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방한 직전 서울 찾는 비건, 평양·판문점 서 北 접촉 가능성
트럼프·김정은의 판문점 깜짝 회동 가능성이 거론되는 것은 트럼프 방한 일정에 맞춘 듯 두 사람 사이에서 조성되고 있는 '밀월' 분위기 때문이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23일 김정은이 집무실에서 진지한 표정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를 읽는 모습을 공개했다. 김정은은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판단 능력과 남다른 용기에 사의를 표한다"며 "흥미로운 내용을 심중히 생각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은이 읽은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는 최근 김정은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낸 ‘생일 축하 친서’의 답신 성격으로 보인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1일 "어제 김정은 위원장으로부터 아름다운 친서를 받았다"면서 "매우 따뜻하고 매우 멋진 친서"라고 말했다.
김정은이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에 대해 ‘흥미로운 내용’이라고 평가한 것도 미·북 판문점 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이 친서를 통해 ‘3차 미·북 정상회담’과 관련한 색다른 제안을 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미 워싱턴포스트(WP)는 "이달 말 트럼프 대통령 방한 때 남북 국경에서 김정은 위원장과의 만남을 준비할지도 모른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알 수 없다"고 했지만, 부인도 하지 않았다.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해석됐다.
북한 문제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에 앞서 움직이는 미국 측 인사가 있다.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다. 비건 대표는 이번에도 트럼프 대통령 방한 며칠 전 서울에 들어올 것으로 알려졌다. 그를 대표로 하는 미국 측 실무대표단이 판문점 등에서 북측과 실무협상을 벌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도 23일(현지시각) "오늘 아침 북한에서 나온 발언을 보면 (실무협상을 개최할) 현실적인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폼페이오 장관이 언급한 '오늘 아침 북한에서 나온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에 대한 김정은의 반응을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자문연구위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를 김정은이 공개하면서 관심을 표한 점으로 미뤄봤을 때 상호 관심사를 구체적으로 논의하자는 내용이 담겨 있을 수 있다"며 "미·북 정상이 DMZ에서 깜짝 회동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조 연구위원은 "김정은은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판단 능력에 사의를 표한다'고 했다"면서 "북한이 그동안 요구한 '새로운 계산법'을 트럼프 대통령이 친서를 통해 제안을 했고, 상호 간에 '만나자'는 합의가 있었을 수 있다"고 했다. 정세현 전 통일부장관도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방한 때 판문점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깜짝 만남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반면, 김정은이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에 대해서 '심중히 생각해보겠다'고 밝혔다는 점에서 '미·북 접촉은 아직 시기상조'라는 분석도 나온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비건 대표 방한 때 미·북 실무접촉이 성사될 가능성은 있지만 시간이 다소 촉박하다"면서 "김정은이 심중히 고려해 보겠다는 발언 속엔 'G20(주요20개국) 회의를 지켜 본 후 결정하겠다'는 판단이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6/24/2019062402206.html
2019-06-24 08:07:31Z
527817590484664222280862651725245
Tidak ada komentar:
Posting Komentar