 일본 총리로는 처음으로 한국을 공식 방문했다. 총리에 취임한 뒤 첫 방문국으로 한국을 선택한 것이었다. 82년 터진 교과서 문제 등으로 양국 관계가 흔들렸을 때였다. 그는 당시 전두환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새로운 차원의 양국 관계를 열자’고 합의했다. 그는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종필 전 총리, 박태준 전 총리 등과도 두루 가까웠다.
 
이렇듯 한국과의 관계에도 힘을 쏟은 고인이었지만 이념적으로는 ‘강력한 보수’의 길을 걸은 정치인이었다.  
 
그는 85년 8월 15일 일본 총리로는 처음으로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 신사를 공식 참배했다. 대표적인 개헌론자이기도 했다.
 
도쿄=서승욱 특파원 sswook@joongang.co.kr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J2h0dHBzOi8vbmV3cy5qb2lucy5jb20vYXJ0aWNsZS8yMzY0NTQ3MdIBK2h0dHBzOi8vbW5ld3Muam9pbnMuY29tL2FtcGFydGljbGUvMjM2NDU0NzE?oc=5

2019-11-29 15:21:05Z
527820294957064222280862651725245

마흐디 이라크 총리 사의…반정시위에 굴복(상보) - 뉴스1

아델 압둘 마흐디 이라크 총리. <자료사진> © AFP=뉴스1

아델 압둘 마흐디 이라크 총리가 29일(현지시간) 의회에 공식적인 사의를 표명하겠다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마흐디 총리실은 이날 사임 발표가 이라크의 시아파 최고 성직자인 그랜드 아야톨라 알리 알시스타니의 지도부 교체 요구에 따른 것이라고 발표했다.

마흐디 총리실은 "지도부 교체 요구에 가능한 한 빨리 대응하기 위해 현 정부 지도부에 대한 사퇴서를 의회에 제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이 성명은 마흐디 총리가 언제 사직서를 제출할지 구체적으로 나오지는 않았다. 의회는 내달 1일 소집된다.

이번 발표는 최근 몇 주간 지속된 반정부 시위에서 400명에 가까운 시위자들이 목숨을 잃은 가운데 나왔다. 시위대는 이라크 정부의 부패했다고 지적하며 정부가 시아파 이웃나라인 이란의 내정 간섭을 받고 있다고 비난해왔다.

pasta@news1.kr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IWh0dHA6Ly9uZXdzMS5rci9hcnRpY2xlcy8_Mzc4MjA1NtIBJWh0dHA6Ly9uZXdzMS5rci9hbXAvYXJ0aWNsZXMvPzM3ODIwNTY?oc=5

2019-11-29 13:55:02Z
CBMiIWh0dHA6Ly9uZXdzMS5rci9hcnRpY2xlcy8_Mzc4MjA1NtIBJWh0dHA6Ly9uZXdzMS5rci9hbXAvYXJ0aWNsZXMvPzM3ODIwNTY4222280862651725245

일 나카소네 전 총리 별세…야스쿠니 참배 '보수 원조' - JTBC News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K2h0dHBzOi8vd3d3LnlvdXR1YmUuY29tL3dhdGNoP3Y9dkV2YlM2VTM3V2fSAQA?oc=5

2019-11-29 12:41:56Z
527820294957064222280862651725245

'성조기' 휘날린 홍콩 집회…트럼프 '인권법' 서명에 환호 - JTBC News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K2h0dHBzOi8vd3d3LnlvdXR1YmUuY29tL3dhdGNoP3Y9U19HTU4zU2VuSknSAQA?oc=5

2019-11-29 12:03:32Z
527820298108894222280862651725245

日관방 "개헌은 나카소네 전 총리의 유지…논의하자" - 뉴스1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 <자료사진> © AFP=뉴스1

일본 정부가 생전 헌법 개정에 힘썼던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曾根康弘) 전 총리의 별세를 계기로 또다시 개헌 논의를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일본 정부 대변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29일 기자회견에서 "나카소네 전 총리는 생전에 헌법 개정에 의욕적으로 임했다"면서 "헌법 심사회에서 각 당이 각자의 의견을 낸 다음, 고인의 주장처럼 여야 테두리를 넘어 건설적인 (개헌) 논의를 해줬으면 한다"고 밝혔다.

고인은 아베 신조 총리가 추진 중인 자위대 합헌화 등 헌법 개정을 지지하면서 '신(新)헌법제정의원동맹'이란 단체를 만들어 말년까지 왕성한 활동을 해왔다.

다만 스가 장관은 "헌법 개정은 국회가 발의하고 최종적으로 국민투표에 의해 국민이 결정하는 것"이라며 "정부의 일원인 관방장관으로서 논평하는 것은 삼가겠다"고 말했다.

같은 날 아베 총리는 나카소네 전 총리의 별세 소식에 담화문을 내고 "(고인은) 전후 일본 정치의 총결산을 내걸고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과 강한 신뢰관계 아래 단단한 미일동맹을 확립했다"면서 "국제 사회의 일원으로서 세계의 평화, 경제 질서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우리나라(일본)의 국제적 위상을 크게 향상시켰다"고 애도했다.

pasta@news1.kr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IWh0dHA6Ly9uZXdzMS5rci9hcnRpY2xlcy8_Mzc4MjAzMtIBJWh0dHA6Ly9uZXdzMS5rci9hbXAvYXJ0aWNsZXMvPzM3ODIwMzI?oc=5

2019-11-29 12:06:36Z
527820294957064222280862651725245

홍콩 경찰, 이공대 봉쇄 풀고 철수…2주 만에 마무리(종합) - 뉴스1

18일 오전 홍콩이공대에서 경찰이 진압하는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해 학생들이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2019.11.18/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홍콩 경찰이 2주 가까이 계속해 온 홍콩이공대 봉쇄를 모두 풀었다. 이공대는 이달 8일 첫 시위 사망자 발생 이후 홍콩 민주화 시위의 구심점이 돼 왔다. 

AFP 및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29일 일찍 홍콩이공대의 봉쇄를 끝내겠다고 예고한 경찰 당국은 정오(현지시각) 무렵 캠퍼스를 둘러싸고 있는 저지선을 치우고 13일간의 봉쇄를 끝낸 후 철수했다.

경찰은 지난 17일 이공대에서 시위대와 격렬한 충돌을 벌인 직후부터 11일째 이공대 주변 일대를 철저히 봉쇄하고 '투항'을 요구해왔다.

경찰의 봉쇄 이후 위생 상태와 식수 부족, 추위 등으로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이공대를 탈출한 시위대는 지금까지 미성년자 300명을 포함해 모두 1100명에 이른다. 

봉쇄는 해제됐지만 대학 내에는 부서진 유리, 바리케이드, 썩은 음식들의 막대한 쓰레기가 쌓여 있어 대대적인 청소 작업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날 학생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대학 관계자들은 학생들에게 아직 학교로 돌아오지 말 것을 당부했다. 편지에서 관계자는 "캠퍼스는 여전히 안전하지 않으며 계속 폐쇄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반인들은 여전히 이공대 캠퍼스를 들어오고 있다. 학교를 둘러본 한 홍콩 시민은 "잔해를 보고 싸움의 모든 장면들이 바로 생각났다"면서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고. 

정부 통계에 따르면 경찰은 이번 6개월간의 시위에서 1만 2000개 이상의 최루탄을 발사했다. 5800명 이상이 체포됐고 1000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기소됐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이날 아침 경찰은 280개의 화염병과 318개의 가스통, 그리고 다른 무기들을 발견했다. 앞서 28일에도 400명의 경찰이 캠퍼스에 들어가 화염병 3800개. 가스통 921개, 그리고 588개의 화학물질과 화살 12개를 회수했다.

교내에는 여전히 20여명의 시위대가 숨어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경찰은 전날과 이날 모두 시위대를 발견하지는 못했다.

29일 홍콩 남부 센트럴에서 열린 점심 집회. © AFP=뉴스1

이런 가운데 도시 전역에서는 게릴라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이날 점심시간 수백명의 직장인들이 도시 전역에서 게릴라식 집회를 가졌다. 진압 경찰이 배치됐지만 시위대가 평화적으로 해산해 충돌은 없었다.

시위대는 이날 저녁 홍콩 시내 영국 총영사관 앞에서 또 시위를 열고 영국 정부에 홍콩 시민들을 보호할 것을 촉구할 예정이다.

주말에는 중고등학생들 시위와 함께 '홍콩 인권법'을 제정한 미국 영사관으로 '감사의 행진' 시위가 예고돼 있다. 어린이들에게 최루탄을 뿌린 경찰에 대한 항의 시위도 예정됐다. 시위대는 또 2일 아침 출근을 겨냥해 파업을 예고한 상황이다.

다만 시위가 소강상태에 접어든 지난 20일 이후 시위대와 경찰 간 격렬한 충돌은 없는 상태다. 지하철과 버스 모두 정상 운행 중이며, 경찰 역시 열흘째 최루탄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지난 24일 치러진 구의회 선거에서 민주 진영이 압승을 거둔 이후 강경 일변도였던 경찰의 대응도 유연해진 것으로 보인다.

angela0204@news1.kr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IWh0dHA6Ly9uZXdzMS5rci9hcnRpY2xlcy8_Mzc4MTkyNNIBJWh0dHA6Ly9uZXdzMS5rci9hbXAvYXJ0aWNsZXMvPzM3ODE5MjQ?oc=5

2019-11-29 09:02:57Z
527820275822974222280862651725245

한미 '방위비' 4차회의 새달 3~4일 워싱턴서 - 한겨레

12월중 서울서 추가협상도 검토
제임스 드하트 미국 방위비협상대표가 11일5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다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제임스 드하트 미국 방위비협상대표가 11일5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다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내년부터 적용될 11차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 체결을 위한 네번째 회의가 새달 3~4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다. 미국이 지난 18~19일 서울에서 열린 협상에서 한국이 약 50억달러(약 6조원)의 거액을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하다 일방적으로 협상 중단을 선언하고 돌아간 지 2주 만에 협상이 재개된다. 한·미는 ‘협상 연내 타결’이라는 목표 아래 12월 중 서울에서 다시 만나 추가 협상을 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12월31일 협정 유효기간 종료가 다가오고 있지만 양쪽의 입장 차가 너무 큰 상황이라, 이례적인 ‘한달 두차례’ 협상으로 속도를 내려는 것이다. 외교부는 29일 협상 일정을 발표하면서 “우리 정부는 기존의 협정 틀 안에서 합리적인 수준의 공평한 방위비 분담을 한다는 기본 입장하에 미 측과 긴밀히 협의해 나갈 것”을 재확인했다. 이번 협상에서 한국과 미국이 얼마나 거리를 좁힐 수 있을지에 관심이 모아진다. 지난 18~19일 서울에서 열린 3차 회의는 매우 이례적으로 미국의 협상 중단 선언으로 도중에 끝이 났다. 미국은 ‘새 항목’을 만들어 한국이 미군의 한반도 순환배치 비용, 주한미군 인건비(수당)와 군무원 및 가족 지원 비용 등도 한국이 부담해야 한다고 요구했고, 한국은 무리한 요구라며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임스 드하트 미국 협상대표는 19일 회의 도중 협상장을 떠난 직후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한국이) 우리 요구에 부응하지 않았다”며 한국에 “새로운 제안” 마련을 요구했다. 협상이 전격 중단된 뒤 일부 언론에서는 한국이 ‘10차 협정 연장 및 분담금 동결’, ‘총액 4% 인상’, ‘미국산 무기 구매’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고 보도했지만, 한국 쪽 협상 대표단 관계자는 “이런 보도 내용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OWh0dHA6Ly93d3cuaGFuaS5jby5rci9hcnRpL3BvbGl0aWNzL2RpcGxvbWFjeS85MTkwNTguaHRtbNIBAA?oc=5

2019-11-29 09:50:21Z
CBMiOWh0dHA6Ly93d3cuaGFuaS5jby5rci9hcnRpL3BvbGl0aWNzL2RpcGxvbWFjeS85MTkwNTguaHRtbNIBAA4222280862651725245

Kamis, 28 November 2019

美 “北미사일 발사 보도 인지…동맹과 긴밀히 협의중” - 뉴스1

© News1 이지원 디자이너

미국 국무부는 북한이 초대형 방사포로 추정되는 단거리 발사체 2발을 동해상으로 발사한 데 대해 "상황을 계속해서 주시하고 있고, 역내 동맹들과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28일(현지시간) 밝혔다.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북한의 발사체 발사에 대한 논평 요청에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관한 보도들을 인지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북한의 이번 발사체 발사는 지난달 31일 평안남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초대형 방사포로 추정되는 발사체 2발을 발사한 지 28일 만이며, 올해 들어 13번째다.

미 국무부의 이러한 입장은 이전 북한의 발사체 발사 당시 미 정부가 내놓은 반응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앞서 한국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오후 4시59분(한국시간) 북한이 함경남도 연포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단거리 발사체 2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한국 합참은 북한의 발사체를 초대형 방사포로 추정하고, 추가 제원은 한미 정보당국이 정밀 분석 중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한국 측 발표와는 달리 북한의 발사체를 탄도미사일로 규정했다.

wonjun44@news1.kr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IWh0dHA6Ly9uZXdzMS5rci9hcnRpY2xlcy8_Mzc4MTE3MdIBJWh0dHA6Ly9uZXdzMS5rci9hbXAvYXJ0aWNsZXMvPzM3ODExNzE?oc=5

2019-11-28 16:50:33Z
527820280518674222280862651725245

트럼프 '홍콩인권법' 서명하자…中 "홍콩 주둔군 투입 능력 있다" - 중앙일보 - 중앙일보

홍콩 주둔 인민해방군이 지난 16일 거리로 나와 청소를 하는 모습이 현지 TV 방송을 통해 보도되고 있다. [AP=연합뉴스]

홍콩 주둔 인민해방군이 지난 16일 거리로 나와 청소를 하는 모습이 현지 TV 방송을 통해 보도되고 있다.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홍콩 인권 민주주의 법안’에 서명하자 중국이 홍콩 내 군 투입까지 거론하며 반발했다.
 
중국 국방부 런궈창(任國强) 대변인은 28일 오후 정례 브리핑을 통해 "홍콩 주둔 인민해방군은 언제든 당 중앙위원회와 중앙군사위원회의 지휘에 따라 홍콩 기본법(홍콩의 헌법)과 (인민해방군) 주군법(駐軍法)이 부여한 사명을 이행함으로써 국가 주권을 단호히 수호하고, 홍콩의 장기적인 안정을 유지할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지도부의 결심만 있으면 중국은 언제든 홍콩 주둔 인민해방군을 홍콩 내 질서유지에 투입할 수 있다고 강조한 발언이다. 런 대변인이 언급한 주군법은 제3항 제14조에서 '홍콩행정특별구 정부는 필요한 경우 사회치안 유지와 재해 구조를 위해 홍콩에 주둔하는 인민해방군의 협조를 중앙인민정부에 요청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관련기사

 
런 대변인의 브리핑은 앞서 이날 오전 중국 외교부가 성명에서 "보복 조처"를 천명한 것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간 경고성 발언이다. 외교부의 성명에는 보복 조처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었지만, 런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홍콩 주둔 인민해방군 투입 가능성을 거론하며 반발했기 때문이다.
  
오원석 기자 oh.wonseok@joongang.co.kr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J2h0dHBzOi8vbmV3cy5qb2lucy5jb20vYXJ0aWNsZS8yMzY0NDQwNNIBK2h0dHBzOi8vbW5ld3Muam9pbnMuY29tL2FtcGFydGljbGUvMjM2NDQ0MDQ?oc=5

2019-11-28 13:33:10Z
527820252980704222280862651725245

트럼프, 홍콩 인권법안 서명…분노한 中, 반격 예고 - SBS 뉴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홍콩 시위대를 지지하는 홍콩 인권법안에 서명했습니다. 중국 정부는 내정간섭이라며 보복을 예고했는데 미중 무역 협상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베이징 송욱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기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의 보복 위협을 무릅쓰고 홍콩 인권법안에 서명했습니다.

홍콩의 자치 수준을 매년 평가해 관세 등의 특혜를 유지할지 결정하고 홍콩의 인권을 탄압한 인사에게는 비자 발급을 제한하는 내용입니다.

1단계 합의를 앞둔 미중 무역 협상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상하원을 압도적으로 통과한 법안에 거부권을 행사하는데 정치적 부담을 느꼈을 것으로 보입니다.

예상대로 중국 정부는 노골적인 패권 행위라며 즉각 반발했습니다.

주중 미국대사를 외교부로 불러들여 내정간섭을 중단하라고 항의했습니다.

구체적 내용은 밝히지 않았지만, 반격 카드를 곧 꺼내 들 것을 암시했습니다.

[겅솽/중국 외교부 대변인 : 중국이 언제, 어떤 반격 조치를 할지 지켜보십시오. 일어날 일은 결국 일어납니다.]

홍콩 시위대는 트럼프 대통령의 인권법 서명을 환영했습니다.

[조슈아 웡/홍콩 데모시스토당 : 이번 선거와 홍콩 인권법 서명은 시진핑 주석에게 지금이 강경책을 재고하고, 경찰의 잔혹성을 조사할 때라는 명확한 신호입니다.]

시위대가 끝까지 저항했던 이공대 사태는 오늘(28일) 경찰의 잔류자 수색으로 일단락된 가운데 구의원 선거 승리에 이어 인권법이라는 우군을 얻은 홍콩 시위대의 목소리는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영상취재 : 최덕현, 영상편집 : 이재성)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Omh0dHBzOi8vbmV3cy5zYnMuY28ua3IvbmV3cy9lbmRQYWdlLmRvP25ld3NfaWQ9TjEwMDU1NDMwMTHSAT9odHRwczovL25ld3Muc2JzLmNvLmtyL2FtcC9uZXdzLmFtcD9uZXdzX2lkPU4xMDA1NTQzMDExJmNtZD1hbXA?oc=5

2019-11-28 12:03:00Z
527820252980704222280862651725245

수소차 넥쏘 몰아본 마하티르 총리 "운전대에 냉각기능 있었으면" - 뉴스1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청와대에서 마하티르 빈 모하맛 말레이시아 총리 환영 오찬사를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2019.11.28/뉴스1

마하티르 모하맛 말레이시아 총리가 28일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만나 정상회담을 가진 자리에서 수소차 '넥쏘'에 냉각기능이 필요하다는 언급을 해 눈길을 끌었다.

마하티르 총리는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계기 방한한 가운데 문 대통령과 이날 오전 10시35분부터 1시간15분 동안 정상회담을 가졌다.

양 정상은 양국 관계 강화를 위한 실질 협력 방안과 국제무대에서의 협력 방안 등에 대해 폭넓게 논의했다고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이 자리에서 마하티르 총리는 "말레이시아에서 수소차 넥쏘를 직접 운전해봤다"며 "한국에선 운전대가 따뜻해지는 기능이 있던데, 고온의 말레이시아에서는 오히려 냉각기능이 필요하다"고 언급해 참석자들의 공감을 불렀다.

양 정상은 할랄산업 협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3월 양국 간 할랄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후, 한-말레이시아 국제 할랄 콘퍼런스가 처음 개최되는 등 협력이 순조롭게 진행돼 기쁘다"며 "할랄 산업 허브인 말레이시아와 서로 도움이 되는 협력사례를 만들어가자"고 말했다.

이에 마하티르 총리는 "한국기업의 할랄산업 진출시 인증 확보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화답했다.

문 대통령은 이와 함께 "이번에 체결한 '디지털정부협력 MOU'를 통해 말레이시아의 '공공분야 ICT 전략 2020'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길 바란다"고도 했다.

또 "총리께서 방한 중 말레이시아 국영 석유화학기업(페트로나스)이 발주한 해양플랜트 명명식에 참석하셨다고 들었다"며 향후 양국 간 에너지개발과 해양플랜트 및 조선 분야에서 지속적인 협력을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양국 간 '스마트시티 MOU'에 따라 코타키나발루 스마트시티 기본구상 연구가 마무리 단계에 있다며 협력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돼 양국 협력이 상생모델이 되길 바란다고도 말했다.

마하티르 총리는 이에 "조선 분야와 스마트시티 모두 한국과 말레이시아의 협력 지평이 더 확대됐음을 증명하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해당 분야 역량을 키워나가기 위해 협력을 강화해나가자"고 했다.

마하티르 총리는 한국의 딸기 맛을 높이 평가하며 한국의 스마트팜 기술에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

이외에도 문 대통령은 "말레이시아는 아랍국가로 갈 수 있는 교두보"라며 "한국이 아랍국가로의 진출을 원한다면 말레이시아를 거점으로 삼아 교류의 폭을 넓혀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내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말레이시아 개최를 축하한다"며 "성공적 개최가 되도록 한국정부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한편 이번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계기로 열린 정상회담장에는 상대국 정상의 이름을 전통기법인 나전칠기 기법으로 새겨넣은 펜이 준비됐다.

펜의 배럴 부분은 '천년을 잇는 한-아세안 국가들과의 깊은 인연'을 기원하며 천년이 지나도 변함이 없다고 알려진 옻칠을 적용했다. 옻칠 위에는 빛깔이 영롱한 자개문양을 장식, 한-아세안의 화려한 현재와 미래를 담았다.

또 자개조각을 이어붙여 차곡차곡 쌓이는 담을 형상화한 문양은 해가 갈수록 쌓여가는 한-아세안 국가 간 깊은 신뢰와 존중을 표현했다.

지난 25~27일 부산에서 열린 '한-아세안특별정상회의' 정상회담 장에 준비됐던 상대국 정상의 이름을 나전칠기 기법으로 새겨 넣은 펜. (청와대 제공) 2019.11.28/뉴스1

cho11757@news1.kr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IWh0dHA6Ly9uZXdzMS5rci9hcnRpY2xlcy8_Mzc4MTExMdIBJWh0dHA6Ly9uZXdzMS5rci9hbXAvYXJ0aWNsZXMvPzM3ODExMTE?oc=5

2019-11-28 10:38:03Z
CBMiIWh0dHA6Ly9uZXdzMS5rci9hcnRpY2xlcy8_Mzc4MTExMdIBJWh0dHA6Ly9uZXdzMS5rci9hbXAvYXJ0aWNsZXMvPzM3ODExMTE4222280862651725245

북한, 28일 만에 '초대형 방사포'…발사 간격 대폭 단축 / SBS - SBS 뉴스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K2h0dHBzOi8vd3d3LnlvdXR1YmUuY29tL3dhdGNoP3Y9LVBiS2tXTGNnODTSAQA?oc=5

2019-11-28 11:19:39Z
CCAiCy1QYktrV0xjZzg0mAEB4222280862651725245

트럼프 홍콩인권법 서명에 중 “보복”…무역협상 등 '먹구름' - 한겨레

“시진핑·홍콩인에 존경 뜻 담아”
극도로 중국 의식한 성명 발표
중국은 “결연히 반격할 것” 반발
미-중 관계 전반에 악재 작용할 듯
홍콩 시민사회선 “중국 압박” 반색
트럼프, 웃통 벗은 \'록키\' 사진에 얼굴 합성해 트윗 (서울=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간) 본인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실베스터 스탤론이 주연한 인기 영화 \'록키\' 포스터(오른쪽)에 자신의 얼굴을 합성한 이미지(왼쪽)를 게재했다. 다음 주 하원 법제사법위원회가 바통을 이어 진행하는 탄핵조사를 앞두고 결연한 대응 의지를 재치있게 보여주려던 의도로 해석된다. 2019.11.28 [트럼프 대통령 트위터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2019-11-28 09:04:38/ <저작권자 ⓒ 1980-2019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트럼프, 웃통 벗은 \'록키\' 사진에 얼굴 합성해 트윗 (서울=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간) 본인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실베스터 스탤론이 주연한 인기 영화 \'록키\' 포스터(오른쪽)에 자신의 얼굴을 합성한 이미지(왼쪽)를 게재했다. 다음 주 하원 법제사법위원회가 바통을 이어 진행하는 탄핵조사를 앞두고 결연한 대응 의지를 재치있게 보여주려던 의도로 해석된다. 2019.11.28 [트럼프 대통령 트위터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2019-11-28 09:04:38/ 저작권자 ⓒ 1980-2019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의회가 압도적 찬성으로 통과시킨 홍콩 인권·민주주의 법안(홍콩 인권법)에 서명해 발효시켰다. 법안 추진 시점부터 중국이 강력 반발해온 터라 무역협상은 물론 미-중 관계 전반에 악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즉각 비난 성명을 내어 “보복 조처”를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7일 법안 서명과 함께 짤막한 성명을 내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홍콩인들에 대한 존경을 담아 법안에 서명했다”며 “양쪽이 우호적으로 차이점을 극복하고 장기적인 평화와 번영으로 나아가기 바란다”고 밝혔다. 중국 쪽 반발을 의식해 극도로 조심하는 기색이다. 홍콩 인권법은 미 국무부가 의회에 제출하는 홍콩의 자치 수준과 인권·법치 문제에 대한 연례 평가보고서에 기초해 홍콩에 부여한 관세·투자·무역 및 비자 발급 등에 관한 ‘특별지위’ 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법안에 서명할지를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즉답을 피해왔다. 타결 직전까지 진척을 보인 미-중 무역협상 1단계 합의를 의식한 행보였다. 그런데도 트럼프 대통령이 시한(의회 통과 뒤 10일)을 사흘 앞두고 서명한 것은, 거부권을 행사할 경우 중국의 압박에 굴복했다는 국내 비난 여론을 피할 수 없기 때문으로 보인다. 상·하 양원이 초당적으로 통과시킨 법안이어서, 거부권을 행사하더라도 의회가 재의결할 가능성도 높았다. 여기에 24일 치러진 홍콩 지방선거(구의회)에서 범민주 진영이 전례 없는 압승을 거두면서, 더는 법안 서명을 미룰 명분도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중국 쪽은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홍콩은 중국의 홍콩이며, 홍콩 문제는 중국 내정에 속한다. 어떤 외국 정부와 세력의 간섭도 용납하지 않겠다”며 “중국은 미국의 잘못된 조치에 대해 반드시 결연히 반격할 것이며, 이로 인한 모든 결과는 미국이 전적으로 책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러위청 중국 외교부 부부장도 이날 테리 브랜스태드 주중 미국대사를 불러 강력 항의했다. 홍콩 정부도 “시위대에 잘못된 신호를 보내 홍콩 정세 완화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홍콩 시민사회는 환영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일부 누리꾼은 “미국에 감사한다. 다른 나라도 미국과 같은 법을 제정해달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앞서 리척얀 홍콩직공회연맹 비서장은 지난 22일 한겨레>와 만나 “법안이 발효되면 최소한 중국을 압박하는 효과는 있다”며 “미국의 의도가 무엇이든, 앞으로 중국이 홍콩 문제에 이전보다 조심스럽게 접근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미-중 무역협상에는 상당한 악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며칠 사이에 워싱턴과 베이징 양쪽 협상단은 ‘1단계 합의’ 최종 타결이 “눈앞에 와 있다”고 잇따라 발언해 합의 서명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다. 하지만 이날 홍콩 인권법 이슈가 양국을 다시 강타하면서 무역분쟁 협상이 또다시 ‘파탄’으로 향하게 될 공산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최근 들어 중국 쪽이 타결에 더 적극적인 모습이었다는 점에서, 이날 중국의 격분은 ‘연내 타결 무산’ 우려를 더 키운다. 게다가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지난 27일 공개적으로 중국의 신장 지역 소수민족 탄압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하면서 미-중 관계의 대치 전선은 되레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inhwan@hani.co.kr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Omh0dHA6Ly93d3cuaGFuaS5jby5rci9hcnRpL2ludGVybmF0aW9uYWwvY2hpbmEvOTE4OTIzLmh0bWzSAQA?oc=5

2019-11-28 10:10:15Z
527820252980704222280862651725245

북한 또 발사체 발사…초대형 방사포 발사 이후 28일만 - 한겨레

올 들어 13번째…군 제원 등 분석 중
청와대 관계자 “아마도 장거리로 예상”
북한이 지난 10월31일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다음날 보도했다. 사진은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시험사격 모습. 연합뉴스
북한이 지난 10월31일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다음날 보도했다. 사진은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시험사격 모습. 연합뉴스
북한이 28일 ‘미상의 발사체’를 발사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합참은 “북한은 오늘 오후 4시59분경 함경남도 연포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미상 발사체 2발을 발사하였다”며 “우리 군은 추가발사에 대비하여 관련 동향을 추적 감시하면서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발사체의 제원과 비행거리 등은 확인되지 않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아마도 장거리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북한의 발사체 발사는 지난달 31일 평안남도 일대에서 초대형 방사포로 추정되는 발사체를 동해상으로 쏜 지 28일 만이다. 북한은 올 들어 이번까지 모두 13차례에 걸쳐 발사체를 발사했다. 지난 23일엔 서해 완충구역에서의 해안포 사격을 금지한 9·19 군사합의를 깨고 백령도 근처 창린도에서 해안포를 발사한 바 있다. 합참은 이 발사체의 제원과 비행 특성 등을 정밀 분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강문 선임기자 moon@hani.co.kr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N2h0dHA6Ly93d3cuaGFuaS5jby5rci9hcnRpL3BvbGl0aWNzL2RlZmVuc2UvOTE4ODc3Lmh0bWzSAQA?oc=5

2019-11-28 08:26:45Z
527820280518674222280862651725245

트럼프, 홍콩인권법 서명…무역합의 불씨 다시 꺼지나 - 서울경제 - 서울경제신문

트럼프, 홍콩인권법 서명…무역합의 불씨 다시 꺼지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중 무역협상 합의가 가까워졌음을 시사한 지 하루 만에 홍콩 인권 민주주의 법안에 전격 서명했다. 미중 무역협상이 막바지 진통 단계라며 낙관적인 기대감을 편지 채 하루도 지나지 않아 중국이 불편해하는 인권 문제 카드를 꺼내 든 셈이다. 지금까지 중국이 홍콩 인권법을 내정간섭으로 규정짓고 강하게 반발해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단기간 내 미중 무역합의는 어려워진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백악관은 27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홍콩 인권법안과 홍콩 경찰에 대한 특정 군수품 수출금지 법안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홍콩 인권법안 서명 후 발표한 성명에서 “나는 시진핑 주석과 중국·홍콩 시민들을 존경하는 마음을 담아 이 법안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법안은 중국과 홍콩 지도자와 대표자들이 서로의 차이를 평화적으로 극복해 오래도록 평화와 번영을 누리기를 희망하며 제정됐다”고 덧붙였다. 법안은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과 함께 즉시 발효됐다. 이에 따라 미국 정부는 매년 홍콩의 자치 수준을 검증해 홍콩이 누리고 있는 경제·통상에서의 특별한 지위를 유지할지를 결정한다.

현재 홍콩은 특별지위 덕분에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고율 관세가 적용되지 않는다. 특별지위를 박탈당할 경우 홍콩은 관세뿐 아니라 아시아 금융허브 지위에 치명타를 맞게 된다. 미국은 또 홍콩 인권탄압과 관련 있는 중국 정부 관계자에 대한 비자 발급을 금지하기로 했다. 이와 별도로 홍콩 경찰에 최루탄과 고무탄 판매도 제한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홍콩 인권법 서명 가능성을 우려해 수차례 강력한 사전경고를 내놓았던 중국은 곧바로 거세게 반발했다. 중국 외교부는 28일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인권법 서명은 홍콩의 안정과 일국양제를 파괴한다”며 “미국이 중국 내정을 심각히 간섭하면서 국제법을 위배하려고 하는데 이는 노골적인 패권 행위로 중국 정부와 인민은 이에 결연히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 측이 고집스럽게 행동하지 않기를 권고하며 그렇지 않으면 중국은 반드시 결연히 반격할 것”이라고 엄포를 놓았다. 이와 함께 러위청 중국 외교부 부부장은 이날 테리 브랜스태드 주중 미국대사를 불러 트럼프 대통령의 홍콩 인권법안 서명에 대한 강력한 항의를 표명했다.

트럼프의 홍콩 인권법안 서명으로 최근 낙관론이 커졌던 1단계 미중 무역합의에 먹구름이 끼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홍콩 시위대에 대한 지지를 담은 법안에 서명한 것은 중국을 화나게 하는 일”이라고 전했다. 서명 직전까지만 해도 트럼프 대통령이 인권법에 모호한 입장을 취해 거부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많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법안의 일부 조항이 미국 외교정책을 수행하기 위한 대통령의 헌법적 권한을 방해할 수 있다”는 우려의 말을 덧붙였는데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법안 서명으로) 무역회담이 복잡해질 것을 걱정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 같은 상황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법안에 서명한 것은 처리를 미루거나 거부권을 행사해도 큰 의미가 없기 때문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을 경우 법안은 다음달 3일 자동으로 제정된다. 거부권을 행사하면 법안이 다시 의회로 넘어가지만 이미 하원에서 한 명을 뺀 전원 찬성, 상원에서는 만장일치로 통과됐기 때문에 재의결은 시간문제다. NYT는 “홍콩 인권법은 정가에서 대다수의 지지를 받고 있어 트럼프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했어도 법으로 제정됐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월가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홍콩 인권법 서명으로 미중 합의가 생각보다 늦어질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당장 미국은 3·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재치가 연율 기준 2.1%로 속보치보다 0.2%포인트나 높아졌다. 무역전쟁에도 탄탄한 소비를 바탕으로 확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내년 미국 대통령선거가 변수지만 아직 경제가 강하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다. 고율 관세 철회나 유보 등 중국의 강경한 요구를 쉽게 받아주지 않아도 당장 미국 경제가 크게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기 때문이다. 반면 내년 경제성장률이 5%대로 주저앉을 것으로 보이는 중국 정부는 무역합의가 시급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홍콩 인권법안 서명으로 미국의 추가 요구를 선뜻 들어줄 명분이 약해졌다.

중국 국무원이 지방정부에 내년도 특수목적 채권발행액 총 1조위안(약 167조8,400억원)을 사전 배정해 올해 당겨쓸 수 있게 한 것도 무역분쟁 장기화와 빨라지는 경기둔화에 선제 대응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에스와르 프라사드 전 국제통화기금(IMF) 중국 담당 수석은 “무역합의 과정에 홍콩 문제를 결부시키는 것은 외부의 정치간섭에 극도로 예민한 중국 정부를 협상에서 이탈하게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뉴욕=김영필특파원 베이징=최수문특파원 susopa@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KWh0dHBzOi8vbS5zZWRhaWx5LmNvbS9OZXdzVmlldy8xVlFaMzhaVFBE0gEsaHR0cHM6Ly9tLnNlZGFpbHkuY29tL05ld3NWaWV3QW1wLzFWUVozOFpUUEQ?oc=5

2019-11-28 08:05:58Z
527820252980704222280862651725245

문 대통령, 말레이 총리와의 회담으로 동남아 외교전 종료 - 중앙일보 - 중앙일보

문재인 대통령과 마하티르 모하마드 총리가 28일 청와대에서 열린 양국 양해각서 체결식을 마치고 퇴장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과 마하티르 모하마드 총리가 28일 청와대에서 열린 양국 양해각서 체결식을 마치고 퇴장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은 28일 청와대에서 마하티르 모하맛 말레이시아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정보통신기술(ICT)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정상회담에서 “말레이시아의 동방정책과 한국의 신남방정책은 조화롭게 접목돼 4차 산업혁명 공동대응, 할랄 산업처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협력으로 확대하고 있다”며 “아시아는 총리를 아세안의 현인으로 존경한다. 한반도 평화를 위한 지혜도 나눠주시길 바라며, 양국의 협력이 아세안 전체의 협력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양 정상은 한·말레이시아 자유무역협정(FTA)이 중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그동안의 협의를 바탕으로 FTA 체결을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 회담을 마친 뒤엔 ▶ICT 협력 ▶디지털 정부 협력 ▶보건의료 협력 ▶상·하수 관리 협력 등 4건에 대한 양해각서(MOU) 서명식에 참석했다.
이어진 오찬에서 문 대통령은 “‘올해 타임지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 ‘아시아의 대변자’, ‘동방정책의 창시자’ 등 총리에 대한 다양한 호칭은 그냥 생긴 게 아니다”며 마하티르 총리를 추어올렸다.
 
이날 마하티르 총리와의 회담을 마지막으로 문 대통령은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계기로 진행된 동남아 외교전을 끝났다. 또 다른 외교 무대로는 내달 중순 열릴 것으로 보이는 한·중·일 정상회담이 기다리고 있다.
 
권호 기자 gnomon@joongang.co.kr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J2h0dHBzOi8vbmV3cy5qb2lucy5jb20vYXJ0aWNsZS8yMzY0Mzk4MdIBK2h0dHBzOi8vbW5ld3Muam9pbnMuY29tL2FtcGFydGljbGUvMjM2NDM5ODE?oc=5

2019-11-28 05:59:14Z
527820269265604222280862651725245

[속보] 합참 "北, 미상발사체 발사"…28일 만에 또 쐈다 - 중앙일보 - 중앙일보

[연합뉴스]

[연합뉴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미상 발사체를 발사했다”고 28일 밝혔다. 지난달 31일 평안남도 일대에서 초대형 방사포로 추정되는 발사체를 동해 상으로 2발 발사한 지 28일 만이다.
 
북한은 올해 들어 이번까지 13번째 발사체를 발사했다.

 
합참은 북한이 이날 발사한 발사체에 대해 정밀 분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채혜선 기자 chae.hyeseon@joongang.co.kr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J2h0dHBzOi8vbmV3cy5qb2lucy5jb20vYXJ0aWNsZS8yMzY0NDE0NtIBK2h0dHBzOi8vbW5ld3Muam9pbnMuY29tL2FtcGFydGljbGUvMjM2NDQxNDY?oc=5

2019-11-28 08:07:27Z
CBMiJ2h0dHBzOi8vbmV3cy5qb2lucy5jb20vYXJ0aWNsZS8yMzY0NDE0NtIBK2h0dHBzOi8vbW5ld3Muam9pbnMuY29tL2FtcGFydGljbGUvMjM2NDQxNDY4222280862651725245

Rabu, 27 November 2019

"러 전략폭격기 2대 동해상 훈련비행...한·일 전투기 경계비행" - YTN

핵무기 탑재가 가능한 러시아 전략폭격기 2대가 오늘(현지시간 27일) 동해 상공 등에서 정례 훈련비행을 했으며 이에 한국과 일본 전투기들이 경계비행을 펼쳤다고 러시아 국방부가 밝혔습니다.

타스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국방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러시아 공중우주군 소속 투폴례프-95MS 2대가 동해와 동중국해 공해 상공에서 정례 훈련비행을 했다"고 밝혔습니다.

러시아 국방부는 "투폴례프의 비행 중 수호이 전투기들과 장거리 조기경계 관제기 등이 엄호비행을 했다"면서 "비행 시간은 10시간 이상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일부 항로 구간에서 한국 공군 F-15와 F-16 전투기 2대, 일본 항공자위대 F-2 전투기 1대 등이 경계비행을 펼쳤다"고 덧붙였습니다.

러시아 국방부는 상공 이용에 관한 국제규정을 준수하면서 정례 훈련비행을 해오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날 훈련비행에서 러시아 전략폭격기들이 동해 상의 한국방공식별구역, 즉 카디즈에 진입했는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러시아 전략폭격기들은 수시로 동해 등에서 훈련비행을 하며 카디즈에 진입해 논란을 빚고 있습니다.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MWh0dHBzOi8vd3d3Lnl0bi5jby5rci9fbG4vMDEwNF8yMDE5MTEyNzIyMjQ1ODE2NjjSAUNodHRwczovL20ueXRuLmNvLmtyL25ld3Nfdmlldy5hbXAucGhwP3BhcmFtPTAxMDRfMjAxOTExMjcyMjI0NTgxNjY4?oc=5

2019-11-27 13:24:00Z
527820265785104222280862651725245

[사설] 美지상군 다 철수해도 된다니 제정신인가 - 서울경제 - 서울경제

한미 양국에서 주한미군 철수·감축론이 보도되는 가운데 여권의 주요 인사들이 잇따라 “주한미군을 감축해도 된다”는 무책임한 주장을 내놓았다.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은 유튜브 방송에서 “정 미국에 돈이 없으면 공군만 좀 남겨놓고 지상군은 다 철수해도 된다”고 말했다.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 특별보좌관도 한 방송에서 “주한미군 5,000~6,000명 감축한다고 대북 군사 억지력에 큰 변화가 오지는 않는다”고 발언했다. 우리 안보의 핵심축인 주한미군 철수 문제를 이처럼 아무렇게나 언급해도 되는지 묻고 싶다.

주한미군 철수는 설사 일부라 하더라도 군사력 약화를 초래해 북한의 오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한미동맹과 주한미군은 우리가 광복 이후 10위권 경제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핵심역할을 해온 버팀목이었다. 한미동맹에 심각한 균열이 생긴다면 이런 기본축이 흔들릴 수 있다. 한미동맹은 이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신고립주의와 문재인 정부의 남북관계 우선주의, 친중·반일·탈미 대외기조와 맞물려 심각하게 훼손됐다. 더구나 북한은 핵무기 폐기는커녕 통제불가 수준의 확대를 추진하고 있고 미국에 도달 가능한 미사일 개발에 혈안이 돼 있다. 주한미군이 빠질 경우 안보도 문제지만 우리 경제가 먼저 치명타를 입을 수 있다. 해외자본 이탈로 금융시장이 붕괴하고 정부와 기업의 해외차입이 어려워져 자칫 제2의 외환위기를 부를 수도 있다. 이는 필리핀이 1991년 격렬한 반미시위로 미군이 철수한 후 외국인 투자 기업들이 빠져나가고 경제가 곤두박질치자 2001년 재주둔을 요청한 데서도 잘 알 수 있다. 폴란드도 러시아의 위협을 견제하기 위해 20억달러를 들여 기지를 지어주겠다며 미군의 영구주둔을 요청한 바 있다.

어설픈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가뜩이나 한반도에서 발을 빼고 싶어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충동을 부채질할 우려가 있다. 불가피하게 방위비를 합리적으로 조정해야 하는 상황이 온다면 오히려 이를 우리의 안보 족쇄를 푸는 계기로 활용해야지 철군 운운해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KWh0dHBzOi8vbS5zZWRhaWx5LmNvbS9OZXdzVklldy8xVlFaMEZSSDQx0gEsaHR0cHM6Ly9tLnNlZGFpbHkuY29tL05ld3NWaWV3QW1wLzFWUVowRlJINDE?oc=5

2019-11-27 15:05:00Z
527820250778574222280862651725245

‘핵무기 탑재 가능’ 러 전략폭격기 2대, 동해서 10시간 넘게 훈련비행 - 동아일보

사진 AP 뉴시스

핵무기를 탑재할 수 있는 러시아 전략폭격기 2대가 27일(현지시간) 동해 상공 등에서 10시간 넘게 비행했다고 러시아 타스통신이 러시아 국방부를 인용해 이날 보도했다.

러시아 국방부는 “러시아 공중우주군 소속 투폴레스(Tu) 95MS 2대가 동해와 동중국해 상공에서 10시간 이상 예정된 훈련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Tu-95MS는 순항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는 러시아 주력 장거리 전략폭격기다. 러시아 국방부는 비행 중 다목적 전투기인 수호이(Su)-35S와 A-50 장거리 조기경제관제기 등이 엄호 비행을 했다고 덧붙였다.

러시아 측은 일부 비행 구간에서 한국 공군의 F-15기와 F-16기 두 대, 일본 항공자위대의 F-2 항공기가 경계 비행을 했다고 밝혔다. 러시아 국방부는 “장거리 폭격기 조종사들은 상공 이용에 관한 국제 규정을 철저히 준수했다”며 “다른 나라의 상공을 침범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러시아 국방부는 이번 훈련이 정례적으로 이뤄지는 훈련이라고 설명했다. 러시아는 2월에도 정례 훈련 비행을 이유로 전략폭격기를 동해 상공에서 운용하며 “영공을 침범하지 않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한국군은 러시아군이 이번에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을 침범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주요기사

러시아는 지난달에는 울릉도와 제주도, 이어도 등의 KADIZ에 무단 침입해 우리 군이 대응 출격했다. 7월 독도 영공과 KADIZ에 두 차례 침범한 데 이어 8월에도 잇따라 제주도 상공 KADIZ를 침범했다. 한국 합동참모본부는 올해 러시아 군용기가 사전 통보 없이 KADIZ를 침범한 것은 20회이라고 지난달 밝혔다.

조유라 기자 jyr0101@donga.com

창닫기
기사를 추천 하셨습니다‘핵무기 탑재 가능’ 러 전략폭격기 2대, 동해서 10시간 넘게 비행베스트 추천 뉴스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Pmh0dHA6Ly93d3cuZG9uZ2EuY29tL25ld3MvbGlzdC9hcnRpY2xlL2FsbC8yMDE5MTEyNy85ODU2ODE5My8x0gE1aHR0cDovL3d3dy5kb25nYS5jb20vbmV3cy9hbXAvYWxsLzIwMTkxMTI3Lzk4NTY4MTkzLzE?oc=5

2019-11-27 13:05:00Z
527820265785104222280862651725245

"러 전략폭격기 동해상 훈련…한·일 전투기 경계비행" - 중앙일보 - 중앙일보

지난달 22일 한국을 포위비행한 러시아의 전략폭격기 Tu-95MS. [사진 일본 방위성]

지난달 22일 한국을 포위비행한 러시아의 전략폭격기 Tu-95MS. [사진 일본 방위성]

러시아 국방부는 27일(현지시간) 핵무기 탑재가 가능한 러시아 전략폭격기 2대가 동해 상공 등에서 정례 훈련 비행을 진행했으며 이에 한국·일본 전투기들이 경계 비행을 했다고 밝혔다.
 
이날 타스 통신 등에 따르면 러시아 국방부는 보도문을 통해 "(러시아) 공중우주군 소속 투폴례프(Tu)-95MS 2대가 일본해(동해)와 동중국해 공해 상공에서 정례 훈련 비행을 했다"고 소개했다. 러시아는 자주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한다.
 
국방부는 "(Tu-95MS) 비행 중 수호이(Su)-35S 전투기들과 A-50 장거리 조기경계관제기 등이 엄호 비행을 했다"면서 "비행시간은 10시간 이상이었다"고 설명했다.
 
러시아는 일부 항로 구간에서 Tu-95MS들에 대해 한국 공군 F-15와 F-16 전투기 2대, 일본 항공자위대 F-2 전투기 1대 등이 경계비행을 펼쳤다고 부연했다.
 
또 장거리 폭격기 조종사들은 상공 이용에 관한 국제규정들을 철저히 준수하고 다른 나라 영공을 침범하지 않으면서 정례적으로 훈련 비행을 해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러시아 전략폭격기들이 동해상의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에 진입했는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러시아 전략폭격기들은 수시로 동해 등에서 훈련 비행을 하며 KADIZ에 진입해 논란을 빚고 있다.
 
지난달 22일에도 Tu-95MS 2대, Su-35S 전투기, A-50 장거리 조기경계관제기 등 러시아 군용기 6대가 동해와 서해, 동중국해 등에서 훈련 비행을 하면서 KADIZ에 3시간가량 진입했다. 이에 우리 공군 전투기 10여 대가 대응 출격한 바 있다.
 
특히 지난 7월 23일에는 독도 인근 한국 영공을 두 차례 7분간 침범했으며, 8월 8일에도 KADIZ를 무단 진입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러시아는 한국 영공 침범 사실과 한국이 설정한 KADIZ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권혜림 기자 kwon.hyerim@joongang.co.kr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J2h0dHBzOi8vbmV3cy5qb2lucy5jb20vYXJ0aWNsZS8yMzY0MzMzMtIBK2h0dHBzOi8vbW5ld3Muam9pbnMuY29tL2FtcGFydGljbGUvMjM2NDMzMzI?oc=5

2019-11-27 12:15:48Z
527820265785104222280862651725245

[정치부회의] 한·메콩 정상회의 폐막…3박 4일 부산 다자외교 마무리 - JTBC News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K2h0dHBzOi8vd3d3LnlvdXR1YmUuY29tL3dhdGNoP3Y9d2w3QXI1ZnQxcTjSAQA?oc=5

2019-11-27 10:58:40Z
527820264463044222280862651725245

호주 산불 "최악의 배신"···19세 소방대원이 불 지르고 불 껐다 - 중앙일보 - 중앙일보

호주 북동부를 휩쓸고 있는 산불 속에서 불에 타서 도망가는 코알라의 모습이 공개됐다. 채널 9이 20일(현지시간) 공개한 영상.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유튜브 캡처]

호주 북동부를 휩쓸고 있는 산불 속에서 불에 타서 도망가는 코알라의 모습이 공개됐다. 채널 9이 20일(현지시간) 공개한 영상.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유튜브 캡처]

사상 최악의 산불이라 불리는 호주 남동부에서 발생한 화재 일부는 소방대원에 의한 방화로 밝혀졌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NSW)주에서 19세 의용 소방대원이 불 7건을 낸 혐의로 체포됐다고 영국 BBC가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호주 경찰은 지난달부터 NSW 남부 베가밸리 지역에서 동시다발로 방화로 추정되는 화재가 보고되자 수사에 들어갔다. 
 
경찰은 지난 26일 베가밸리의 강변에 세워진 자동차 안에 한 남성이 앉아 있는 모습을 포착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나무와 수풀 더미에 불이 붙어 연기가 피어오르는 것을 목격했다. 
 
이 남성은 불을 내고 그 자리를 떠난 뒤 화재 진압 소방대원으로서 현장에 되돌아간 것으로 확인됐다.

 
수사 당국은 이 남성을 방화 혐의로 기소할 방침이다.
 
지난 9월부터 이어지고 있는 산불 진압에 나서고 있는 ‘NSW 지방 소방’(NSW RFS)은 의용 소방대원의 방화 혐의가 드러나자 “최악의 배신”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셰인 피츠시몬스 NSW RFS 본부장은 “우리는 지난 몇 주간 소방대원들이 한계를 넘는 난관과 위험에 처한 것을 지켜봤다”며 “한 개인의 범죄 행위가 다수의 명예와 수고에 먹칠한 데 분노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산불로 현재까지 6명이 숨진 것으로 보고됐고, 위기종(種)인 코알라 약 350마리가 죽은 것으로 추정된다.  
 
채혜선 기자 chae.hyeseon@joongang.co.kr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J2h0dHBzOi8vbmV3cy5qb2lucy5jb20vYXJ0aWNsZS8yMzY0MzIzN9IBK2h0dHBzOi8vbW5ld3Muam9pbnMuY29tL2FtcGFydGljbGUvMjM2NDMyMzc?oc=5

2019-11-27 09:54:26Z
527820262313264222280862651725245

호주 사상 최악 산불 사태, "일부는 소방대원이 방화" 충격 - 조선일보

입력 2019.11.27 15:49 | 수정 2019.11.27 15:55

사상 최악 산불을 겪는 호주 남동부에서 발생한 화재 일부는 소방대원에 의한 방화로 드러나 충격을 안겼다.

27일 BBC 등 외신에 따르면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州)에서 19세 소방대원이 불 7건을 낸 혐의로 체포됐다. 호주 경찰은 지난달부터 NSW 남부 베가밸리 지역에서 동시다발로 방화 추정 화재가 보고되자 수사를 벌였다.

지난 11월 8일(현지 시각)부터 호주 뉴사우스웨일즈주에서 발생한 산불./블룸버그
지난 11월 8일(현지 시각)부터 호주 뉴사우스웨일즈주에서 발생한 산불./블룸버그
경찰은 지난 26일 베가밸리의 강변에 세워진 자동차 안에 앉아있는 한 남성을 포착했고, 잠시 후 나무와 수풀 더미에 불이 붙어 연기가 피어오르는 것을 목격했다. 이 남성은 불을 내고 그 자리를 떠난 뒤 화재 진압 소방대원으로서 현장에 되돌아간 것으로 조사됐다.

수사 당국은 이 남성을 방화 혐의로 기소할 예정이다.

지9월부터 이어진 산불과의 사투를 벌이고 있는 NSW 지방 소방(NSW RFS)은 의용 소방대원의 방화 혐의가 드러나자 "최악의 배신"이라며 성토했다.

셰인 피츠시몬스 NSW RFS 본부장은 "우리는 지난 몇주간 소방대원들이 한계를 넘는 난관과 위험에 처한 것을 지켜봤다"며 "한 개인의 범죄 행위가 다수의 명예와 수고에 먹칠을 한 데 분노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말했다.

이번 산불로 현재까지 6명이 숨진 것으로 보고됐으며 위기종(種)인 코알라 350마리가량이 죽은 것으로 추정된다.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SGh0dHBzOi8vbmV3cy5jaG9zdW4uY29tL3NpdGUvZGF0YS9odG1sX2Rpci8yMDE5LzExLzI3LzIwMTkxMTI3MDI0NTQuaHRtbNIBSmh0dHBzOi8vbS5jaG9zdW4uY29tL25ld3MvYXJ0aWNsZS5hbXAuaHRtbD9zbmFtZT1uZXdzJmNvbnRpZD0yMDE5MTEyNzAyNDU0?oc=5

2019-11-27 06:49:02Z
CBMiSGh0dHBzOi8vbmV3cy5jaG9zdW4uY29tL3NpdGUvZGF0YS9odG1sX2Rpci8yMDE5LzExLzI3LzIwMTkxMTI3MDI0NTQuaHRtbNIBSmh0dHBzOi8vbS5jaG9zdW4uY29tL25ld3MvYXJ0aWNsZS5hbXAuaHRtbD9zbmFtZT1uZXdzJmNvbnRpZD0yMDE5MTEyNzAyNDU04222280862651725245

메콩 정상들 "존중해줘 고마워"…'한-메콩 정상회의' 종료(종합) - 뉴스1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오후 부산 아세안문화원에서 열린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 환영 만찬에서 만찬사를 마친 뒤 참석 정상 내외와 건배를 하고 있다.(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제공) 2019.11.26/뉴스1

문재인 대통령과 메콩강 유역 5개국(캄보디아·라오스·미얀마·태국·베트남) 정상이 참석하는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가 27일 종료됐다.

문 대통령과 쁘라윳 짠오차 태국 총리 공동주재로 이날 오전 부산 누리마루에서 개최된 회의에는 두 정상을 비롯해 쁘락 소콘 캄보디아 부총리(훈센 총리 대참), 통룬 시술릿 라오스 총리, 아웅산 수치 미얀마 국가고문,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총리가 참석했다.

정상들은 '한-메콩 공동번영을 위한 미래 협력 방향'을 주제로 한 회의에서 한-메콩간 협력 현황을 점검하고 미래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2011년 이후 외교장관급으로 진행되어 온 한-메콩 협의체를 정상급으로 격상해 처음 개최한 회의다. 한국과 메콩 5개국은 매년 열리는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메콩 정상회의를 정례적으로 개최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최초의 한-메콩 정상회의 부산 개최를 환영하면서 연 6%대의 높은 경제 성장률을 바탕으로 역내 성장을 견인하는 메콩 지역이 한국의 신남방정책과 한-아세안 협력의 핵심 파트너라고 강조했다.

이어 신뢰할 수 있는 협력 파트너로 한국과 메콩 국가들이 '사람 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한-메콩 동반자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갈 것을 강조했다.

또한 문 대통령은 △경험을 공유하는 번영 △지속가능한 번영 △동아시아 평화와 상생번영 등 지난 9월 라오스 방문시 밝힌 '한-메콩 비전' 3대 발전 방향별 구체적 협력내용들을 소개하면서 메콩 국가 정상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구체적으로 문 대통령은 상호 경험을 공유하면서 호혜적 협력에 기반한 한-메콩 공동번영을 강조하면서 공공행정, 농촌개발, 인적자원개발 등 분야에서의 양측간 협력을 강화해 나가자고 말했다.

특히 이번 정상회의를 계기로 설립되는 '한-메콩 기업인 협의회'가 한국과 메콩국가 기업들의 상호 진출을 지원하고 기업인간 협력을 더욱 체계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지속가능한 번영과 관련, 향후 '한-메콩 생물다양성 센터'를 설립해 메콩국가의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고 유용 생물자원을 공동 발굴해 미래 신성장 동력을 마련해 나갈 뜻을 밝혔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그동안 한-메콩 문화·인적 교류 현황을 평가하고 한-메콩 협력 10주년인 2021년을 '한-메콩 교류의 해'로 지정해 양측 국민들간 상호이해와 문화·인적 교류를 한층 더 증진하는 계기로 삼아 동아시아 평화와 상생 번영을 추진해 나갈 것을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서 메콩 국가 정상들은 한국의 신남방정책에 대해 적극적인 지지 의사를 밝히는 한편 ODA(공적개발원조) 확대, 한-메콩 협력기금 증가, 한-메콩 비즈니스포럼 개최 등 한국 정부의 한-메콩 관계 강화 노력을 높이 평가했다.

한반도 평화와 관련해선 한국 정부의 한반도 정책 구상에 대한 지지 입장을 나타내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구축을 위해 한국 정부와 함께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문 대통령과 메콩 정상들은 이번 정상회의 결과 문서로 양측의 미래 협력방안을 담은 '한강-메콩강 선언'을 채택했다.

이 선언은 한국과 메콩 국가들간 7개 우선협력분야(△문화·관광 △인적자원개발 △농업·농촌개발 △인프라 △정보통신기술(ICT) △환경 △비전통안보협력)를 포함해 신남방정책의 '사람, 상생번영, 평화' 등 3대 축에 따른 분야별 협력방안과 정상회의 주요 성과사업을 담았다.

청와대는 이번 첫 한-메콩 정상회의에 대해 "정상 차원의 양측 협력에 대한 공감대 확산은 물론 역내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메콩 국가들과 구체적 협력사업 논의를 통해 미래 공동번영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한편 이날 한-메콩 정상회의를 비롯해 전날(26일) 저녁 열린 환영만찬 등에서 아세안 정상들은 문 대통령이 이번 대(對) 아세안 외교를 앞두고 강조해 온 '정성의 외교'를 높이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아세안의 입장에서 함께 생각할 때 미래지향적이고 호혜적이며 지속가능한 협력의 토대를 쌓을 수 있다는 점을 특별히 강조"(지난 12일 현장국무회의)하는 등 이번 정상회의를 앞두고 '배려'와 '존중'의 자세를 강조해 왔다.

전날 환영만찬은 다자회의에서 이례적으로 부부 동반으로 진행돼 화기애애한 분위기였다고 한다. 아세안 정상들은 특히 "인간적인 신뢰를 형성하는 시간이었다", "오랜 이웃이 된 것 같았다", "더 없는 친밀감을 느꼈다"고 만찬을 주최한 문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했다.

이어 이날 한-메콩 정상회의에서 다시 만난 아세안 정상들은 ODA(공적개발원조)를 받는 입장이어서 늘 고맙고 미안한 입장인데, 이번 정상회의 과정에서 아세안 국가들을 존중해 줘서 고맙다는 뜻을 나타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문 대통령은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등은 경제력은 약하지만 젊은 국가여서 성장 잠재력이 아주 크다. 메콩 국가의 중요성을 다시 되새기는 계기가 됐다"며 "메콩 국가와의 연대·협력은 미래에 외교적·경제적·문화적으로 큰 결실로 돌아올 것"이라고 협력 관계 강화 의지를 거듭 천명했다고 청와대 고위 관계자가 전했다.

truth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IWh0dHA6Ly9uZXdzMS5rci9hcnRpY2xlcy8_Mzc3OTg2N9IBJWh0dHA6Ly9uZXdzMS5rci9hbXAvYXJ0aWNsZXMvPzM3Nzk4Njc?oc=5

2019-11-27 08:44:10Z
527820258436164222280862651725245

Selasa, 26 November 2019

文대통령 "메콩국가, 北 잘 도와줄 나라…언젠가 남북·메콩 정상 함께 식사" - 조선일보

입력 2019.11.26 22:43 | 수정 2019.11.26 22:56

"한국·메콩, 걸어온 길 닮아⋯제국주의 어려움 이겨냈고, 냉전에서 생존"

문재인 대통령은 26일 한·메콩 환영만찬에서 "정상 여러분의 지지와 성원으로 언젠가 남북의 정상이 메콩 정상들과 함께 식사 자리를 가질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 환영 만찬에서 만찬사를 마친 뒤 참석 정상 내외와 건배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 환영 만찬에서 만찬사를 마친 뒤 참석 정상 내외와 건배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이날 부산 아세안문화원에서 주재한 한·메콩 정상회의 환영 만찬 만찬사를 통해 "북한이 비핵화를 통해 세계로 나온다면 경험을 나누고 가장 잘 도와줄 나라도 메콩 국가들"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만찬은 오는 27일 열리는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에 앞서 메콩 5국(미얀마·라오스·캄보디아·베트남·태국) 정상이 함께하는 첫 공식 행사다.

문 대통령은 "'어머니 강(메콩강의 별칭)'의 가르침대로 서로 포용하고 의지하며 성장하는 메콩 국가는 한반도 평화의 동반자"라며 "메콩 국가들은 역내 평화와 안정을 지키고 북한을 국제사회 일원으로 이끌어 한반도 긴장을 완화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한국과 메콩은 걸어온 길도 닮았다"면서 "제국주의 시대의 어려움을 이겨 냈고, 냉전 시대 강대국들의 틈바구니에서 생존과 자존을 지켜 성장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한·메콩 정상회의가 부산에서 열리는 것과 관련해서는 "부산은 메콩 국가와 깊은 인연이 있는 도시로, 1500년 전 메콩 유역의 불교가 부산과 인근 지역으로 전해져 한반도로 퍼져갔다"며 "그 인연은 지금 한국 최초 상좌부불교의 도량인 태종사로 이어지고 있다"고 했다.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SGh0dHBzOi8vbmV3cy5jaG9zdW4uY29tL3NpdGUvZGF0YS9odG1sX2Rpci8yMDE5LzExLzI2LzIwMTkxMTI2MDMxNjIuaHRtbNIBSmh0dHBzOi8vbS5jaG9zdW4uY29tL25ld3MvYXJ0aWNsZS5hbXAuaHRtbD9zbmFtZT1uZXdzJmNvbnRpZD0yMDE5MTEyNjAzMTYy?oc=5

2019-11-26 13:43:37Z
CBMiSGh0dHBzOi8vbmV3cy5jaG9zdW4uY29tL3NpdGUvZGF0YS9odG1sX2Rpci8yMDE5LzExLzI2LzIwMTkxMTI2MDMxNjIuaHRtbNIBSmh0dHBzOi8vbS5jaG9zdW4uY29tL25ld3MvYXJ0aWNsZS5hbXAuaHRtbD9zbmFtZT1uZXdzJmNvbnRpZD0yMDE5MTEyNjAzMTYy4222280862651725245

아세안 정상 비공개 회의…'북 비핵화 협상' 지지 당부 - JTBC News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K2h0dHBzOi8vd3d3LnlvdXR1YmUuY29tL3dhdGNoP3Y9cHBpSTd1RHczWGfSAQA?oc=5

2019-11-26 11:48:30Z
527820243912394222280862651725245

[정치부회의] 한·아세안 정상회의 종료…"동반자적 협력관계 강화" - JTBC News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K2h0dHBzOi8vd3d3LnlvdXR1YmUuY29tL3dhdGNoP3Y9UVhPUWRMN1R6MknSAQA?oc=5

2019-11-26 10:15:56Z
527820243912394222280862651725245

선거로 평화 찾은 홍콩...캐리람 장관 '거취' 변수 / YTN - YTN NEWS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K2h0dHBzOi8vd3d3LnlvdXR1YmUuY29tL3dhdGNoP3Y9SGtqNXNUWXdKLUnSAQA?oc=5

2019-11-26 11:41:52Z
527820237035724222280862651725245

북송에 포사격까지···북한에 강제 노출 당해야만 입여는 정부 - 중앙일보 - 중앙일보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서부전선에 위치한 창린도 방어부대를 시찰했다고 조선중앙TV가 25일 보도했다. 사진은 조선중앙TV 화면 캡처로, 김 위원장이 간부들과 함께 지도를 보고 있다. 지도에는 사격 방향을 해안 쪽으로 지시한 것으로 보이는 표시(붉은 원)가 그려져 있다.[연합뉴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서부전선에 위치한 창린도 방어부대를 시찰했다고 조선중앙TV가 25일 보도했다. 사진은 조선중앙TV 화면 캡처로, 김 위원장이 간부들과 함께 지도를 보고 있다. 지도에는 사격 방향을 해안 쪽으로 지시한 것으로 보이는 표시(붉은 원)가 그려져 있다.[연합뉴스]

국방부는 26일 북한이 서해 완충지역에서 포사격 훈련을 해 ‘9ㆍ19 군사합의’를 위반한 데 대해 “23일 오전 중 미상의 음원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군 관계자는 이날 이같이 밝힌 뒤 “음원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내리기 위해 분석하는 와중에 북한 매체의 발표가 있었고 이를 확인해 창린도 해안포 사격으로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최현수 국방부 대변인도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포사격을) 확인한 다음에 즉각적으로 유감 표명을 했고 또 항의했다”고 밝혔다.
최 대변인에 따르면 국방부는 이날 서해지구 군 통신선을 이용한 정기 통화에서 구두로 항의했고, 팩스로 사전에 작성한 항의문도 보냈다. 항의문엔 접경 지역에서의 군사적 긴장을 고조할 수 있는 행동의 중단과, 9·19 군사합의 준수를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다고 한다. 국방부는 그러나 항의문 자체를 공개하지는 않았다.

포착은 23일, '군사합의 위반' 비판은 25일
북한 포 사격 놓고 이틀간 묵혔나 의문 자초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서부전선에 위치한 창린도 방어부대를 시찰했다고 조선중앙TV가 25일 보도했다. 사진은 조선중앙TV 화면 캡처로, 김 위원장이 한 부대원에게 총을 건네고 있다. 뒤쪽으로 렉서스 LX570으로 추정되는 SUV 차량도 보인다.[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서부전선에 위치한 창린도 방어부대를 시찰했다고 조선중앙TV가 25일 보도했다. 사진은 조선중앙TV 화면 캡처로, 김 위원장이 한 부대원에게 총을 건네고 있다. 뒤쪽으로 렉서스 LX570으로 추정되는 SUV 차량도 보인다.[연합뉴스]

 앞서 조선중앙통신 등은 25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황해남도 창린도를 찾아 포 사격을 지도했다고 보도했다. 창린도는 지난해 9월 9ㆍ19 남북 군사합의에서 정한 ‘포사격 금지구역’에 포함된다. 국방부의 설명은 군 당국은 북한 매체의 보도에 앞서 23일 이상 징후를 파악했고 이를 분석하고 있었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이같은 설명대로라면 군 당국은 실시간으로 음원을 포착하고도 이틀 후인 25일 북한이 발표할 때까지 이게 뭔지를 결론 내리지 못하는 ‘무능’을 자인한 게 된다. 이때문에 정부가 치적으로 내세우고 있는 ‘9ㆍ19 군사합의’ 준수를 북한이 위반했다는 사실 공개를 늦추다가 북한 발표가 나오자 뒤늦게 ‘위반’을 거론했다는 의구심이 계속된다. 군 당국은 25일엔 정보 탐지자산이 드러난다며 북한의 포 사격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조차 밝히지 않았다. 그러나 비판이 일자 하루 만에 “포 사격 관련 최소한의 정보를 공개하기로 했다”며 음원 포착 날짜를 공개했다. 하지만 군 당국은 이날도 북한의 해안포 사격이 창린도에서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향했는지에 대해선 답하지 않았다. 북한군의 포 사격 횟수도 ‘수 발’ 정도로만 알려졌다.
최현수 국방부 대변인이 서울 용산구 국방부 브리핑룸에서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스1]

최현수 국방부 대변인이 서울 용산구 국방부 브리핑룸에서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스1]

 정부가 북한만 상대하면 ‘함구’하거나 ‘뒷북’ 입장을 내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정부는 지난 7일 동료 선원 16명을 살해한 혐의로 북한 남성 2명을 강제 송환하면서 이를 사전에 국민에게 알리지 않았다. 강제 송환 당일 김유근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의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가 언론에 노출되면서 강제 송환이 공개됐다. 특히 북한의 송환 요구가 없었는데도 신속하게 추방 조치를 결정해 ‘인권 유린 국가’라는 비난이 지금도 국제사회에서 계속되고 있다.  
북한은 지난 21일엔 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보낸 한ㆍ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초청 친서를 일방 공개하며 외교적 결례를 범했다. 그런데도 청와대나 통일부는 북한의 친서 공개 행위 자체에 대해선 별다른 언급 없이 신중한 자세로 넘어갔다.
김병연 서울대 교수는 “북한은 자신들이 비핵화 시한으로 정한 연말 데드라인에 앞서 공세 강도를 높이며 정부를 흔들고 있다”며 “정부가 남북관계 개선만 보고 상황을 판단하기보다 국민에게 정확한 정보를 줘야 더 나은 출구를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통일부 차관을 지낸 김형석 대진대 교수도 “북한이 먼저 공개해서 일이 벌어지면 정부가 아무리 설명해도 국민의 이해를 구하기 어렵다”며 “국민과 소통을 강화하지 않으면 대북 정책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조언했다. 
백민정ㆍ이근평 기자 baek.minjeong@joonang.co.kr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J2h0dHBzOi8vbmV3cy5qb2lucy5jb20vYXJ0aWNsZS8yMzY0MjIxOdIBK2h0dHBzOi8vbW5ld3Muam9pbnMuY29tL2FtcGFydGljbGUvMjM2NDIyMTk?oc=5

2019-11-26 09:38:13Z
527820224468814222280862651725245

한-아세안 정상 "자유무역이 공동번영의 길…지켜나갈 것" - 노컷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19 한-아세안 특별 정상회의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마친 뒤 박수를 치고 있다.(사진=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제공)
문재인 대통령과 아세안 국가 정상들은 26일 "전 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우리는 자유무역이 공동번영의 길이라는 것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마친 뒤 각국 정상들의 공동언론발표문을 낭독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는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의 협정문 타결을 환영하고, 한-아세안 FTA를 바탕으로 자유무역을 지켜나가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한-아세안이 미중 무역분쟁과 같은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해 자유무역을 바탕으로 한 '상생번영의 혁신공동체'로 나아갈 것이라고 전했다.

또 문 대통령은 "우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도 함께 열어가기로 했다"며 "과학기술 협력센터와 표준화, 산업혁신 분야의 협력센터를 아세안에 설립하고, 스타트업 파트너십도 강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각 정상들은 연계성 증진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으고 인프라, 스마트시티, 금융, 환경 분야의 협력 강화에도 합의했다.

또한 문 대통령은 "한국은 올해 한-아세안 협력기금을 2배 증액하고, 2022년까지 신남방지역에 대한 ODA를 2배 이상 확대할 것"이라며 "한국의 우수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고등교육, 농촌개발, 교통, 공공행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개발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부산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열린 2019 한-아세안 특별 정상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사진=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제공)
이날 문 대통령과 아세안 정상들은 '사람 중심 공동체'와 '평화로운 동아시아 공동체'를 실현하자는 데에도 뜻을 모았다.

먼저 '사람 중심 공동체'를 위해 문 대통령은 "한국은 2022년까지 아세안 장학생을 2배 이상 규모로 확대하고, 아세안의 미래인재 육성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인적교류와 문화교류 확대를 위해 비자 제도 간소화·항공자유화를 지속 추진하고, 부산 아세안문화원과 태국 아세안 문화센터의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아세안 지역에서의 한국어 교육 강화를 위한 협력도 더 확대하기로 했다.


이어 "한국에 거주 중인 아세안 국민은 60만 명이 넘는다"며 "정부는 다문화 가정과 근로자 등 한국에 체류 중인 아세안 국민들의 편익을 증진하고 공동체의 일원으로 성장하도록 더욱 관심을 갖고 지원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아세안 지역에 체류 중인 우리 국민에 대한 지원과 보호를 위해서도 각 나라와 협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문 대통령은 '평화로운 동아시아 공동체'를 위해 각 정상들이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이 동남아시아 안보와 연계되어 있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역내 평화 구축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부산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열린 2019 한-아세안 특별 정상회의 전경.(사진=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제공)
아세안은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등 아세안 주도 협의체를 활용해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또 아세안은 문 대통령이 유엔총회에서 밝힌 '비무장지대 국제평화지대화 구상'을 지지하고, 공동연락사무소와 같은 구체적 방안을 논의했다.

테러리즘과 초국경범죄, 사이보안보, 자연재해, 기후변화와 해양쓰레기 관리 등 증가하는 비전통적 안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문 대통령은 "올해 새로이 출범하는 한-아세안 초국가범죄 장관회의를 환영하며, 비전통적 안보 분야에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협력사업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문 대통령은 "한국은 아세안과 더욱 풍요롭고 평화로운 미래를 함께 만들어나갈 것"이라며 "추운 겨울에 나눈 ‘아시아의 지혜’는 아시아와 인류 모두를 따뜻하게 만들어줄 것"이라고 언급했다.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J2h0dHA6Ly93d3cubm9jdXRuZXdzLmNvLmtyL25ld3MvNTI0OTc1OdIBAA?oc=5

2019-11-26 07:05:00Z
527820244908314222280862651725245

대통령 “아세안 DMZ 평화지대구상 지지” - 미디어오늘

문재인 대통령은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참석한 정상들이 한반도의 평화안정에 협력하고 비무장지대 국제평화지대화 구상을 지지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부산에서 열리고 있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공동언론발표문에서 3대 공동체 실현을 위한 청사진에 합의했다면서 이같이 소개했다.

문 대통령은 한국과 아세안 정상 회의결과 아세안과 한국은 인적·문화적 교류를 확대하고 ‘사람 중심의 공동체’를 실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현재 한-아세안 인적교류 규모는 1100만명을 넘어섰다. 문 대통령은 모든 관계 발전의 시작은 사람이라는 점을 들어 “인적교류가 더욱 자유롭게 확대될 수 있도록 비자 제도 간소화, 항공 자유화 등 각종 제도개선을 추진하기로 했다”며 “한국은 2022년까지 아세안 장학생을 2배 이상 규모로 확대하고, 아세안의 미래인재 육성에도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또 자유무역 및 4차산업혁명 시대의 협력을 통한 상생번영 혁신공동체로 나아가겠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의 협정문 타결을 환영하고, 한-아세안 FTA를 바탕으로 자유무역을 지켜나가기로 했으며 4차 산업혁명 시대도 함께 열어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4차산업혁명과 관련해 문 대통령은 “과학기술 협력센터와 표준화, 산업혁신 분야의 협력센터를 아세안에 설립하고, 스타트업 파트너십도 강화해가겠다”고 강조했다. 한국과 아세안의 지속가능 번영을 위한 ‘연계성 증진’도 언급됐다. 문 대통령은 “‘아세안 연계성 마스터플랜 2025’의 이행을 위해 인프라, 스마트시티, 금융, 환경 분야의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며 “올해 한-아세안 협력기금을 2배 증액하고, 2022년까지 신남방지역에 대한 ODA를 2배 이상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문 대통령은 ‘평화로운 동아시아 공동체’를 위한 협력도 소개했다. 정상들이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이 동남아시아 안보와 연계되어 있다는데 인식을 같이하면서 이 지역 내의 평화 구축 방안도 마련했다. 문 대통령은 “아세안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구축을 위해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등 아세안 주도 지역 협의체를 활용하여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며 “특히 우리 정부의 비무장지대 국제평화지대화 구상을 지지하고 공동연락사무소와 같은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한국과 아세안은 ‘평화, 번영과 동반자 관계를 위한 한-아세안 공동 비전성명’과 ‘공동의장 성명’을 채택한다며 한국과 아세안이 맞이할 사람, 상생번영, 평화의 미래를 위한 훌륭한 이정표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고 있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공동언론발표문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MBC 뉴스 갈무리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고 있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공동언론발표문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MBC 뉴스 갈무리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Pmh0dHA6Ly93d3cubWVkaWF0b2RheS5jby5rci9uZXdzL2FydGljbGVWaWV3Lmh0bWw_aWR4bm89MjAzODE10gFBaHR0cDovL3d3dy5tZWRpYXRvZGF5LmNvLmtyL25ld3MvYXJ0aWNsZVZpZXdBbXAuaHRtbD9pZHhubz0yMDM4MTU?oc=5

2019-11-26 06:57:31Z
527820243912394222280862651725245

Senin, 25 November 2019

문 대통령, 환영 만찬 주재...내일 한·아세안 공동비전 채택 / YTN - YTN NEWS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K2h0dHBzOi8vd3d3LnlvdXR1YmUuY29tL3dhdGNoP3Y9ZTE0NnFBZU5WREnSAQA?oc=5

2019-11-25 13:12:54Z
527820231096384222280862651725245

일 "사과한 적 없다"…청와대 "분명히 받았다" 재반박 - JTBC


[앵커]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오늘(25일) 공식 개막됐습니다. 문 대통령은 경제, 문화인들과의 포럼 행사를 비롯해서 태국, 필리핀 등 아세안 주요국과의 정상회담을 이어갔습니다. 이런 가운데 지소미아 종료 유예 결정을 둘러싼 후폭풍이 거센데요. 한·일 간 신경전은 이제 사과 관련 진실 공방으로 번지는 모양새입니다. 오늘 신 반장 발제에서 관련 소식들을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기자]

♬ 사이드 바이 사이드 (Side by Side) - 한·아세안 캠페인 노래

문재인 정부가 심혈을 기울여서 준비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드디어 대망의 막이 올랐습니다. 개막 하루 전인 어제 가수 싸이, 보아, NCT127까지 총 출동한 전야공연 관람권은 1분 39초만에 전부다 매진 됐습니다. 공연장이 들썩들썩했는데요. 아세안 곳곳에서 한류를 사랑하는 관람객들이 모여들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미얀마에서 온 유학생 킨킨이라고 합니다]
[베트남에서 온 유학생 푸티후엔 이라고 합니다]
[한국에 있는 가수들하고 미얀마하고 또 아세안 가수들이 공연하는 것을 보니 진짜 영광입니다]
[진짜 영광이고, 베트남의 대표로서 여기 왔고요. 너무 기대합니다. 베트남 유명한 가수도 오고요.]

문 대통령도 우리 한류에 대한 뿌듯함을 숨기지 않았습니다. 오늘 오전에는 방탄소년단을 키워낸 방시혁 빅히트 엔터테인먼트 대표, 또 세계적인 스트리밍 사이트 넷플릭스의 CEO 등등 문화계 큰 손들이 참여한 한-아세안 문화혁신포럼이 열렸는데요. 문 대통령은 "아세안과 한국이 만나면 곧 세계문화가 될 수 있다"면서 문화콘텐츠사업에서의 협력을 강조했습니다.

[한·아세안 문화혁신포럼 : 한국은 1990년대 시작된 한류의 힘을 바탕으로 세계 7위의 콘텐츠 강국으로 발돋움했습니다. 문화콘텐츠는 이제 문화를 넘어 가장 유망한 성장산업입니다. 한국이 같은 문화적 정체성 위에서 아세안 문화콘텐츠의 동반자가 되겠습니다.]

정상회담도 줄줄이 이어집니다. 오늘 아침 태국의 쁘라윳 찬오차 총리와 오전에 정상회담을 했고요. 태국이 아세안 제2의 경제 대국이라면서, 현 정부 신남방정책의 가장 중요한 협력 파트너라고 강조했고요. 인도네시아, 필리핀과의 정상회담에서는 양국 간 FTA 협상 체결 문제도 논의했습니다. 각국 CEO가 모인 CEO 서밋에서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지지를 호소했는데요. "3차 북미 정상회담 등 남은 고비를 잘 넘으면 동아시아는 진정한 하나의 공동체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쯤에서 이번 회의에 어떤 어떤 나라가 참가했는지 한번 체크해볼까요.

[펭수/EBS 연습생 (화면출처 : 유튜브 외교부) : 펭-하 저는 자이언트 펭TV의 펭수 입니다. 11월 25일부터 27일까지 부산에서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가 개최된다고 하는데요. 와우~ 박수! 췌키라웃!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성공적으로 개최되길 응원하겠습니다. 펭펭]

네, 언제봐도 귀여운 펭수입니다. 아무튼 한-아세안 정상회의는 이렇게 순조롭게 잘 진행되고 있는데요. 어제 저녁이었죠. 회의 준비를 위해 미리 부산에 내려가 있던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정말 갑자기 기자들이 모인 미디어센터를 찾았습니다. 한-아세안 회의에 안보실장이 브리핑을, 일순간 긴장감이 맴돌았는데요. 정부의 지소미아 종료 유예 결정에 대해 일본 측이 잇따라 자의적인 평가를 내놓자, 이를 정면 반박하기 위해서 아주 이례적인 현장 긴급 브리핑을 가진 겁니다.

앞서 일본 언론들은 아베 총리가 지소미아 유예 결정에 대해서 "일본은 아무것도 양보하지 않았다"고 자랑했다거나 "거의 일본의 퍼펙트 게임"이라는 정부 고위 관계자들의 발언을 보도했습니다. 정의용 실장은 "실망스럽기 이를 데 없다"고 말했는데요. 오히려 원칙과 포용을 견지한 한국 외교의 승리라면서 적극 반박했습니다. "일본 경제산업성이 한일 간에 발표하기로 한 합의 내용을 아주 의도적으로 왜곡 또는 부풀렸다"며 "이런 식의 행동이 반복된다면 한·일간 협상 진전에 큰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 엄중 경고했습니다.

[이이다 요이치/일본 경제산업성 무역관리부장 (지난 22일) : 지소미아와 관련해, 이번 협상은 외교·안보 당국 간
군사정보의 교환을 위한 것입니다. 제가 알기로 (WTO 제소 절차 중단과 지소미아 종료 유예는) 시기는 같았지만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특히 청와대는 '아베 총리가 주위 사람들에게 "아무것도 양보하지 않았다. 미국이 상당히 강해서 한국이 포기했다"라고 말했다' 언론 보도에 대해 "사실이라면 지극히 실망스럽다", "지도자로서 양심을 가지고 할 수 있는 말인지 되묻고 싶다"고  강도높게 비판했습니다. 외교 사안에 불만을 제기할 때, 이렇게 타국 정상의 이름을 직접 겨냥해 비판한 것도 상당히 이례적인 경우죠. 그만큼 지소미아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고, 일본과의 여론전에서도 밀리지 않겠단 의지가 강하기 때문이란 해석입니다. 청와대는 '미국이 주한미군 감축 카드로 한국을 압박했다'는 일본 보도에 대해서도 "주한미군 문제가 한·미 간에 일체 거론되지 않았다"고 강력하게 부인했습니다.

[아베 신조/일본 총리 (지난 22일) : 북한에 대한 대응에 있어 일본과 한국 사이의 조정과 협력, 그리고 한·미·일 3국의 협력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것은 우리가 반복적으로 말해왔던 것입니다. 이번에 한국도 그런 전략적인 관점에서 판단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에다가 사과와 둘러싼 진실 공방까지 벌어졌죠. 어제 정의용 실장은 "일본이 합의 내용을 왜곡한 데 대해 외교 채널을 통해 항의했고, 일본 측이 사과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런데 어젯밤 요미우리 신문을 통해서 "우리는 사과한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는 일 외무성 관계자의 발언이 보도됐습니다. 또 청와대의 일본 정부 비판을 두고선, "한국 내에선 지소미아 종료 연기가 일방적 양보라는 비판이 있다" 면서 "일본에 항의해 국내 비판을 피하려는 목적이 있는 것 같다"는 해석을 내놓기까지 했죠.

이에 대해 청와대는 일본으로부터 사과를 받았다고 거듭 반박했습니다.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 "다시 한번 분명히 밝히지만 우리 측은 일본에 항의했고 일본 측은 사과했다"면서, "일본 측이 사과한 적이 없다면 공식 루트를 통해 항의해 올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진실은 정해져 있다"고도 강조했죠. 반면에 일본 스가 관방장관은 정례 브리핑에서 "정부로서 사과한 적이 없다" 또 반박에 재반박을 했습니다. 이렇게 지소미아 유예 결정이 한일 간 난타전으로 치닫는 양상입니다.

오늘 청와대 발제 이렇게 정리합니다. < "사과한 적 없다"는 일본…청와대 "분명히 받았다" 재반박 >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M2h0dHA6Ly9uZXdzLmp0YmMuam9pbnMuY29tL2h0bWwvOTc4L05CMTE5MTU5NzguaHRtbNIBAA?oc=5

2019-11-25 09:36:00Z
527820225411354222280862651725245

[줌인] AI·얼굴인식 기술로 '불순분자' 색출...中 위구르 수용소의 충격 실상 - 조선일보

입력 2019.11.25 18:00

"위구르는 중국이 아니다. 민족이 다르고 언어가 다르고 종교가 다르다. 역사적 배경과 살아온 문화가 다른데 어떻게 중국에 편입될 수 있겠는가?" 위구르 망명정부 지도자였던 이사 유수프 알프테킨은 1995년 세상을 떠나기 전에 이렇게 말했다.

중국 정부는 배경도 문화도 다른 위구르 지역을 어떻게든 ‘하나의 중국’ 테두리 안에 묶어두기 위해 알프테킨 사후 20년이 넘도록 갖은 방법을 동원했다. 24일(현지 시각)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가 발표한 기밀 문서는 중국 공산당이 어떻게 이 지역 소수민족들을 탄압해왔는지 생생히 보여준다.

ICIJ가 입수한 내부 문건은 ‘알림(bulletins)’이라는 이름으로 쓰인 통합합동작전 플랫폼(IJOP·Integrated Joint Operations Platform) 사용지침과 ‘전보(cables)’라는 제목으로 작성한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 직업훈련소 운영지침, 신장 자치구 법원의 사상범죄 판결문이다. 이들 문건은 주하이룬(朱海侖) 당시 신장 자치구 공산당 부서기 겸 공안청장의 결재를 받았고, 2급 기밀로 분류됐다.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가 24일(현지 시각) 발표한 중국 신장 자치구 공안당국 관련 문서. /AP연합뉴스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가 24일(현지 시각) 발표한 중국 신장 자치구 공안당국 관련 문서. /AP연합뉴스
이 문서를 보면 신장 자치구 공안당국이 안면인식카메라와 스마트폰앱 같은 첨단 기술을 동원해 ‘요주의(要注意) 인물’을 색출하고, 이후 어떤 식으로 처분했는지 드러난다.

문서에 적힌 IJOP는 신장 자치구 등에서 쓰이고 있는 첨단 감시망. 공안당국은 신장 자치구 곳곳에 설치한 검문소 뿐만 아니라 골목마다 보이는 안면인식 카메라와 일반 폐쇄회로(CCTV) 카메라로 소수 민족들을 광범위하게 감시했다. 카메라 뿐 아니라 스마트폰 파일 공유 애플리케이션 '자피아(Zapya)’나 컴퓨터 통신망 고유 정보를 수집하는 ‘와이파이 스니퍼’도 수용소에 가둘 유력 후보군을 구분하는 주요 수단으로 쓰였다.

가령 IJOP가 2017년 6월 한 주 동안 신장 자치구에서 지목한 ‘의심스러운 인물’은 모두 2만4000명. 이들 중 1만5600명은 직업훈련소에, 706명은 감옥으로 끌려갔다. 유엔 인권위원회에 따르면 중국은 현재 이 지역 전체 이슬람계 소수민족의 10%에 이르는 최대 100만명을 재판 절차 없이 1000개가 넘는 수용소에 구금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중국 정부 기밀문서 전문가인 제임스 멀브넌 SOS 인터내셔널 정보통합부장은 "중국 공안당국은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을 통해 수집한 대규모 데이터를 이용해 앞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사건을 예측하고, 반국가·반체제 행위에 가담할 성향이 보이는 사람을 구별해낼 수 있다고 믿는다"며 "IJOP는 단순한 ‘범죄 예방’ 플랫폼이 아니라 인간의 판단을 인공지능으로 대체한 머신러닝 기반 지휘통제 플랫폼"이라고 말했다.

 위성사진을 통해 본 신장위구르 지역 직업훈련소 구조. /플래닛랩스
위성사진을 통해 본 신장위구르 지역 직업훈련소 구조. /플래닛랩스
치안당국이 직업훈련소라 말한 곳은 간판만 직업훈련소지 소수민족의 언어와 사고를 ‘중국스럽게’ 개조하기 위한 사상·행동 재교육소에 가까웠다. 미국 AP와 뉴욕타임스(NYT), 영국 가디언과 BBC 같은 언론매체들은 이곳을 ‘일거수일투족이 통제와 감시의 대상이 되는 사실상의 수용소’라고 평가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공안당국은 수용소에 갇힌 소수민족들을 ‘학생(student)’이라 불렀다. 이들은 기상·취침 시간이 정해져 있는 것은 기본이고 밥을 먹을 때에도, 화장실을 갈 때도 따라야 하는 규칙이 있었다.

숙소와 교실에는 감옥처럼 여러 잠금 장치가 설치돼 있었고, 모든 건물은 울타리와 높은 벽으로 둘러쌓여 안과 밖을 철저히 구분했다. 망루에는 보안요원이, 정문에는 경찰이 경비를 섰고, 수용자들은 24시간 내내 카메라로 감시 당했다.

본인 의도와 상관없이 이곳에 갇힌 소수민족 가운데 다수는 물고문, 구타 같은 갖가지 학대에 시달렸다. 수용소에 구금됐다 풀려나 스웨덴으로 망명한 사이라굴 사우잇베이는 지난 10월 이스라엘 일간지 하아레츠와의 인터뷰에서 "일부 구금자들은 수용소 벽에 걸린채 전기곤봉으로 맞았다"며 "못이 박힌 의자에 묶인 사람도 있었다"고 증언했다.

수용소에서 나오려면 상점(賞點)을 많이 모아야 했다. 사상에 변화가 있거나, 이전보다 중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거나, 규율을 순순히 따랐으면 상점이 주어졌다. 점수가 얼마나 쌓였는지에 따라 가족과 연락을 하거나, 퇴소 시점이 빨라졌다고 AP는 전했다.

 신장 북쪽 호탄 지역에 자리잡은 소수민족 직업훈련소의 망루. /AP연합뉴스
신장 북쪽 호탄 지역에 자리잡은 소수민족 직업훈련소의 망루. /AP연합뉴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이 문건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만들어진 가장 큰 소수민족 구금시설인 신장 수용소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포괄적인 그림을 보여주는 자료"라고 평가했다.

반면 중국 정부는 이날 공개된 자료가 ‘가짜 뉴스’라며 존재 자체를 적극적으로 부인했다.

영국 주재 중국대사관은 "소위 '유출된 문건'은 완전히 위조된 가짜뉴스"라며 "신장에 수용소는 존재하지 않으며, 테러 방지를 위한 직업훈련 교육센터만 있다"고 반박했다. 이어 "1990년대부터 2016년까지 신장에서 테러 수천건이 발생해 무고한 사람 수천명이 목숨을 잃다"며 "중국 정부가 이를 위해 단호한 조치를 한 결과, 지난 3년간 테러가 단 한건도 일어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류샤오밍(劉曉明) 주영국중국대사 역시 BBC와의 인터뷰에서 "서방의 일부 인사들이 사실관계를 무시한 채 신장에서 중국 정부의 반테러 노력을 방해하고, 중국의 꾸준한 발전을 좌절시키고자 중국을 비방하고 있다"고 불쾌감을 드러냈다.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SGh0dHBzOi8vbmV3cy5jaG9zdW4uY29tL3NpdGUvZGF0YS9odG1sX2Rpci8yMDE5LzExLzI1LzIwMTkxMTI1MDI3ODcuaHRtbNIBSmh0dHBzOi8vbS5jaG9zdW4uY29tL25ld3MvYXJ0aWNsZS5hbXAuaHRtbD9zbmFtZT1uZXdzJmNvbnRpZD0yMDE5MTEyNTAyNzg3?oc=5

2019-11-25 09:00:00Z
527820225159224222280862651725245

매일경제 레이더 - 매일경제

홍콩 범민주 진영 후보자 앵거스 웡의 지지자들이 25일 구의원 선거 개표 결과, 승리가 확정되자 시위대의 5대 요구 사항을 상징하는 다섯 손가락을 펼쳐 보이며 환호하고 있다. [AP = 연합뉴스]
사진설명홍콩 범민주 진영 후보자 앵거스 웡의 지지자들이 25일 구의원 선거 개표 결과, 승리가 확정되자 시위대의 5대 요구 사항을 상징하는 다섯 손가락을 펼쳐 보이며 환호하고 있다. [AP = 연합뉴스]
`쓰나미 같은 민심의 분노가 홍콩 전역을 휩쓸었다.`

2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전날 실시된 구의원 선거에서 범민주파의 압승, 친중파 진영의 대참패 소식을 전하며 이같이 보도했다.

홍콩 시민 마음 깊숙이 자리 잡은 `반중·반정부` 정서는 지난 6개월간 지속된 홍콩 시위 사태에 이어 이번 투표 결과에도 고스란히 투영됐다. 홍콩 현지 언론들은 들끓은 민심이 홍콩 정부를 비롯한 친중파 진영을 심판했다고 평가했다. 이번 선거에서 범민주 진영이 압승을 거두면서 향후 시위 정세와 홍콩 이슈를 둘러싼 중국의 대응 전략에 변화가 나타날지 주목된다.

홍콩 선거사무처는 25일 개표 결과 구의원 452석 중 범민주 진영이 347석(76.7%)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민주건항협진연맹(민건련)을 비롯한 친중파 진영은 60석(13.2%)을 차지하는 데 그쳤다. 2015년 구의원 선거 당시 친중파 진영은 327석(72%)을 확보한 바 있는데 4년 만에 전세가 역전된 것이다.


범민주 진영의 선전은 그야말로 압도적이었다. 올해 투표가 진행된 18개 선거구 중 17곳에서 이기는 대승을 거뒀다. 웡타이신, 췬완, 완차이, 샤틴, 난구 등 17개구에서 과반 의석을 확보해 지방의회를 사실상 완전히 장악하게 됐다. 이번 구의원 선거에서는 지난 6월부터 홍콩 민주화 시위를 이끌고 있는 시위 지도부들이 시민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으며 승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위를 주도한 홍콩 재야 단체 민간인권전선의 지미 샴 대표는 샤틴 지역에서 구의원으로 당선됐으며, 학생 시위 운동을 주도한 레스터 슘, 토미 정, 에디 찬 등도 구의회에 입성했다. 툰먼 지역에서 승리를 거둔 로춘위는 "이번 선거는 캐리 람 정부에 대한 국민투표이자 심판이었다"고 강조했다.

이번 선거는 자유와 민주를 향한 홍콩 민심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그동안 홍콩 당국은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로 촉발된 홍콩 시위 사태가 6개월 넘게 이어지고 있는데도 민심을 헤아려주기보다 시위대를 `폭도`로 간주하며 강경 진압에 열을 올렸다. 이번 선거 투표율이 71.14%를 찍으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평소 정치에 관심이 덜한 젊은 유권자가 대거 투표에 참여한 것은 중국 공산당과 친중 성향인 홍콩 정부를 향한 분노의 표출이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선거 승리로 홍콩 행정장관 선거인단 1200명 가운데 구의원 몫인 117명을 모두 차지하게 된 범민주 진영은 당장 내년 9월 입법회 선거에서도 과반 의석 확보에 열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범민주 진영이 압승을 거두면서 향후 홍콩을 둘러싼 시위 정국에도 변화의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우선 이번 선거를 계기로 홍콩 시위대는 그동안 정부를 상대로 요구해온 5대 조건을 강하게 제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시위대는 정부로부터 이미 약속받은 `송환법 공식 철회` 외에도 △경찰의 강경 진압에 관한 독립적 조사 △시위대 `폭도` 규정 철회 △체포된 시위대의 조건 없는 석방과 불기소 △행정장관 직선제 실시 등을 요구했지만 정부는 나머지 4가지 조건 수용을 거부했다. 이에 시위대는 선거 이후 시위를 이어나가면서 정부를 압박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홍콩 당국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중국 중앙정부의 지지를 받으며 진압을 통한 시위 수습 작업에 한창이다. 하지만 이번 선거 결과로 예전처럼 강경 진압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익명을 요구한 전 홍콩 관료는 "홍콩 당국은 향후 시위 정세와 중앙정부 방침을 살핀 뒤 일정 수준에서 시위대 요구 조건을 들어주는 회유책을 쓸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그는 이어 "중국 중앙에서는 홍콩 이슈에 직접 개입하는 것보다 람 장관이 시위 수습을 마무리하도록 유도하고, 차후 람 장관의 퇴진 시점을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예상은 과거 둥젠화 전 홍콩 행정장관 당시 수습 전략과 유사하다. 둥 전 장관은 중국 중앙정부가 원하던 국가보안법 제정을 강행했다가 2003년 7월 1일 홍콩 시민의 반대 시위를 맞아 이를 철회했으며, 결국 그 뒤 2년 만에 건강상 이유로 사임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 홍콩 구의원 선거 결과로 시 주석의 `중국몽` 구상이 흔들릴 것이란 관측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홍콩에 대한 중국의 전략은 중장기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일국양제(한 국가 두 체제)가 보장되는 2047년까지 중국은 `홍콩의 중국화`를 위해 다양한 작업을 서서히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상하이·선전과 같이 홍콩의 금융·물류허브 지위를 대체할 수 있는 도시를 중점 육성하고, 광둥성 9개 도시와 홍콩·마카오를 아우르는 메가경제권인 `웨강아오다완취`를 개발해 홍콩을 본토 경제권으로 흡수하는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 일본을 방문 중인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이번 홍콩선거와 관련해 "무슨 일이 있어도 홍콩이 중국의 일부이며 중국의 특별행정구라는 사실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홍콩을 엉망으로 만들거나 홍콩의 번영과 안정을 해치려는 어떤 시도도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베이징 = 김대기 특파원 / 서울 = 진영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P2h0dHA6Ly9yYXl0aGUubWsuY28ua3Ivdmlldy5waHA_c2M9NTE5MDAwMDEmeWVhcj0yMDE5Jm5vPTk4MjM1OdIBAA?oc=5

2019-11-25 08:51:15Z
527820185787324222280862651725245

중산층·청년세대 투표 열기에, 친중후보 줄낙엽 쓰나미 - 한겨레

홍콩 구의원 선거 결과 뜯어보니
시티원 등 중산층 선거구 투표율 81% 육박
12년째 집권 친중계 후보, 범민주계에 낙마
반정부 주역 젊은층, 직접 후보로 출마하고
18~35살 유권자 12.3% 증가·유학생 귀국투표
25일 오전, 홍콩 범민주 진영의 지지자가 ‘백색테러’를 옹호해 홍콩 시위대의 분노의 표적이 됐던 친중계 후보 허쥔야오가 전날 치러진 구의원 선거에서 낙선했다는 결과가 발표되자 환호성을 외치고 있다. 홍콩/AP 연합뉴스
25일 오전, 홍콩 범민주 진영의 지지자가 ‘백색테러’를 옹호해 홍콩 시위대의 분노의 표적이 됐던 친중계 후보 허쥔야오가 전날 치러진 구의원 선거에서 낙선했다는 결과가 발표되자 환호성을 외치고 있다. 홍콩/AP 연합뉴스
‘중산층 유권자들이 투표를 통해 절실하게 자신들의 목소리를 표출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는 25일 홍콩 구의원 선거가 71.23%라는 ‘역대급’ 투표 참여율을 기록하며 ‘범민주 진영의 압도적 승리-친중파 몰락’이란 결과를 불러온 이유를 이렇게 분석했다. 버스 노선이나 쓰레기 수거 등 생활 밀착형 지역 문제가 집중되는 구의원 선거에 시큰둥했던 상당수 중산층 유권자들이 6개월째 지속되고 있는 반정부 시위를 결산할 ‘국민투표’ 성격을 띄게 된 이번 구의원 선거에서 적극 투표로 의견을 표출하기 시작했다는 설명이다. 이번 구의원 선거에서 범민주 진영이 압도적 승리를 거둘 수 있었던 건, 그 어느 때보다 뜨거웠던 투표 참여 열기 덕분이었다. 그 가운데서도, 대표적 중산층 거주 지역의 투표율이 유독 높게 나타난 점이 도드라진다. 한 예로, 샤틴구 시티원 선거구의 경우 유권자 9744명 중 7922명(81.3%)이 투표에 참여했다. 이곳은 범민주 진영의 거점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2007년 이후 친중국계 웡카윙 의원이 내리 당선됐던 곳이다. 하지만 이번 선거에선 범민주 진영 공민당 후보로 나선 기자 출신 웡만훈이 당선됐다. 앨빈 영 공민당 대표는 “시티원의 투표율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며 “(시티원의 이런 선거 결과는) 중산층의 생각을 보여주는 것인 만큼 정부는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투표율이 낮았더라면 자금·조직 동원력이 좋은 기존의 친중계 후보들이 당선됐을 테지만, 중산층 유권자들이 적극적 투표로 목소리를 낸 까닭에 판세가 뒤바뀌게 됐다는 취지다. <뉴욕타임스>는 10명 중 7명이 투표에 참여한 이번 선거는 비록 최근 시위가 과격 양상으로 치닫고 있어도 여전히 민심은 민주화 시위에 지지를 보내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지난 6개월 간 홍콩 사회를 뒤흔들었던 반정부 시위의 주력이었던 ‘젊은층’ 유권자들이 대거 투표에 참여한 것도 선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쳤다. 청년세대 유권자들이 이번 선거에서 직접 후보로 출마한 것은 물론 투표율 견인차 역할을 했다는 설명이다. 이번 선거에선 18~35세의 청년세대 유권자가 12.3%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외국에 유학생으로 나가 있던 청년들이 선거를 맞아 홍콩으로 대거 돌아와 한 표를 행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범죄인송환조례 반대(반송중) 운동을 이끈 민간인권전선의 지미 샴 대표를 비롯해, 선거 출마를 금지당한 홍콩 민주화 시위의 리더 조슈아 웡을 대신해 나선 켈빈 람 후보 등 청년세대들이 후보로 출마해 쟁쟁한 친중계 후보들을 물리쳤다. 대표적 친중파 의원으로, 이번 선거에서 범민주 진영 후보에게 낙선한 마이클 티엔 입법의원은 “젊은층 유권자들의 증가는 우리에게 이들이 좀더 정치 참여 성향으로 바뀌고 있다는 경종을 울린다”며 “정부는 이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고 <뉴욕타임스>가 전했다. 이정애 기자 hongbyul@hani.co.kr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QGh0dHA6Ly93d3cuaGFuaS5jby5rci9hcnRpL2ludGVybmF0aW9uYWwvYXNpYXBhY2lmaWMvOTE4NDM0Lmh0bWzSAQA?oc=5

2019-11-25 08:41:51Z
527820185787324222280862651725245

외신들, 홍콩 선거 갈채…中언론만 “투표수 차이 안많다” 폄훼 - 동아일보

24일(현지시간) 치러진 홍콩 구의원 선거 결과를 두고 미국 등 서방 언론들은 갈채를 보내고 있다. 홍콩 언론도 대부분 그렇다. 반면 중국 언론은 이를 폄훼하는 기사를 노골적으로 내놓고 있어 대조를 보인다.

홍콩 구의원 선거 결과 범민주 진영이 전체 의석의 90%를 차지할 것이란 보도가 25일 나왔다. 홍콩 공영 라디오텔레비전 방송(RTHK)은 범민주 진영이 전체 452석 가운데 약 90%에 가까운 390석을 차지했다고 발표했다.

로이터 통신은 25일 ‘정치적 위기 속 홍콩 민주파의 압도적 승리’라는 제목으로 선거 결과와 내용을 자세히 알렸다. 또 “지난 수십년래 최악의 정치적 위기 와중에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에 대한 비판이 더욱 거세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이날 캐리 람 행정장관은 “정부는 선거 결과를 존중한다”면서도 “평화와 안전, 질서는 계속돼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블룸버그는 통신은 홍콩의 반정부 시위대와 경찰과의 충돌이 심화돼 온 상황을 설명하면서 이번 선거 결과를 “권력을 남용하는 경찰에 대한 독립적인 조사를 요구하는 항의에 대한 지지”라고 보았다. 뉴욕타임스(NYT)는 “친민주 후보들이 선거에서 놀라운 승리를 거두었다. 기록적인 숫자(투표율 등)들은 도시의 열망과 중국 정부에 대한 분노를 생생하게 표현한다”고 승리의 의미를 짚었다.

영국 BBC는 이번 선거에 대해 “구의회는 버스와 쓰레기 처리 문제 등 지방의 일 다루는 의회에 해당하는 것이지만, 행정장관의 선택에도 영향을 준다 ”며 이번 선거가 향후 홍콩 정부의 수장 선택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을 잊지 않았다.

일본 언론에서도 홍콩 민주 진영의 압승을 앞다퉈 크게 보도했다. 지지통신은 ‘민주파가 역사적인 승리인 80% 획득, 친중파는 대패’라고 썼다. NHK 역시 “민주파가 4분의3 이상의 의석에서 압승했다”면서 이번에 당선한 민주 진영 대표가 이번 선거를 ‘홍콩인의 승리’라고 평가하며 “홍콩 정부가 민의를 받아 시민들의 5개 요구를 확실하게 실행해야 한다”고 한 말도 전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홍콩 선거:민심 이반의 쓰나미가 도시를 씻어낸 후 친중 진영은 기록적인 투표율과 압도적인 패배로 비틀거리는 채 남았다”는 제목으로 흥분을 전했다.

다만 중국 언론들은 침묵하거나 애써 그 의미를 깎아내렸다.

중국신문망은 전날 홍콩 선거가 치러지고 있다고 보도 했음에도 투표 결과는 보도하지 않고 있다. 신화통신도 선거 결과는 보도하지 않고 있다.

환구시보는 사설에서 이번 선거로 홍콩 선거 역사에서 새로운 장을 썼으며 민주당 세력은 거의 80%를 차지하는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고 썼다. 하지만 실제로 양측이 얻은 투표수 차이는 의석 차이보다 훨씬 작다고 밝혔다.

또 이번 선거의 환경이 매우 비정상적이었고 ‘폭풍’이 몰아닥친 환경 하에 치러졌다며 이는 비이성적인 정치에너지라고 했다. 또 범민주 후보들이 승리했다고 해서 그것이 유권자들이 폭력시위를 지지한다는 의미는 아니라고 강조했다.
후시진 환구시보 편집장은 이와는 별도로 친중 세력의 패배가 ‘서구의 영향력’때문이라고 비난하는 글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렸다. 후 편집장은 “서방이 지난주 구의원 선거에서 홍콩 야당을 도왔다”면서 “호주 매체는 갑자기 홍콩에 잠입한 중국 스파이가 호주로 탈출했다는 뉴스를 전했다”며 그 예를 들었다.


(서울=뉴스1)

“홍콩 야권 범민주파의 압승은 시민들의 자유에 대한 열망 보여준 것”
창닫기
기사를 추천 하셨습니다외신들, 홍콩 선거 갈채…中언론만 “투표수 차이 안많다” 폄훼베스트 추천 뉴스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Pmh0dHA6Ly93d3cuZG9uZ2EuY29tL25ld3MvTGlzdC9hcnRpY2xlL2FsbC8yMDE5MTEyNS85ODUyNzU2My8x0gE1aHR0cDovL3d3dy5kb25nYS5jb20vbmV3cy9hbXAvYWxsLzIwMTkxMTI1Lzk4NTI3NTYzLzE?oc=5

2019-11-25 07:58:00Z
527820185787324222280862651725245

Minggu, 24 November 2019

교황 日피폭지서 "핵무기 사용은 범죄…폐기에 모두 참여해야" - SBS 뉴스

일본을 방문 중인 프란치스코 교황이 2차대전 중 원자폭탄이 투하됐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를 방문해 핵무기 폐기를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당부했습니다.

교도통신과 NHK에 따르면 프란치스코 교황은 24일 원폭 투하지인 일본 히로시마를 방문해 "전쟁을 위해 원자력을 사용하는 것은 범죄"라면서 "여기서 일어난 일은 현재의 세대와 다음 세대에 걸쳐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습니다.

또 "나는 평화의 순례자로서 극심한 폭력에 희생된 죄 없는 사람들을 생각하며 조용히 기도하기 위해 이곳에 오지 않으면 안 된다고 느꼈다"고 밝히며 피폭지를 방문하는 것을 자신의 사명으로 여기고 있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분쟁의 정당한 해결책으로서 핵전쟁의 위협으로 위협하는 것에 의존하면서 어떻게 평화를 촉구하는 것이 가능하겠는가"라며 진정한 평화는 무기를 가지지 않는 외에는 있을 수 없다고 핵무기의 억지력에 의존하는 것을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교황은 히로시마에서 불교 등 각 종교 관계자들이 모이는 '평화를 위한 모임'에 출석했으며 피폭자의 증언을 경청하기도 했습니다.

교황은 히로시마 방문에 앞서 나가사키의 원자폭탄이 투하됐던 지점에 세워진 공원을 찾아가 "핵무기 폐기라는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핵보유, 비보유 상관없이 모든 사람과 국가, 기관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핵무기에서 해방된 평화로운 세계를 수로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사람이 열망하고 있다"며 "핵무기가 없는 세상은 가능하고 또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세계 각국의 정치 지도자는 핵무기 사용이 초래할 파멸적인 파괴를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며 "핵무기와 대량파괴무기를 보유하는 것은 평화와 안정을 향한 희망에 대한 해답이 아니다"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무기 제조와 개량은 터무니없는 테러 행위"라고 덧붙였습니다.

교황은 핵무기의 개발·실험·생산·제조·비축·위협 등 모든 핵무기 관련 활동을 포괄적으로 금지한 유엔 핵무기금지조약의 비준을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교황은 "천주교가 핵무기금지조약을 포함해 핵무기와 군비의 감축을 위해 앞으로도 계속 노력하겠다"며 "서로 합의를 추구하고 끈기 있게 대화를 요청해 가는 것이 우리들의 무기가 될 수 있도록 기원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교도통신은 핵무기금지조약에 참가하지 않고 있는 일본에 참가를 촉구한 발언으로 보인다고 해석했습니다.

일본은 유일한 피폭국이라며 국제 사회에서 '핵무기 없는 세상'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도 미국의 눈치를 보며 핵무기금지조약에 대해서는 찬성하지 않고 있습니다.

교황은 또 내년 봄 핵확산금지조약 평가회의를 앞두고 핵보유국과 비보유국 사이에 갈등이 부각되는 것과 관련해 "상호불신으로 무기사용을 제한하는 국제적인 틀이 붕괴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폭심지 공원에서 성(聖) 프란시스코의 '평화의 기도'를 올리기도 했습니다.

3박 4일 일정으로 일본을 방문한 교황은 나가사키에서 선교사와 성인 등 26명 순교자의 위령비가 있는 니시자카 공원도 방문했으며 나가사키현이 운영하는 야구장에서 방일 후 첫 미사도 집전했습니다.

한국원폭피해자협회에 따르면 심진태 한국원폭피해자협회 합천지부장을 비롯해 한국인 피폭자 1·2세 13명이 프란치스코 교황이 나가사키 야구장에서 연 미사에 참석했습니다.

이들은 나가사키 폭심지 공원에서 교황이 평화 메시지를 발표하는 자리에도 참석했습니다.

심 지부장 일행은 전날 후쿠오카 공항에서 일본 출입국 당국으로부터 이례적으로 장시간의 심사를 받은 끝에 일본에 입국할 수 있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Omh0dHBzOi8vbmV3cy5zYnMuY28ua3IvbmV3cy9lbmRQYWdlLmRvP25ld3NfaWQ9TjEwMDU1MzY0MjjSAT9odHRwczovL25ld3Muc2JzLmNvLmtyL2FtcC9uZXdzLmFtcD9uZXdzX2lkPU4xMDA1NTM2NDI4JmNtZD1hbXA?oc=5

2019-11-24 14:43:00Z
527820185468604222280862651725245

교황, 일본 나가사키 방문…"핵무기 없는 세상" - JTBC News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K2h0dHBzOi8vd3d3LnlvdXR1YmUuY29tL3dhdGNoP3Y9ZWJSN3FFUWRoSXfSAQA?oc=5

2019-11-24 13:38:01Z
CCAiC2ViUjdxRVFkaEl3mAEB4222280862651725245

정부 "日, 신뢰할 만한 오염수 처리 현황 공개해야" - YTN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처리 방안과 관련해 우리 정부가 일본에 주변국이 신뢰할 오염수 처리 현황을 공개하라고 요구했습니다.

환경부는 어제와 오늘 일본 기타큐슈에서 열린 한중일 환경장관회의에서 조명래 장관이 고이즈미 신지로 일본 환경성 장관과 양자 회담을 열어 이같이 요구했다고 밝혔습니다.

고이즈미 장관은 과학적 근거에 입각해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국제사회에 공개하겠다고 말했다고 환경부는 전했습니다.

한중 양자회담도 진행됐는데 이 자리에서 중국은 올해부터 베이징, 톈진, 허베이 및 주변 지역의 가을·겨울철 대기 질 예보 상황과 미세먼지 저감 조치 정보를 한중 환경협력센터에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다음 달 도입하는 계절 관리제 기간에 해당 정보를 집중적으로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세 나라 회의에선 대기 질 개선, 순환경제, 기후변화 대응 해양·물 환경 관리 등 8가지가 우선 협력분야로 선정돼 공동 합의문에 담겼습니다.

세 나라 장관들은 8대 분야별로 협력사업을 발굴해 내년 한국에서 열리는 차기 회의 때 공동행동계획을 채택하기로 했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MWh0dHBzOi8vd3d3Lnl0bi5jby5rci9fbG4vMDEwM18yMDE5MTEyNDIyMjg1MDM3MTjSAUNodHRwczovL20ueXRuLmNvLmtyL25ld3Nfdmlldy5hbXAucGhwP3BhcmFtPTAxMDNfMjAxOTExMjQyMjI4NTAzNzE4?oc=5

2019-11-24 13:28:00Z
CAIiEAob6kB1sCwzMZd4om7d-tIqGQgEKhAIACoHCAowk_vcCjDo688BMLr6iAI4222280862651725245

"오염수 처리 계획 없다" 불투명한 일본…처리현황 공개 요구 - JTBC


[앵커]

후쿠시마 오염수와 미세먼지, 모두 우리나라 혼자 해결할 수 없는 문제죠. 한국, 중국, 일본 세 나라 환경 장관이 어제, 오늘 만나 환경 문제를 논의하고 있는데요. 후쿠시마 오염수를 어떻게 처리할 건지를 놓고 일본은 "처리 계획이 없다"며 또 모호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김세현 기자입니다.

[기자]

한·일 두 나라 환경장관은 본회의 전에 따로 만났습니다.

조명래 장관은 우리 국민의 우려를 전달하면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처리 방안 문제를 꺼냈습니다.

[조명래/환경부 장관 : 이번에도 제가 두 차례나 세 차례나 그 문제 제기를 했습니다. 그렇지만 아직까지는 어떤 방법으로 처리할지에 대해서는 결정한 것이 없다는 것이 마지막 결론이자 일본 정부가 갖고 있는 입장인데…]

일본이 오염수 처리 문제와 관련해 모호한 태도를 보인 겁니다.

발표문에서도 '오염수'가 아닌 '처리수'라고 강조했습니다.

[고이즈미 신지로/일본 환경상 : 후쿠시마의 처리수를 일본이 어떻게 관리하는지를 확실히 설명을 하였습니다.]

우리 정부는 원전 오염수 관리의 안전성에 대해 주변국이 신뢰할 수 있도록 처리현황 등의 정보를 공개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한편, 우리 정부와 중국은 미세먼지 문제 해결에 협력하고, 예·경보 시스템 자료를 공유하기로 했습니다.

Let's block ads! (Why?)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M2h0dHA6Ly9uZXdzLmp0YmMuam9pbnMuY29tL2h0bWwvNTE3L05CMTE5MTU1MTcuaHRtbNIBAA?oc=5

2019-11-24 12:03:00Z
CBMiM2h0dHA6Ly9uZXdzLmp0YmMuam9pbnMuY29tL2h0bWwvNTE3L05CMTE5MTU1MTcuaHRtbNIBAA4222280862651725245

"표로 보여준다"…홍콩 미래 걸린 선거 '역대급' 투표율 - SBS 뉴스

[unable to retrieve full-text content]

  1. "표로 보여준다"…홍콩 미래 걸린 선거 '역대급' 투표율  SBS 뉴스
  2. 홍콩 구의원 선거 시작...시위 사태 중대 분수령 / YTN  YTN NEWS
  3. 홍콩 구의원 선거 시작···투표소 긴 행렬, 민주세력 약진 주목 - 중앙일보  중앙일보
  4. [만리재사진첩] '홍콩 구의원 선거' 투표소 앞 끝없는 행렬  한겨레
  5. 홍콩 구의원 선거, 긴장 속에 높은 참여 열기 / YTN  YTN NEWS
  6. Google 뉴스에서 전체 콘텐츠 보기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Omh0dHBzOi8vbmV3cy5zYnMuY28ua3IvbmV3cy9lbmRQYWdlLmRvP25ld3NfaWQ9TjEwMDU1MzYwNDDSAT9odHRwczovL25ld3Muc2JzLmNvLmtyL2FtcC9uZXdzLmFtcD9uZXdzX2lkPU4xMDA1NTM2MDQwJmNtZD1hbXA?oc=5

2019-11-24 08:31:00Z
527820185787324222280862651725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