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범민주 진영 후보자 앵거스 웡의 지지자들이 25일 구의원 선거 개표 결과, 승리가 확정되자 시위대의 5대 요구 사항을 상징하는 다섯 손가락을 펼쳐 보이며 환호하고 있다. [AP = 연합뉴스]](https://file.mk.co.kr/meet/neds/2019/11/image_readtop_2019_982359_15746718753989476.jpg)
2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전날 실시된 구의원 선거에서 범민주파의 압승, 친중파 진영의 대참패 소식을 전하며 이같이 보도했다.
홍콩 시민 마음 깊숙이 자리 잡은 `반중·반정부` 정서는 지난 6개월간 지속된 홍콩 시위 사태에 이어 이번 투표 결과에도 고스란히 투영됐다. 홍콩 현지 언론들은 들끓은 민심이 홍콩 정부를 비롯한 친중파 진영을 심판했다고 평가했다. 이번 선거에서 범민주 진영이 압승을 거두면서 향후 시위 정세와 홍콩 이슈를 둘러싼 중국의 대응 전략에 변화가 나타날지 주목된다.
홍콩 선거사무처는 25일 개표 결과 구의원 452석 중 범민주 진영이 347석(76.7%)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민주건항협진연맹(민건련)을 비롯한 친중파 진영은 60석(13.2%)을 차지하는 데 그쳤다. 2015년 구의원 선거 당시 친중파 진영은 327석(72%)을 확보한 바 있는데 4년 만에 전세가 역전된 것이다.

이번 선거는 자유와 민주를 향한 홍콩 민심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그동안 홍콩 당국은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로 촉발된 홍콩 시위 사태가 6개월 넘게 이어지고 있는데도 민심을 헤아려주기보다 시위대를 `폭도`로 간주하며 강경 진압에 열을 올렸다. 이번 선거 투표율이 71.14%를 찍으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평소 정치에 관심이 덜한 젊은 유권자가 대거 투표에 참여한 것은 중국 공산당과 친중 성향인 홍콩 정부를 향한 분노의 표출이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선거 승리로 홍콩 행정장관 선거인단 1200명 가운데 구의원 몫인 117명을 모두 차지하게 된 범민주 진영은 당장 내년 9월 입법회 선거에서도 과반 의석 확보에 열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범민주 진영이 압승을 거두면서 향후 홍콩을 둘러싼 시위 정국에도 변화의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우선 이번 선거를 계기로 홍콩 시위대는 그동안 정부를 상대로 요구해온 5대 조건을 강하게 제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시위대는 정부로부터 이미 약속받은 `송환법 공식 철회` 외에도 △경찰의 강경 진압에 관한 독립적 조사 △시위대 `폭도` 규정 철회 △체포된 시위대의 조건 없는 석방과 불기소 △행정장관 직선제 실시 등을 요구했지만 정부는 나머지 4가지 조건 수용을 거부했다. 이에 시위대는 선거 이후 시위를 이어나가면서 정부를 압박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홍콩 당국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중국 중앙정부의 지지를 받으며 진압을 통한 시위 수습 작업에 한창이다. 하지만 이번 선거 결과로 예전처럼 강경 진압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익명을 요구한 전 홍콩 관료는 "홍콩 당국은 향후 시위 정세와 중앙정부 방침을 살핀 뒤 일정 수준에서 시위대 요구 조건을 들어주는 회유책을 쓸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그는 이어 "중국 중앙에서는 홍콩 이슈에 직접 개입하는 것보다 람 장관이 시위 수습을 마무리하도록 유도하고, 차후 람 장관의 퇴진 시점을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예상은 과거 둥젠화 전 홍콩 행정장관 당시 수습 전략과 유사하다. 둥 전 장관은 중국 중앙정부가 원하던 국가보안법 제정을 강행했다가 2003년 7월 1일 홍콩 시민의 반대 시위를 맞아 이를 철회했으며, 결국 그 뒤 2년 만에 건강상 이유로 사임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 홍콩 구의원 선거 결과로 시 주석의 `중국몽` 구상이 흔들릴 것이란 관측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홍콩에 대한 중국의 전략은 중장기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일국양제(한 국가 두 체제)가 보장되는 2047년까지 중국은 `홍콩의 중국화`를 위해 다양한 작업을 서서히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상하이·선전과 같이 홍콩의 금융·물류허브 지위를 대체할 수 있는 도시를 중점 육성하고, 광둥성 9개 도시와 홍콩·마카오를 아우르는 메가경제권인 `웨강아오다완취`를 개발해 홍콩을 본토 경제권으로 흡수하는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 일본을 방문 중인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이번 홍콩선거와 관련해 "무슨 일이 있어도 홍콩이 중국의 일부이며 중국의 특별행정구라는 사실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홍콩을 엉망으로 만들거나 홍콩의 번영과 안정을 해치려는 어떤 시도도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베이징 = 김대기 특파원 / 서울 = 진영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P2h0dHA6Ly9yYXl0aGUubWsuY28ua3Ivdmlldy5waHA_c2M9NTE5MDAwMDEmeWVhcj0yMDE5Jm5vPTk4MjM1OdIBAA?oc=5
2019-11-25 08:51:15Z
527820185787324222280862651725245
Tidak ada komentar:
Posting Komen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